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1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석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494702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Problem of Artificial Abortion from the Viewpoint of Peter Singer's Bioethics


  • 저자 : 이미경
  • 형태사항 : 76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윤영돈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석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리교육전공 2011. 8
  • 발행국 : 인천
  • 언어 : 한국어
  • 출판년 : 2011
  • 주제어 : 생명윤리, 임신중절, 공리주의, pro-life, pro-choice



초록 ( Abstract )

  •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기술발달도 또한 급격하게 가속화되고 있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윤리적 문제의 발생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빠르게 발달하는 기술에 발맞춰 윤리적 문제의 해...
  •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기술발달도 또한 급격하게 가속화되고 있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서 윤리적 문제의 발생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빠르게 발달하는 기술에 발맞춰 윤리적 문제의 해결 또한 시급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생명기술의 발달로 인해 생기는 윤리적 문제들은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문제라는 점에 있어서 더욱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문제이다.
    생명윤리적 문제 중에서도 임신중절의 문제는 인간의 존엄성과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더욱 무게 있게 다뤄져야 한다. 그러나 생명윤리적 문제는 현실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추상적으로만 다뤄져서는 안 된다. 현실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피터 싱어의 관점은 현실과 친화력이 있다. 피터 싱어는 임신중절의 문제해결을 임산부의 자율권에 맡긴다. 그는 사회복지와 임신부의 자율권을 근거로 사회적으로 임신중절이 불가피하며, 임신중절을 허용하는 것이 최종적으로는 사회에 안정을 가져다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렇듯 피터 싱어의 관점은 현실과 밀접한 해결방법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현시대에 주는 의의가 크다. 하지만 이러한 공리주의적 주장 또한 한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태아의 권리를 고려하면서 임신중절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톰슨의 주장 또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둘은 서로 다르지만 상호보완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하나의 문제는 여러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견지하면서 본 논문은 피터 싱어의 관점을 주축으로 각국의 임신중절 실태, 톰슨의 관점과의 상호 보완성, 임신중절의 최소화를 위한 실천적 과제까지 제시하면서 종합적인 결론을 이끌어냈다.





    목차 ( Index )

     Ⅰ. 서론 1

    1. 연구 필요성 1

    2. 연구 목적 및 범위 3


    Ⅱ. 생명윤리 문제의 대두와 임신중절 5

    1. 현대사회에서의 생명윤리 문제의 대두 5

    1) 과학기술의 발달과 생명윤리 문제 5

    2) 생명윤리 문제로서 임신중절 논쟁 10

    2. 임신중절문제와 각국의 현황 14

    1) 임신중절을 요구하는 목소리 14

    2) 각국의 현황 25


    Ⅲ. 임신중절의 도덕성 문제와 찬반논리 33

    1. 임신중절의 도덕성 문제 33

    2. 임신중절의 찬반논리 35

    1) pro-life의 관점 35

    2) pro-choice의 관점 40


    Ⅳ.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와 임신중절 최소화방안 45

    1.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의 기본성격 45

    2. 임신중절 문제에 대한 피터 싱어의 관점 48

    3. 임신중절에 대한 톰슨의 관점과 피터 싱어와의 상호보완 가능성 52

    1) 임신중절에 대한 톰슨의 관점: 임산부의 자율권 태아의 생명권 52

    2) 톰슨과 피터 싱어의 관점 비교 및 상호 보완성 62

    4. 태아의 생명에 대한 숙고의 의무와 임신중절 최소화 방안 64


    Ⅴ. 결론 70

    참 고 문 헌 72

    Abstract 7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44 12 낙태 낙태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분석 / 장동익 2018  52
    143 12 낙태 낙태의 생명윤리학 / 엄정식 2018  59
    142 12 낙태 ‘낙태 비범죄화’ 논란에 관한 공공신학적 제언 / 문시영 2018  68
    141 12 낙태 여성을 힘들게 하는 건 낙태가 아니라, ‘낙태죄’다 / 윤정원, 홍정훈 2018  68
    140 12 낙태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이광진 2017  72
    139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2017  75
    138 12 낙태 온라인 기반 낙태 이슈 변화 분석 / 김찬우 2018  76
    137 12 낙태 상담을 통한 낙태 결정방식의 헌법적 검토 / 정철 2011  93
    136 12 낙태 출산억제정책으로서 모자보건법과 낙태에 대한 반성적 접근 / 김성진 2010  94
    135 12 낙태 A critical assessment of abortion law and its implementation in South Korea / 김효신 외 2018  95
    134 12 낙태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담론 재고찰 / 윤지선 2017  98
    133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132 12 낙태 여성운동측면으로 본 낙태 / 김상민 1999  101
    131 12 낙태 낙태 담론과 낙태 합법화 추이 / 김민지 2018  103
    130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129 12 낙태 낙태와 생명윤리 / 김성진 외 2018  107
    128 12 낙태 불교와 낙태 / 이미령 2018  107
    127 12 낙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낙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최연수 2017  109
    126 12 낙태 낙태에 대한 개방적 접근의 필요성 / 최규진 2018  109
    125 12 낙태 낙태와 관련된 민사적 제 문제 / 윤부찬 2011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