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998484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Problems of a Criminal Abortion and Terminate Pregnancy


  • 저자[authors] 조홍석(Cho, Hong-Suck)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법학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72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75-191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태아의 생명권,산모의 자기결정권,낙태죄,임신중절,모자보건법,생명보호의무,The right to life of the fetus,Self-determination of pregnant women,a Criminal Abortion,Abortion,Mother and Child Health Law,State"s duty to protect life



초록[abstracts]

[원하지 않은 아이를 임신한 여성의 권리를 외면할 수는 없다. 강요된 출산이 여성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가혹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태아의 생명 또한 법의 보호가 필요없을 정도로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태아는 비록 여성의 몸속에 존재하고 있지만 법으로 보호되어야 할 인간생명체이다. 우리 형법은 합법적 임신중절의 범위를 너무 좁게 본다. 사회경제적 사유로 인한 임신중절이 전혀 배제되어 있다. Pro Life 지향적이다. 미국은 임신중절을 너무 쉽게 허용한다. Pro Choice 지향적이다.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는 방안에 대하여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시점이다. 독일식 상담규정은 Pro Life와 Pro Choice를 절충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설득력이 높다. 태아의 생명보호라는 가치를 훼손하지 않으면서, 산모의 자기결정권을 제한하지 않는 독일식 상담규정이 문제해결을 위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낙태허용국가에서 낙태율이 떨어진다는 주장은 독일식 상담규정의 장점을 잘 설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You can not ignore the rights of a woman who is pregnant with an unwanted child. The impact of forced childbirth on women"s lives can be severe. However, the life of the fetus is not without value as it does not require the protection of the law. The fetus is a human life form that should be protected by law, although it exists in the female body. Our criminal law looks too narrow the scope of legitimate abortion. Pregnancy termination due to socioeconomic reasons is completely excluded. Forcing women to give birth in a situation where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the unmarried mothers is poor, especially for women who are forced to make a living every day, will be a great burden that can not be overcome by the state. Of course, socioeconomic reasons are ambiguous and there are concerns that the reasons for acceptance may be too much, and as a result, the provisions for self-abortion may be sourced. Pro Life is oriented. The United States allows abortion too easily. Pro Choice is oriented. It is time to seriously consider how to protect the life of the fetus. German counseling is highly persuasive in that it compromises Pro Life and Pro Choice. A German-style counseling rule that does not limit the mother"s right to self-determination without compromising the value of the life protection of the fetus can be a good alternative for solving problems. Some argue that the abortion rate is falling in the countries where abortion is permitted. Rather, “the abortion rate falls in the countries where abortion is allowed” is a good explanation of the advantages of the German counseling rule.]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요약  Ⅰ.들어가는 글  Ⅱ. 낙태에 관한 현행 법률과 문제점  Ⅲ. 낙태에 관한 한국, 미국, 독일 최고 재판소의 태도  Ⅳ. 낙태죄 폐지와 그 결정방식  Ⅴ. 마치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44 12 낙태 미국에서의 낙태 규범과 범죄와의 상관관계 분석연구에 대한 고찰 / 이인영 2012  20348
143 12 낙태 낙태죄의 현실적응력 : 의사의 면허와 관련하여 / 김혜경 2007  19062
142 12 낙태 임신중절의 핵심쟁점과 윤리적 논쟁들에 관한 연구 / 문수례 2007  4916
141 12 낙태 사례연구 : 영국,미국,독일,프랑스의 낙태 규제 입법과 판례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이희훈 2014  4749
140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2016  3704
139 12 낙태 피터 싱어의 생명윤리 관점에서 본 임신 중절의 문제 / 이미경 2011  2761
138 12 낙태 연구논문 : 낙태에 대한 태도와 종교: 한국, 일본, 미국, 필리핀 국제비교분석 / 김상욱 외 2015  1834
137 12 낙태 낙태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의 제시 / 성중탁 2014  1643
136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2018  1542
135 12 낙태 피터 싱어의 공리주의적 인간관에 대한 기독교적 입장에서의 비판 : 낙태문제(Abortion)를 중심으로 / 차영도 2011  1313
134 12 낙태 낙태 문제에 대한 조셉 플레처(Joseph Fletcher)의 상황윤리(Situation Ethics) 관점에서 본 이해와 비판 / 지장규 2008  1193
133 12 낙태 낙태의 윤리적 문제 / 구인회 2018  1010
132 12 낙태 합리적인 낙태규제 방안 : 낙태는 자유인가 살인인가? / 김재윤 2013  974
» 12 낙태 낙태죄와 임신중절의 문제 / 조홍석 2018  970
130 12 낙태 논문 : 낙태 비범죄화론 / 조국 2013  871
129 12 낙태 임신중절에 대한 생명의료윤리학적 고찰 / 박소연 2004  844
128 12 낙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권과 건강권 침해 실태와 정책과제 / 김동식 2017  805
127 12 낙태 생명존중의 관점에서 본 낙태의 윤리적문제 고찰 / 류인자 2010  768
126 12 낙태 독일과의 비교를 통해 본 한국의 낙태문제 / 메르베지벨렉 2018  759
125 12 낙태 낙태죄 관련 규정의 합리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송근화 2015  7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