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헌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006855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Constitutional Study on the Abortion Decis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제어번호 100006855
저자명 정철  
학술지명 憲法學硏究
권호사항 Vol.19 No.2 [2013] 
발행처 韓國憲法學會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23-360(38쪽)
발행년도 2013년
KDC 362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교보문고
 
초록
헌법재판소는 2012년 8월 23일에 업무상 낙태죄의 전제로서 낙태죄의 위헌여부에 대해 최초로 합헌결정을 내렸다. 헌법재판소는 태아를 생명권의 주체로 인정하여 태아의 생명권이 임부가 가지는 자기운명결정권에 기초한 낙태의 자유보다 더 중요한 헌법적 가치라고 선언하면서 생명의 성장단계에 따른 차등적 보호가능성 역시 수용하지 않았다. 첫째 헌법재판소가 임부의 낙태와 관련된 기본권을 헌법 제10조의 인격권과 행복추구권에서 비롯되는 자기운명결정권으로 포섭한 것은 임부의 낙태의 자유가 임부의 인격권에 기반한 권리임을 밝힌 것이어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임부가 낙태에 직면하여 가지게 되는 사회적 상황을 자기결정권이라는 단일한 기본권적 시각으로 파악한 헌법재판소의 입장은 임부가 직면하는 교육, 노동, 양육 그리고 사회적 차별이라는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소홀히 한 것이어서 향후 낙태문제의 인식에 한계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태아를 생명권의 주체로 파악하여 태아의 생명을 지키려는 헌법재판소의 노력은 헌법질서에 비춰 정당한 것이었지만, 그 논거가 태아 자체의 이익이 아닌 인간존엄의 수호논리와 결합하여 태아의 기본권이 임부의 자기결정권의 행사와의 형량 속에서 인정될 수밖에 없다는 낙태상황을 헌법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방해하고 말았다. 태아의 생명권은 그 생존의 기초가 임부의 신체에 의존한다는 태생적 한계로 인해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 기초한 임부의 자기결정권의 행사에 의해 일정한 제약을 수반해야 하는 상황에 있다. 인간의 생명권 역시 인격권에 기초한 자기결정권이 행사되는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자기결정권의 행사와 형량 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게 된다. 결국, 헌법재판소의 이번 결정은 낙태라는 기본권의 충돌상황을 받아들여 임부의 자기결정권의 행사를 제한하는 입법에 대해 과잉금지원칙이라는 심사기준을 사용했음에도 태아의 생명권을 중시하여 심사기준의 불철저한 적용을 함으로써 임부의 헌법에 기초한 권리실현을 저지하고 말았다. 그 결과 헌법재판소는 비록 합헌결정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현재와 같은 국가의 불완전한 기본권 보호의무의 지속을 승인함으로써 장래 입법자의 낙태에 관한 입법형성의 자유를 상당부분 제약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한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Ⅰ. 서론
Ⅱ. 임부의 낙태에 관한 다층적 기본권 인정의 가능성
Ⅲ. 태아의 생명권의 주체성과 차별적 보호가능성
Ⅳ. 낙태죄에 있어 위헌심사기준과 그 적용의 비판적 검토
Ⅴ. 결어: 헌법재판소의 이번 결정과 입법자의 입법형성의 자유


주제어
낙태  ,태아의 생명권  ,임부의 자기결정권  ,태아의 인격성  ,생명의 잠재성  ,Abortion  ,fetus's right to life  ,self determination right  ,personhood of fetus  ,potentiality of lif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4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53
103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8
102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101 12 낙태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 주호노 2012  228
100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99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98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97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96 12 낙태 낙태에 대한 옹호와 비판 / 박승배 2013  538
95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93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92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91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
90 12 낙태 낙태죄와 낙태권에 대한 소고 / 김용화 2013  161
89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50
88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2014  412
87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
86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85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