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4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3452525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기타서명

    Study on undergraduates' recognitions of abortion, suicide and euthanasia

  • 저자

    박진영                                       

  • 형태사항

    v, 67장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선아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 간호학과 2014.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4

  • 초록 (Abstract)
    • 대학생의 낙태, 자살 및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본 연구는 생명존중과 관련된 쟁점인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자료 수집은 2013년 ...
    • 대학생의 낙태, 자살 및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본 연구는 생명존중과 관련된 쟁점인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2013년 10월 30일까지 서울·경기 지역과 지방 대도시에 소재한 3개의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9세 이상의 대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낙태에 관한 인식은 이영숙(1990)이 고안하고, 이규숙(2002)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자살에 대한 인식은 Domino 등 (1980)이 개발한 자기 보고형 설문지인 SOQ 중에서 반형진(1989)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고 송성호(2009)가 한국인의 문화에 맞게 재구성한 도구를, 안락사에 대한 인식은 류영신(2002)이 기존의 설문지와 여러 참고문헌을 토대로 만든 설문지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사용하여 연구목적 및 변수특성에 따라 기술통계, t-test, 카이제곱검정, 피어슨 상관관계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대학생의 낙태반대지지는 총 가능 점수 1점~4점 중 남학생은 평균 2.77점, 여학생은 2.74점이었다. 낙태결정에 있어서는 원치 않은 임신의 경우 낙태를 하겠다는 비율이 가장 높아 선택 우선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2. 자살에 대한 인식은 평균 -0.21점으로 나타났으며 과거 일반인 대상의 선행연구에 비해 인식 수준이 높아졌다. 자살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면서도 일부항목에서 과거에 비해 자살에 대해 수용적인 견해를 보이는 이중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3. 안락사는 소극적 안락사와 적극적 안락사간의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소극적 안락사는 대부분이 찬성하는 입장인 반면에 적극적 안락사는 반대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또한 안락사 요청여부에 있어서도 본인의 경우와 가족의 경우의 선택이 불일치하였다. 안락사의 법제화의 필요성에 대해는 82.5%가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간의 관계는 일관성 있는 관계가 없다.본 연구는 생명관련 쟁점이라는 공통점을 가진 낙태, 자살, 안락사간의 인식을 살핀 결과 일관된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각각의 쟁점에 관해 가치관 정립이 제대로 되지 않아 일관성 있는 선택을 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생명관련 쟁점들에 대한 지식을 올바르게 습득하고 생명윤리에 대한 가치를 확립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대학교 정규 수업으로 편성하여 교과목을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발행년 2016 

    • 조회 수 530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발행년 2014 

    • 조회 수 593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발행년 2011 

    • 조회 수 2801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에 관한 연구 / 이유리

    발행년 2010 

    • 조회 수 613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발행년 2007 

    • 조회 수 4922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발행년 1989 

    • 조회 수 228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발행년 2004 

    • 조회 수 849

    12 낙태 한국사회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분석 : 재생산권을 중심으로 / 홍지수

    발행년 2011 

    • 조회 수 680

    12 낙태 태아를 위한 기독교 윤리학적 책임과제 / 강요한

    발행년 2002 

    • 조회 수 407

    12 낙태 인공유산에 대한 이해와 목회적 돌봄 / 이주형

    발행년 1999 

    • 조회 수 468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발행년 2008 

    • 조회 수 1196

    12 낙태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진영

    발행년 2014 

    • 조회 수 665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발행년 2015 

    • 조회 수 737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발행년 2011 

    • 조회 수 306

    12 낙태 낙태 경험을 통해 본 '미혼' 여성의 섹슈얼리티(Sexuality) 인식 변화에 관한 연구 / 최원영

    발행년 2003 

    • 조회 수 461

    12 낙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낙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최연수

    발행년 2017 

    • 조회 수 109

    12 낙태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낙태의 윤리적문제 고찰 / 류인자

    발행년 2010 

    • 조회 수 769

    12 낙태 낙태에 대한 생명 윤리적 고찰 : 태아 보호를 중심으로 한 가톨릭 윤리 신학적 관점에서 / 김선화

    발행년 2008 

    • 조회 수 513

    12 낙태 법여성주의를 통해 본 낙태죄의 비판적 고찰 : 여성의 낙태권과 태아의 생명권을 중심으로 / 오승이

    발행년 2007 

    • 조회 수 126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발행년 2011 

    • 조회 수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