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광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792954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impact of perception on the government policy trust and social environment on the child birth intention

  • 저자[authors] 이보라

  • 발행사항 서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8

  • 형태사항[Description] xiii, 155 p.: 삽도, 표; 27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 박종구<br>참고문헌 수록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박사)-- 광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2018.2

  • DDC[DDC] 350 23

  • 발행국(발행지)[Country] 서울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8

  • 소장기관[Holding]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12)

  • UCI식별코드 I804:11012-000000010424


초록[abstracts] 
본 연구는 저출산 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그 영향요인을 반영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첫째, 정부의 출산정책에 대한 신뢰, 둘째, 자녀를 낳고 기를 수 있는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 셋째, 경제적 부담감, 넷째, 자녀와 관련한 개인의 가치관이 출산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분석하고자 하였다(Model 1).   또한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떠한 조절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Model 2).   추가적으로 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거시적 사회구조와 개인의 미시적 행동의 연계를 통한 ‘출산 의사결정을 위한 사회구조적 접근모델’을 설정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거주자 20세 이상 40세 미만의 미혼·기혼 남녀 480명이었으며, 설문 조사는 온라인(Google 설문)과 오프라인을 통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초통계분석, 집단 간 차이분석, 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첫째 Model 1의 정부정책신뢰, 사회 환경인식, 경제적 부담, 개인 가치관이 출산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 가치관이 긍정적이고,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높을 때 출산의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부정책신뢰의 세부정책영역에서는 임신·출산정책, 노동정책의 신뢰가 높을수록 출산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 환경인식의 세부영역에서는 지역환경, 직장환경이 정(+)의 방향으로, 양육환경은 부(-)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제적 부담의 세부영역에서는 양육비에 대한 부담이 부(-)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나 교육비에 대한 부담은 정(+)의 방향으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가치관의 세부영역에서는 자녀의 필요성, 자녀에 대한 가치가 긍정적일수록 출산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odel 2의 정부정책신뢰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부의 정책신뢰 수준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과 출산의도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부의 출산장려정책에 대한 ‘정부정책신뢰’와 출산·양육을 둘러싼 ‘사회 환경인식’이 상호작용의 효과를 발휘할 때, ‘출산의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족의 생애주기(미혼기, 기혼 무자녀, 기혼 유자녀)에 따른 집단 간 출산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 유자녀집단에서 출산의도가 2.30명으로 가장 높았으며, 기혼 무자녀집단에서 1.61명, 미혼집단은 1.15명으로 나타났다. 각 집단별로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미혼집단은 개인 가치관과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가 긍정적일수록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혼 무자녀집단에서는 개인 가치관만이 출산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혼 유자녀집단에서는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와 사회 환경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의도에 상대적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이론적 측면에서 ‘신뢰’이론을 토대로 정부정책에 대한 신뢰를 측정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출산 의사결정을 위한 사회구조적 접근모델’을 통해 초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사회·경제적 변화, 사회구조와 개인의 가치관 등 거시적 사회구조와 개인의 미시적 행동의 연계를 시도한 점이다.   둘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정부정책신뢰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것은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정부정책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정책적 측면에서 출산력을 높이기 위한 가족의 생애주기에 따른 맞춤형 정책설계를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이를 실시하기 위해 개인의 가치관을 반영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디자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를 제도화 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0 13 인구 인구 증감 분석 및 예측을 위한 행위자 기반 시뮬레이션 개발 연구 / 김정식 외 2016  185
49 13 인구 한국 다출산·저출산 가정의 특성과 원인분석 / 강명화 2010  185
48 13 인구 주거비 부담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 2000년 이후 초혼가구를 중심으로 / 배호중 2018  182
47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로 인한 대응책 / 김순은 2017  180
46 13 인구 신문사설의 저출산 현상 해결담론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 / 이지영 2017  168
45 13 인구 한국 이주법제의 변천과 전망 / 최윤철 2016  157
44 13 인구 저출산시대에 인구감소 방지를 위한 고위험임신 관리방안 / 이난희, 송혜숙 2017  155
43 13 인구 저출산 고령사회에 따른 지방세제의 합리적 개편방안 / 김남욱 2017  151
42 13 인구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의 주요 내용과 향후 과제 / 변수정 외 2018  139
41 13 인구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와 출산에 영향 미치는 요인 / 조아라 2018  135
40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39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
38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3
37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2
36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35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34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7
33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2016  124
32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