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1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유아특수교육연구(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045027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법률적, 의료적, 기독교적 태도를 중심으로 = Influence of Negative Awareness of Abnormalities on the Attitude toward Abortion of a Fetus with Likelihood of Disabilities (With focus on legal, medical, Christian attitude)

                                   

  • 저자명

    이강선(Lee, Kang Sun),장성은(Jang, Sung Eun)                                              

  • 학술지명

    유아특수교육연구(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 권호사항

    Vol.11 No.4 [2011]                                                            

  • 발행처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ecse.co.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35-55(21쪽)

  • 언어

    -

  • 발행년도

    2011년

초록 (Abstract)

  • 본 연구자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를 유도하고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법률적·의료적·기독교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
  • 본 연구자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은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를 유도하고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법률적·의료적·기독교적 태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편견, 삶의 질 등에 관한 사전 연구들과 낙태에 관한 사전 연구들을 통하여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법률적·의료적·기독교적 태도를 살펴보았다. 첫째,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사회적 편견과 인식은 무능력자로 취급되며, 열등한 존재로 인식하며 사회적 거리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다수의 비장애인들의 시각은 힘의 원리에 의한 것이고 이러한 시각은 장애의 가능성만을 가지고 있는 태아의 낙태를 유도한다. 그러나 인간의 생명은 가치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어떠한 것도 우선 순위가 되어서는 안된다. 둘째, 현행법에서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서 한국의 법체계는 원칙적으로 낙태를 금지하기는 하나 모자보건법에 낙태허용사유가 규정되어있어 반(班) 낙태법이라 할 수 있다. 어머니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모자보건법에서는 낙태할 수 있는 사항들을 제시해놓았다. 그 중 우생학적 정당화 사유는 매우 광범위하게 인정되고 있어 태아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다. 셋째, 의료적 입장에서는 정당화 될 수 있는 사유에서 대해서만 낙태를 인정하여야 하는데 반해 일반적으로 의학적, 우생학적, 생명윤리적으로 부적절한데도 단지 산전검사로 예견되는 장애아의 출생 가능성으로 의료현장에서 낙태가 이루어진다면 개선되어야 한다. 넷째, 기독교 입장에서의 낙태를 살펴보면 성경에서 인간은 하느님의 형상대로 지음 받은 존재로 존엄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존엄성은 잠재적 인간인 태아에게도 연결된다. 태아의 진단에 있어서 교회는 찬성의 손을 들고 있고 태아 진단의 목적은 유전적 질환이나 결함이 있는 산모에게 건강한 태아라는 안도감을 주기 위함이고 이차적으로 결함이 발견된 경우 태중치료를 필요로 하거나 가능한 태아를 살리는데 목적이 있다(강혁준, 1996). 본 연구는 장애의 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법률적 태도, 의료적인 태도, 종교적 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장애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개선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본론
  • Ⅲ.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04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1999  468
103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4
102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61
101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2017  458
100 12 낙태 14일 이전 배아의 도덕적 지위 / 유호종 2001  448
99 12 낙태 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 송현정 2016  443
98 12 낙태 저출산 '문제'의 담론적 구성과 정책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강은애 2019  420
97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19
96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2014  412
95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94 12 낙태 태아를 위한 기독교 윤리학적 책임과제 / 강요한 2002  407
93 12 낙태 피임과 낙태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 유혜숙 2018  388
92 12 낙태 낙태 범죄화와 여성 섹슈얼리티 통제 -"낙태죄 합헌결정"(헌법재판소 2 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결정) / 이연우 2015  386
91 12 낙태 낙태죄의 역사 / 최규진 2018  385
90 12 낙태 13세 이상 미성년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 이수진 2015  376
» 12 낙태 장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장애가능성이 있는 태아의 낙태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이강선 2011  376
88 12 낙태 낙태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최현정 2016  373
87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
86 12 낙태 도덕의 법적 강제에 관한 소고 - 낙태, 동성애 그리고 간통에 대한 판결검토를 중심으로 - / 조해현 2015  345
85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