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공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887012 

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 The United States Supreme Court’s Decisions Legalizing Same-Sex Marriage and the Implication of Judicial Restraint


 
제어번호 101887012
저자명 송현정(Song, Hyun-Jung)
학술지명 公法學硏究
권호사항 Vol.17 No.2 [2016] 
발행처 한국비교공법학회(KOREAN COMPARATIVE PUBLIC LAW ASSOCIATION) 
발행처URL http://www.kcpla.co.kr
자료유형 학술저널
수록면 31-63(33쪽)
언어 Korean
발행년도 2016년
등재정보 KCI등재
판매처 (주)누리미디어
 
초록
미국 연방 대법원은 위헌심판의 대상이 된 법률이 헌법이 보호하는 기본적 권리를 침해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위헌심사기준을 결정하여 왔다. 하지만 관습적 가치에서 벗어난 새로운 과도기적 가치(대표적으로 동성애)에 대한 헌법적 보호를 요청하는 사건들이 연방 대법원에 도달하면서 기존 위헌심사기준의 틀은 어긋나기 시작하였다. 과거 연방대법원은 사법 적극주의를 펼치며 여론을 무시하고 낙태권을 헌법이 보호하는 기본적
 권리라고 판시하여 대중들로부터 지탄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낙태권을 제한하려는 주(州)차원의 지속적인 시도에 직면한 적이 있다. 이후 연방 대법원은 동일한 경험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하여 동성애과 동성결혼을 금지하는 법을 심판함에 있어 점진적으로 헌법적 보호를 유도하는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이러한 태도는 2013년부터 2015년 사이에 공개된 세 건의 동성결혼금지법 관련 판결에서 더욱 분명히 드러났고, 그 결
 과 전국적으로 동성결혼을 합법화한 연방 대법원의 판결은 여론의 지지를 받으며 미국내에 즉각적이고 전면적인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최초로 동성결혼의 법적 허용을 위한 사건이 계류 중에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동성결혼의 합법화를 이루어 낸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에 대한 분석은 차후 우리나라에서 전개될 동성애 및 동성결혼의 헌법적 보호에 대한 사회적 수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 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여겨진다.

 

 
목차
Ⅰ. 서론
Ⅱ. 동성애 관련 판결에서 적용된 위헌심사기준의 변화
Ⅲ. 동성결혼 관련 판결에서 적용된 위헌심사기준에 대한 검토
Ⅳ. 결론


주제어
연방 대법원  ,위헌심사기준  ,동성애  ,동성결혼  ,실체적 적법절차  ,평등보호  ,United States Supreme Court  ,constitutional review  ,homosexuality  ,same-sex marriage  ,substantive due process  ,equal protectio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4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19
83 12 낙태 낙태에 관한 유럽인권재판소의 입장 : 대한민국에서의 논의에의 시사점 / 오미영 2014  525
82 12 낙태 피임과 낙태 정책에서의 재생산건강권 보장 방안 / 김동식 2014  145
81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3
80 12 낙태 대학생의 낙태, 자살, 안락사에 대한 인식 조사 / 박진영 2014  665
79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1
78 12 낙태 한국 출산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가톨릭교회 입장에서 본 IUD 보급에서 IVF 시술비 지원까지 / 이연숙 외 2015  239
77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76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
75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74 12 낙태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 류화신 2015  249
73 12 낙태 13세 이상 미성년자의 성적 자기결정권 / 이수진 2015  376
72 12 낙태 낙태 범죄화와 여성 섹슈얼리티 통제 -"낙태죄 합헌결정"(헌법재판소 2 012. 8. 23. 선고 2010헌바402 결정) / 이연우 2015  386
71 12 낙태 도덕의 법적 강제에 관한 소고 - 낙태, 동성애 그리고 간통에 대한 판결검토를 중심으로 - / 조해현 2015  345
70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7
69 12 낙태 낙태(인공임신중절) 실태와 쟁점 / 이병호 2015  419
68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의 현황과 대책 / 김재연 2015  192
67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2015  119
66 12 낙태 낙태에 있어 사람의 시기와 낙태의 허용범위에 관한 형사법적 고찰 / 김정오 2016  530
» 12 낙태 동성결혼 합법화 과정에서 나타난 미국 연방 대법원의 위헌심사기준 변화에 대한 논의 / 송현정 2016  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