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4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부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265571 

일반논문 :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A Theoretical Contemplation about Morality Policy as a New Policy Typology and The Analysis of Its Applicability in South Korea: Focusing on Abortion Policy


제어번호 100265571
저자명 노종호 ( Jong Ho Roh ) 
학술지명 정부학연구(Journal of Governmental Studies)
권호사항 Vol.20 No.3 [2014] 
발행처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101-140(40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4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우리나라의 낙태정책사례를 통해 도덕정책과정의 영향요인인 시민의견과 시민단체, 종교세력, 정치 적 요인, 이슈 현저성, 정당경쟁이 낙태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시민의견과 시민단체는 다른 방식으로 낙태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 을 발견했다. 즉, 낙태를 반대하는 시민들은 조직화된 집단이나 단체를 결성하여 낙태정 책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낙태를 찬성하는 시민들은 낙태를 반대하는 세력이나 집단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낙태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종교세력은 집단차원에서는 종교적· 윤리적 이유로 낙태정책을 강력하게 반대하지만, 개인차원에서 낙태에 대한 종교의 영 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치적 요인의 영향은 미약하나, 개인 차원에 서 국회의원들이 낙태관련 법률안을 발의하거나 입법화함으로써 낙태정책에 영향을 미 친다. 넷째, 낙태문제에 대한 이슈 현저성이 높았던 2009년과 2010년에 국회에서 낙태 관련 법률안의 발의가 많았고 관련 법(모자보건법)의 일부개정이 있었으며, 이러한 이슈 현저성이 2010년 정부의 ‘불법 인공임신중절예방 종합계획’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 로, 정당경쟁이 낙태정책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알 수는 없었다. 그러나 정당경쟁 이 비교적 강했을 때, 낙태관련 법률안의 제정 또는 개정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나, 정당 경쟁과 낙태관련 법률안의 제정이나 개정을 통한 낙태정책 간에 연관관계가 있다는 것 을 간접적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가 도덕정책을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낙태정책사 례를 통해 도덕정책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한 첫 논문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낙태정책  ,도덕적 이슈  ,도덕정책  ,정책유형  ,Abortion Policy  ,Moral Issues  ,Morality Policy  ,Policy Typology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4 12 낙태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심영희 1990  219
63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62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61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60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
59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09
58 12 낙태 한국 사회에서의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찰 / 김세서리아 2019  205
57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3
56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55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54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의 현황과 대책 / 김재연 2015  192
53 12 낙태 낙태죄의 허용 한계 사유와 허용 한계 시기에 대한 고찰 / 박남미 2018  186
52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80
51 12 낙태 낙태죄의 의미 구성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이은진 2017  177
50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49 12 낙태 우리 법의 낙태 규정에 대한 윤리적 검토와 제안 / 유호종, 이경환 2001  169
48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홍석영 2018  168
47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김상득 2018  166
46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45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