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아시아여성연구 2013년 제52권 2호 
관련링크 : http://www.dbpia.co.kr/Article/3309231 
한국어 초록
  이 논문은 2010~2011년 사이에 이루어진 여성주의 NGO와의 장기 현지조사 및 낙태 경험을 가진 여성 23명과의 심층 인터뷰, 그리고 의사, 과학자, 정책 담장자와의 면접 자료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변화하는 의료윤리와 저출산 위기 및 생명공학의 발전의 교차점에 위치한 현대 한국에서 이렇게 새로이 부상하는 생명 정치가 어떤 식으로 전문성의 정치에 의해 틀이 지워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낙태에 대한 공적 논쟁과 담론은 모두 단정적인 도덕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고 법적 논쟁에 의해 틀 지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생명윤리적 규제는 여성의 재생산권과 자율성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이해되면서, 많은 여성주의자들은 정책 세계의 언어보다는 여성의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그러한 맥락에서 각국의, 혹은 초국적인 인구 정책이 여성의 재생산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가라는 점에 대해서도 학자들은 많은 주의를 기울여 왔다. 그러나 일단 여성의 경험에 대한 논의가 공적인 영역으로 들어오는 순간, 통계와 객관성처럼 건강 혹은 정책 전문가들이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언어 및 인식적 틀을 사용하도록 요구받게 된다. 이러한 전문 지식의 문화는 여성주의 운동이 “의학적으로 규정된” 사회 문제들을 다루는 데 있어서 새로운 과제를 던져준다고 하겠다.



영어 초록

  Based on the long term fieldwork in a feminist NGO and in-depth interviews with 23 women with abortion experiences from 2010 to 2011, as well as interviews with doctors, scientists and policy-makers,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upon the ways this changing ontological politics of life, at the crossroads of changing biomedical ethics, national depopulation crisis and biotechnological development, has been framed by the politics of expertise in contemporary South Korea. The public debate and the discourse on abortion often tend to be colored by judgmental moralism and/or framed by the legal debate. Confronting the bioethical regulation on abortion, which can seemingly limit the female reproductive rights and autonomy, many feminists have emphasized to prioritize the experiences of women over the languages of policy world. In the same thread, the ways national and transnational population policy has shaped the reproductive experiences of women have been relatively well attended by scholars. Yet, once the talks on women"s experiences enter into the public sphere, they are asked to adopt the same vocabulary and epistemic frame of statistics and objectivity that the experts, whether health or policy, employ. This culture of expert knowledge has posed a new challenge to the ways that feminist movement can engage with “medically-framed” social issues.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사회적 고통”으로서의 낙태  
Ⅲ. 여성 경험의 재현: 전문가 논의와 여성 언어 사의의 괴리
Ⅳ. 여성과 국가: 낙태 경험 재현의 어려움  
Ⅴ. 나가는 말: 전문성의 정치를 여성 운동의 의제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성적 시민권, 사회적 고통, 전문성의 정치, 낙태, 여성주의 운동, sexual citizenship, social suffering, the politics of expertise, abortion, feministmovements



상세서지

  • 발행기관 :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 자료유형 : 전자저널 논문
  • 등재정보 : KCI 등재
  • 작성언어 : 한국어
  • 파일형식 : Text PDF
  • KORMARC
  • URL : http://www.dbpia.co.kr/Article/330923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04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52
103 12 낙태 손상을 가진 태아의 산전 진단과 낙태에 대한 장애학적 논의 / 이지수 2012  158
102 12 낙태 낙태에 대한 헌법적 논의 / 이병규 2012  160
101 12 낙태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 주호노 2012  228
100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99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 12 낙태 성적 시민권의 부재와 사회적 고통 : 한국의 낙태 논쟁에서 여성 경험의 재현과 전문성의 정치 문제 / 백영경 2013  735
97 12 낙태 한국의 낙태규제정책 / 조희원 2013  412
96 12 낙태 낙태에 대한 옹호와 비판 / 박승배 2013  538
95 12 낙태 생명권에 관한 헌법적 논의 / 김민우 2013  527
94 12 낙태 헌법재판소의 낙태결정(2010헌바402)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정철 2013  583
93 12 낙태 낙태에 대한 여성의 인식과 태도 / 김도경 외 2013  538
92 12 낙태 낙태의 이슬람적 시각에 대한 소고 / 김효정 2013  99
91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
90 12 낙태 낙태죄와 낙태권에 대한 소고 / 김용화 2013  161
89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49
88 12 낙태 상권 : 낙태와 헌법 -헌재 2010헌바402결정과 관련하여- / 박승호 2014  412
87 12 낙태 낙태논쟁 속 법담론의 탈관계성 비판 : 낙태죄 헌법소원을 중심으로 / 이선순 2014  345
86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 목진수 2014  593
85 12 낙태 생명/이미지/정치 : 생명 윤리와 생명 정치 사이에서 -낙태를 중심으로- / 공병혜 2014  4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