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EU연구(Journal of European Union Studies)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82435826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Study about Comparative law on the Abortion in Germany and Korea

                                    

  • 저자명

    김학태(Hak Tai Kim)                                           

  • 학술지명

    EU연구(Journal of European Union Studies)                         

  • 권호사항

    Vol.- No.26 [2010]                                                          

  • 발행처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EU연구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01-325(25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0년

초록 (Abstract)

  • 한국사회에서 낙태는 1953년에 제정된 형법에서 처음으로 엄격하게 금지되는 범죄로 규정되었지만,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는 1970년대의 정책적 상황에서 인구 억제의 현실적인 필요성을 충족...
  • 한국사회에서 낙태는 1953년에 제정된 형법에서 처음으로 엄격하게 금지되는 범죄로 규정되었지만, 경제성장을 목표로 하는 1970년대의 정책적 상황에서 인구 억제의 현실적인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제정된 모자보건법상에서 합법적인 인공임신중절이 허용되면서, 사실상의 집행이 이루어지지 않는 사문화된 규정으로 전락되었다. 또한 이 정책과 더불어 한국사회에서 중요시된 전통적인 가부장제도의 영향은 가계계승이라는 중요한 의무를 당연하게 요구하였으므로, 아들을 낳기 위한 여아낙태가 시도되는 결과를 낳기도 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사회에서는 인구 억제 정책의 여파로 나타난 심각한 후유증으로 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절대적인 인구감소에 따른 노동력 감소 등의 문제가 새로운 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제는 다자녀 출산을 강조하는 역전된 상황에서 새롭게 낙태에 대한 규범적 의미를 재정립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럽에서, 특히 독일에서 낙태에 관한 규범적 의미를 평가하는 것은 한국사회에서 낙태에 관한 법적 의미를 재정립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적용될 낙태의 입법과 적용방식에 많은 참고가 될 수 있다. 독일에서 낙태에 관한 입법과 적용방식에 관한 논의는 많은 우여곡절을 겪었다. 여러 번 법 개정이 있었고, 새롭게 개정된 법이 시행되기도 전에 연방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을 받은 경우가 두 번이니 되었으며, 또한 서독과 동독이 통일되면서 예외적으로 각 지역마다 예전 각자의 규정을 다르게 적용시키는 모순을 겪기도 하였다. 따 라서 독일에서 낙태를 둘러싸고 전개된 우여곡절의 과정과 이과정에서 제기된 낙태에 대한 담론의 소개, 입법 및 개정 작업의 과정, 그리고 새롭게 개정된 낙태 규정에 대한 연방헌법재판소의 판결 등을 현행 한국법과 비교법적으로 고찰 하여, 낙태규정의 새로운 모습을 제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독일에서의 낙태 관련 입법과 헌법재판소 판결
  • Ⅲ. 한국에서의 낙태에 관한 규범적 평가
  • Ⅳ. 낙태에 대한 독일과 한국의 비교법적 평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4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 법제에 대한 이론적 고찰 / 윤진숙 2012  678
43 12 낙태 착상전유전자진단과 산전유전자진단에 대한 형법적 제재의 정당성 / 이석배 2012  487
42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7
41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8
40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39 12 낙태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 주호노 2012  228
38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749
37 12 낙태 한국사회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 재생산권을 중심으로 / 홍지수 2011  680
36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35 12 낙태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 정현미 2011  122
34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33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32 12 낙태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정철 2011  93
31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3
30 12 낙태 낙태에 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 생명권 대(對) 자기결정권의 대립을 넘어 / 양현아 2010  514
29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2010  612
28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09
27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25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