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10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학과 언어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32637 

결혼 여성의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 Birth Rate of Married Women


  • 저자명 : 김경아(Kim Kyoung-A)
  • 학술지명 : 문학과 언어(Journal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 권호사항 : Vol.39 No.6 [2017]
  • 발행처 한국문화융합학회
  • 자료유형학술저널
  • 수록면 : 895-924(30)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
  • 주제어 : 인구절벽 ,저출산 문제 ,출산율 ,경제적 접근 ,가치교육 ,Population Cliff ,Low Fertility Problem ,Birth Rate ,Economic Approach ,Value Education

 

 

  • 초록

 

우리나라가 직면한 인구절벽과 저출산 문제는 심각하다는 전제하에,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의 20161월 출산력 데이터를 토대로 결혼여성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령, 학력수준, 직업의 유무, 주택의 점유형태는 출산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일반적인 이론과는 달리 경제수준과 직종은 출산율에 유의미하지 않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출산율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찾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과 학력은 99%신뢰 구간에서 유의미했으며, 점유형태는 신뢰구간 90%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다시 말해서 연령이 높을수록 출산율이 높았고, 학력은 낮을수록 출산율이 높았고, 자가일수록 출산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결혼여성의 직종이나 가구소득은 출산율에 유의미하지 않았다. 따라서 한국의 결혼과 출산정책은 경제적 접근보다 우선적으로 결혼에 대한 올바른 인식전환과 가족의 필요성과 소중함에 대한 가치교육으로의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일하는 여성에 대한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등 복리후생도 강화되어야 한다. 또한 젊은층의 결혼과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 신혼부부에게 우선순위에 배정되는 장기전세 및 임대주택의 공급을 늘려야 한다.

 

  • 목차

 

1. 서론

2. 한국의 저출산 문제 및 연구동향

3. 결혼여성과 출산간의 상관성 연구

4. 결혼 여성의 출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90 13 인구 저출산 시대, 아시아 국가의 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3
89 13 인구 독일 출산지원정책의 젠더적 함의 / 박채복 2018  103
88 13 인구 동유럽 국가의 저출산 및 가족 정책 현황과 시사점 / 신윤정 2017  104
87 13 인구 다양한 가족구성원 건강 지원체계 마련 연구 / 송이은 외 2018  104
86 13 인구 저출산 정책 / 김남희 2017  105
85 13 인구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실시하는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 정책에 대한 생명윤리적 고찰 및 제언 / 강미화 2017  106
84 13 인구 일본의 출산율 향상 대응정책에 관한 연구/ 오미희 2018  106
83 13 인구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방재정의 영향과 향후 대책/이재원 2017  109
82 13 인구 정책보고서의 인지지도 분석: 제3차 저출산고령화 기본계획의 사례/김동환 2017  109
81 13 인구 우리나라 출산정책의 정책도구에 대한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 이기령 2018  113
80 13 인구 정부정책신뢰와 사회 환경에 대한 인식이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보라 2018  116
79 13 인구 국내외 정책 환경을 감안한 다문화가족정책 조정방안: 다문화인식개선사업 재고와 주류화 / 김혜순 2017  118
78 13 인구 최근의 임신 및 출산 실태와 정책적 함의 / 이삼식 2016  124
77 13 인구 인구감소시대에서의 빈집 문제에 대한 국가-지방자치단체의 정책 대응/심재승 2017  127
76 13 인구 인권의 관점에서 본 인구정책 / 전광희 2018  129
75 13 인구 저출산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전국 및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 서상록 2009  132
74 13 인구 무자녀율 변화 추세 및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인에 관한 연구 / 김한곤 2014  132
73 13 인구 영유아보육정책이 기혼여성의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 개인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한은숙 2016  133
72 13 인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 저출산 문제의 헌법적 이해와 접근 방향 / 이장희 2015  134
71 13 인구 저출산 · 고령화 시대 의료 정책 및 법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지 외 2016  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