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12 낙태 조회 수 160 추천 수 0 2017.03.08 11:04:08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Soong Sil University)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27779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Issue of Abortion

                                   

  • 저자명

    이병규                                            

  • 학술지명

    法學論叢(Soong Sil Law Review)                           

  • 권호사항

    Vol.28 No.- [2012]                                                          

  • 발행처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The Institute for Legal Studies Soong Sil University)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5-168(34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2년

초록 (Abstract)

  • 이 글은 낙태의 헌법적 문제를 생명과 생명권, 인간의 존엄성, 자기결정권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헌법학의 영역을 넘어서 보다 넓은 관점에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를 시도한다. 낙태...
  • 이 글은 낙태의 헌법적 문제를 생명과 생명권, 인간의 존엄성, 자기결정권 등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헌법학의 영역을 넘어서 보다 넓은 관점에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를 시도한다. 낙태는 산모와 태아의 양자관계를 전제로 한다. 태아를 자신의 몸 안에 두고 있는 산모와 산모의 일방적인 보살핌 속에서 그 온전함을 보장받는 종속적 지위의 태아가 있다. 그리고 이 양자는 각각 헌법상 임신중절의 자기결정권과 생명권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인간의 생명이 언제 시작되는가에 대한 논의를 떠나서 태아가 생명권을 가진다는데 이견은 없다. 이에 반해 산모의 임신중절의 자기결정권은 태아의 생명권 침해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그것을 인정하기는 어렵다. 만약 헌법상 행복추구권에 근거하여 산모의 임신중절의 권리를 인정하게 되면 다음의 몇 가지 문제가 상정된다. 첫째, 산모의 임신중절 자기결정권과 생명권의 대립은 기본권 충돌의 문제가 된다. 둘째, 헌법상 산모의 자기결정권이 인정되면 현재 모자보건법상의 예외 사유를 제외하고 임신 주기와 관계없이 모든 낙태행위를 처벌하는 형법 제269조 부녀의 자기낙태죄 규정과 제270조 업무상 동의낙태죄 규정은 그 위헌성이 문제된다. 셋째, 헌법상 임신중절 자기결정권이 형법상 낙태죄 규정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헌법 제37조 제2항의 기본권 제한의 문제로 볼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논의는 산모의 자기결정권의 인정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산모의 자기결정권은 태아의 생명권의 침해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그 허용은 어렵다. 우리 헌법 제10조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기초하는 생명 존중의 원리에 의할 때 태아의 생명권을 보장하고 그 어떤 낙태행위도 태아의 생명권 앞에서 상대화되는 것은 법논리적으로 맞는다. 그러나 낙태행위에 대한 우리나라의 이러한 엄격한 처벌 규정에도 불구하고 실제 일어나는 낙태는 대단히 많은 수준이고, 이것은 일정한 기한 내에는 비교적 자유롭게 낙태를 허용하는 다른 나라와 비교할 때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법과 현실의 괴리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생명권의 절대적 우위를 주장하는 것이 옳은지는 그 논의를 필요로 한다. 임신 초기에는 태아가 완전한 인간으로 진행되는 과정에 있기 때문에 산모의 고통과 절충할 만한 여지가 있는 것은 아닌가 생각된다. 따라서 산모와 태아의 관계에 대한 여러 학설들에 기초하여 현재 대단히 협소한 적응규제형에 방식에 임신 초기에는 기한규제형을 도입하여 양자의 절충을 시도하는 것도 현재 낙태행위를 둘러싼 법과 현실의 간극을 메울 수 있는 방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도기적 조치가 실효를 거둔다면 현재의 생명권의 절대적 우위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외국의 경우
    • Ⅲ. 태아 대 산모
    • Ⅵ. 태아의 생명권과 산모의 자기결정권의 관계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4 12 낙태 낙태죄와 낙태권에 대한 소고 / 김용화 2013  161
    »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42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8
    41 12 낙태 낙태의 허용범위와 허용절차규정에 관한 연구 / 이기헌 1994  151
    40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2018  149
    39 12 낙태 낙태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 각국의 입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 / 김광재 2018  149
    38 12 낙태 낙태죄 폐지 반대 운동만이 최선일까? / 정겨운 2018  146
    37 12 낙태 피임과 낙태 정책에서의 재생산건강권 보장 방안 / 김동식 2014  145
    36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35 12 낙태 영화감상교육 강좌를 위한 영화 활용법 연구 - 안네 초라 베라체트의 영화 <24주>를 중심으로 - / 조수진 2019  142
    34 12 낙태 낙태에서 장애여성의 자기결정권에 관한 역량 강화/김문정, 심지원 2018  141
    33 12 낙태 낙태죄 헌법소원과 여성의 ‘목소리’[2] ―법과 낙태실천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양현아 2018  139
    32 12 낙태 낙태에 관한 인터넷 포럼에서의 플레이밍 현상 / 이성범 2018  138
    31 12 낙태 낙태행위의 법적 체계와 그 이해 / 신동일 2018  137
    30 12 낙태 낙태죄의 위헌성에 관한 고찰 / 신옥주 2018  135
    29 12 낙태 법여성주의를 통해 본 낙태죄의 비판적 고찰 : 여성의 낙태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중심으로 / 오승이 2007  126
    28 12 낙태 여성의 임신종결권리의 필요성과 그 함의 / 양현아 2006  124
    27 12 낙태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 정현미 2011  122
    26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9
    25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김성한 2018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