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03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8586459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Study On Change Of 'Unmarried' Woman's Perspective On Sexual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Abortion

                                        

  • 저자

    최원영                                       

  • 형태사항

    iv, 120p. ; 26cm

  • 일반주기

    참고문헌: p. 104-1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여성학과 2003. 2

  • KDC

    337 4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03

초록 (Abstract)

  • 본 논문은 여성들이 말하는 낙태 경험이 드러나지 않고 낙태에 대한 단선적 담론, 낙태반대운동 속에서 여성들의 낙태 경험의 다양한 층위가 은폐되고 획일적으로 읽혀진다는 문제제기에서...
  • 본 논문은 여성들이 말하는 낙태 경험이 드러나지 않고 낙태에 대한 단선적 담론, 낙태반대운동 속에서 여성들의 낙태 경험의 다양한 층위가 은폐되고 획일적으로 읽혀진다는 문제제기에서 출발했다. 특히 1990년대 이후 평등하고 상호적인 관계, 주체적 자아에 대한 욕구 속에서 성 경험을 하는 여성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이들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태를 하게 되는 과정 그리고 이들에게 낙태가 가지는 영향·의미에 주목하여 낙태의 구조적 성격과 특정 맥락에 위치한 여성들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인식 과정과 그것의 의의와 한계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들은 대학교 재학 이상의 학력 그리고 중산층의 20대 여성으로 혼전 임신을 하고 낙태를 하였다. 어느 수준의 성차별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있다고 스스로를 생각하는 연구참여자들에게 섹슈얼리티는 비관적 인식의 여부를 증명하는 기준이자 다른 여성과 자신을 분리하는 지점 그리고 자아를 구성하는 장으로 작동하고 있었다. 이들은 가부장적 의미체계에서 규정하듯이 무성적인 존재도 아니고, 여성 섹슈얼리티 억압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성 지식의 결여로 인해 혹은 성관계에 개입하는 다양한 기제로 인해 성 관계에 대한 통제권이 축소되거나 상실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은 남성 파트너와 이성애 연애 규범을 통해 재현되는 여성의 성과 몸에 개입하는 다양한 기제와의 갈등 속에서 낙태를 하게 되었다.
    낙태는 여성의 성을 통제하는 사회적 담론과 직접적으로 충돌하는 계기이자 다층적 갈등의 촉매로 작동했다. 연구참여자들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주요한 갈등은 결혼 내의 성만을 허용하는 성 규범과의 갈등이다. 순결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있었고 그것과 갈등하면서 성관계를 가졌지만 낙태는 그러한 규범에 대한 비판의식의 피상성과 추상성을 드러내었다. 생명 우선론의 개입에 대해서는 가치관, 준거집단에 차이에 따라 위축되기도 하고 그러한 담론에 '말리지 않으려는' 노력을 하는 등 다양한 대응이 나타났다 또한 스스로에 대한 기대에 못 미치는 행동의 증표로 낙태가 읽혀지면서 그로 인한 자존감과 자의식의 손상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이러한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을 보이는데 이는 갈등에 대한 성찰에서부터 시작했다. 그러고 이론가, 학자들의 논의를 통해서 자신의 경험을 이론화시키고 정당화하려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낙태 경험을 공유하기도 하지만 이는 제한된 대상으로 한정된다. 이는 현재의 성 억압 속에서 현실적인 전략이기도 하지만 낙태 경험 공유는 억압적 성 규범에 대한 비판과 대안적 규범에 대한 모색, 집단화된 저항으로 연결되기보다 정서 ·심리를 치유하는 역할에 그치는 한계를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ⅰ
  • 논문 개요 = ⅳ
  • Ⅰ. 서론 = 1
  • A. 문제제기 및 연구주제 = 1
  • B. 연구방법 = 7
  • 1. 연구방법 및 연구과정 = 7
  • 2. 연구참여자의 특성 = 10
  • 3. 연구참여자의 낙태 경험 개관 = 16
  • C. 한국 미혼 여성의 성(Sexuality)에 관한 연구의 전개와 의의 = 20
  • Ⅱ. 미혼 여성의 성경험에 개입되는 권력의 작동 = 24
  • A. 성적 무지 위에 구축된 '성적 주체성' = 24
  • 1. 의식과 욕망을 소유한 여성들의 등장 = 24
  • 1-1. 섹슈얼리티 억압에 대한 비판적 인식 = 25
  • 1-2. 대안없는 비판의식의 한계 = 28
  • 1-3. 성적 욕구의 주체로서의 자의식 = 31
  • 2. 성 지식이 결핍된 '성적 주체'의 불완전성 = 35
  • 2-1. 남성의 성 지식에 기반한 '성적 주체화' 과정 = 35
  • 2-2. 추상적 성 지식에 의존하는 '성적 주체' = 41
  • B. 성적 주체화의 자원이 되지 못하는 성 지식 = 43
  • 1. 이성에 연애의 구조적 관계성 = 44
  • 1-1. 관계를 유지시키는 매개로서의 성 = 44
  • 1-2. 낭만화된 성의 추상성 = 47
  • 2. 성적 욕구와 몸의 분리 = 50
  • 3. 혼란스러운 성적 주체성 = 52
  • Ⅲ. 낙태로 인한 갈등 발생 양상 = 55
  • A. 낙태로 인한 갈등의 발생 = 55
  • 1. '미혼' 여성에 대한 성 규범과의 갈등 = 56
  • 1-1. 낙태를 한 '미혼' 여성이라는 낙인 = 56
  • 1-2. 관계에 대한 통제권의 위축 = 58
  • 2. 생명 우선론에 대한 갈등 = 60
  • 2-1. 죄의식과 공포의 발생 = 60
  • 2-2. 제한된 상황에 대한 아쉬움과 생명 우선론에 대한 거부 = 63
  • 3. 비판적 성 의식에 대한 갈등 = 68
  • B. 갈등을 극복하려는 시도와 의지 = 71
  • 1. 갈등에 대한 해석 = 72
  • 2. 경험을 드러내고 공유하기 = 76
  • 2-1. 경험을 말할 수 있는 한정된 대상과 조건 = 76
  • 2-2. 낙태 경험 공유의 의의 = 80
  • Ⅳ. 색슈얼리티에 대한 의식의 변화 = 84
  • A. 피임에 대한 인식의 강화 = 84
  • 1. 피임 지식 확보와 실행 = 85
  • 2. 피임 책임자로서의 의식 강화 = 86
  • B. 성별화된 존재로서의 여성에 대한 인식 = 90
  • 1. 남녀 관계에서의 '한 끗 차이'; 피임 의의 조건에 대한 인식 = 90
  • 2. 이성에 연애관계 구조에 대한 인식 = 94
  • 2-1. 연애관계 내 권력관계 협상 = 94
  • 2-2. 이성에 관계의 거부 = 96
  • Ⅴ. 종합논의 및 결론 = 100
  • 참고문헌 = 104
  • ABSTRACT = 1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4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63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62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
61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8
60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59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58 12 낙태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심영희 1990  219
57 12 낙태 낙태의 허용범위와 허용절차규정에 관한 연구 / 이기헌 1994  151
56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3
55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54 12 낙태 출산정책과 낙태규제법의 이념과 현실 / 이인영 2010  145
53 12 낙태 낙태규제에 있어서 형법의 효용성 / 정현미 2011  122
52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37
51 12 낙태 여성의 임신종결권리의 필요성과 그 함의 / 양현아 2006  124
»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2003  461
49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48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7
47 12 낙태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진영 2014  665
46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3
45 12 낙태 피임과 낙태 정책에서의 재생산건강권 보장 방안 / 김동식 2014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