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9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협성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사회와 윤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5023260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A Christian Ethical Approach to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 저자[authors] 이송주
  • 발행사항 화성 : 협성대학교 대학원, 2019
  • 형태사항[Description] 104 ; 26 cm
  • 일반주기명[Note] 지도교수: 권혁남
  • 학위논문사항[Dissertation] 학위논문(석사)-- 협성대학교 대학원 : 신학과 사회와 윤리 2019. 2
  • 발행국(발행지)[Country] 경기도
  • 출판년[Publication Year] 2019
  • 주제어 낙태 비범죄화,낙태죄,생명의 존엄성,성,성행위,책임
  • 소장기관[Holding] 협성대학교 도서관 (241052)
  • UCI식별코드 I804:41052-200000182349

초록[abstracts] 
현재 낙태에 대한 이슈가 흑백논리로서 진행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낙태에 대한 문제를 찬반의 양자택일로 국한하지 않고 성서적 관점의 해석에 입각하여 낙태문제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시하며 기독교 윤리적 관점으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해 성찰하고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독교 윤리는 생명을 살리기 위해 책임지는 것을 요청한다. 창조주인 하나님의 형상이 부여된 인간의 생명은 다른 피조물과 구별된 존엄한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끝까지 책임지는 사랑’으로 드러난 하나님의 뜻이 기독교 윤리적 지표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 윤리에서 생명이란 책임지고 살려야 하는 존엄한 가치이다.     그러나 낙태는 임신된 태아를 인위적으로 탈락시키는 행위이다. 임신과 출산과 낙태를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주장 하는 이들이 밝힌 낙태의 가장 큰 이유는 ‘원치 않는 임신’이다. 임신은 성과 성의 결합 즉, 성행위로 이루어진다. 성행위는 두 가지 측면의 의미가 있는데, 하나는 한 몸이 된 이들이 기쁨을 향유하는 ‘사회적 의미’이며 하나는 생명을 잉태하는 ‘생식적 의미’이다. 낙태의 비범죄화 요청은 생식적 의미를 생략하고 사회적 의미의 성행위만을 누리기 원하는 이들의 이기심으로서 성행위를 쾌락적 수단으로 전락시킨 것으로부터 나타난 결과이다.     본 연구는 기독교윤리적 접근으로서 생명을 포기하려는 낙태의 비범죄화의 흐름을 개인과 국가와 교회가 생명을 살리기 위한 책임적 자세로 청지기적 역할을 수행하여 변화시키기를 요청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4 12 낙태 낙태의 실태 및 의식에 관한 연구 / 심영희 1990  219
63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 종의 원리, 그리고 생명의 권리 / 장동익 2018  215
62 12 낙태 서유럽 국가들에서의 낙태법 리뷰 / 박건 2018  214
61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60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
59 12 낙태 낙태와 헌법상의 근본가치 /김종세 2010  209
58 12 낙태 한국 사회에서의 낙태담론에 대한 여성철학적 성찰 / 김세서리아 2019  205
57 12 낙태 낙태규제에 관한 미국 판례와 학설의 전개 / 도회근 1998  202
56 12 낙태 낙태 관련 의사결정의 합리화 : 각국의 낙태 상담절차와 규정 / 이은영 2010  199
55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54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의 현황과 대책 / 김재연 2015  192
53 12 낙태 낙태죄의 허용 한계 사유와 허용 한계 시기에 대한 고찰 / 박남미 2018  186
» 12 낙태 낙태의 비범죄화에 대한 기독교윤리적 접근 / 이송주 2019  179
51 12 낙태 낙태죄의 의미 구성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이은진 2017  177
50 12 낙태 낙태에 관한 법적 고찰 및 여대생들의 의식조사 / 이병화 2006  175
49 12 낙태 우리 법의 낙태 규정에 대한 윤리적 검토와 제안 / 유호종, 이경환 2001  169
48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에 대한 토론 / 홍석영 2018  168
47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드워킨의 가치 논변 연구 / 김상득 2018  166
46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45 12 낙태 미국 낙태법상 인지된 동의에 관한 고찰 / 최희경 2013  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