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世界憲法硏究(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865671 
연구논문 :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A study on the Abortion Informed Consent Law in the United States

                                     

  • 저자명

    최희경 ( Hee Kyung Choi )                                             

  • 학술지명

    世界憲法硏究(World constitutional Law Review)             

  • 권호사항

    Vol.19 No.2 [2013]                                                       

  • 발행처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Korean Branch of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onstitutional Law)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47-172(2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3년

초록 (Abstract)

  • 미국의 경우 많은 주에서 의료진에게 낙태를 하려는 여성에게 일정한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고 이에 기초하여 여성이 인지된 동의를 할 것을 요구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왔다. 하지만 충...
  • 미국의 경우 많은 주에서 의료진에게 낙태를 하려는 여성에게 일정한 정보를 공개하도록 하고 있고 이에 기초하여 여성이 인지된 동의를 할 것을 요구하는 법률을 제정하여 왔다. 하지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여성의 알권리를 보장한다는 긍정적 취지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현재 미국 각주에서 제정되고 있는 낙태법상의 인지된 동의에 대해서는 제공되는 정보가 정확한 것인지, 여성의 결정에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에 대해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또한 낙태에 대하여 중립적이지 않으며 편견을 가진 정보를 고지하도록 요구하고 있다는 점 역시 문제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의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제정배경과 주요 내용 및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인지된 낙태동의법에 대한 연방대법원의 중요한 판결을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낙태에 대한 결정권을 제한하는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위헌성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각 주의 인지된 낙태동의법의 중요 내용과 이에 대한 비판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결론적으로 낙태절차의 본질에 관하여 정확한 관련정보를 제공해주고 이를 기초로 여성이 합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낙태절차가 갖는 의학적 절차로서의 특질을 고려할 때 타당하다. 그러나 주 낙태법에서 요구되는 낙태위험에 관한 불확실한 정보제공, 태아발전상태에 대한 구체적 설명과 사진, 강제적인 초음파검사 등은 여성의 자율적인 판단을 존중하기보다는 여성의 결정과정에 위헌적으로 개입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Casey 판결에 의하여, 진실되고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는 정보를 제공하는 인지된 동의법의 경우에는 헌법상 허용될 수 있지만, 다수 주의 인지된 낙태법은 이러한 헌법상 한계를 벗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4 12 낙태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심영희 1990  219
63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62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61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60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
59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09
58 12 낙태 한국 사회에서의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찰 / 김세서리아 2019  205
57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2
56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55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54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의 현황과 대책 / 김재연 2015  192
53 12 낙태 낙태죄의 허용 한계 사유와 허용 한계 시기에 대한 고찰 / 박남미 2018  186
52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79
51 12 낙태 낙태죄의 의미 구성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이은진 2017  177
50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49 12 낙태 우리 법의 낙태 규정에 대한 윤리적 검토와 제안 / 유호종, 이경환 2001  169
48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홍석영 2018  168
47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김상득 2018  166
46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