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949181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A Comparative Study on Abortion Counselling Services - with Emphases on Legal Procedure

                               

  • 저자명

    이은영, 김소윤, 손명세, 이일학                        

  • 학술지명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

    Vol.18 No.1 [2010]                                                         

  • 발행처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05-128(2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초록 (Abstract)

  • 2009년 7윌 모자보건법 개정을 통해 낙태 허용 주수가 임신 28주에서 임신 24주로 축소되었다. 이 과정에서 낙태 허용 사유를 확인하는 ‘상담 절차’가 포함되지 않았다. 낙태 상담 절차는 염...
  • 2009년 7윌 모자보건법 개정을 통해 낙태 허용 주수가 임신 28주에서 임신 24주로 축소되었다. 이 과정에서 낙태 허용 사유를 확인하는 ‘상담 절차’가 포함되지 않았다. 낙태 상담 절차는 염산부가 낙태 전 낙태 결정에 대해 숙려하는 시간을 갖고, 이를 통해 낙태를 예방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독일,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은 법 혹은 정책을 통해 상담절차를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거나 장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들 국가는 낙태 전 임산부가 낙태에 대해 충분히 숙고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있다. 즉, 임산부에게 상담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위험하고 불법으로 행해지고 있는 낙태를 합법적이고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상담 절차를 통해 임산부는 낙태 뿐 아니라 모체의 태아 대해서도 생각을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함으로써, 낙태 결정을 철회하도록 조력할 수 있다. 이들 국가의 낙태 규정을 살펴보고, 모자보건법 상 낙태 상담 절차를 제정할 경우 모자보건법 상 낙태 상담 절차 규정을 둘 경우,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낙태 감시·감독위원회를 설치하여 매년 우리나라에서 시술되고 있는 낙태에 대한 공식적인 보고 절차를 마련해야 한다. 둘째, 일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낙태 상담 기관을 지정해야 할 것이다. 셋째, 낙태 전문 상담자의 교육 및 보수 교육을 통해 임산부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낙태 상담 절차 상 낙태 숙려 기간을 두어 낙태 및 모체의 태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우리나라 낙태 관련 규정 Ⅲ. 각 국가의 낙태 상담 절차 규정 Ⅳ. 모자보건법 낙태 상담 절차 규정에 관한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4 12 낙태 멕시코의 폐미니스트운동과 낙태정책 : 2007년 멕세코시티 낙태합법화의 의미 / 강경희 2009  628
123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4
122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2
121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09
120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119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118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
»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116 12 낙태 출산억제정책으로서 모자보건법과 낙태에 대한 반성적 접근 / 김성진 2010  94
115 12 낙태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낙태의 윤리적문제 고찰 / 류인자 2010  768
114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764
113 12 낙태 한국사회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 재생산권을 중심으로 / 홍지수 2011  680
112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111 12 낙태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 정현미 2011  122
110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109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108 12 낙태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정철 2011  93
107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3
106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 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윤진숙 2012  678
105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