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의료법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518312 
낙태죄 존치론에 대한 반론 

= Kritik an Kriminalisierungstheorie des Schwangerschaftsabbruchs

  • 저자[authors] 이석배(Lee, Seok-Ba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의료법학회지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6No.1[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의료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75-9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낙태죄,자기결정권,태아의 법적 지위,생명권,모자보건법,Abtreibung, Schwangerschaftsabbruch, Selbstbestimmungsrecht, Grundrechtssubjektivitat des Fotus, Lebensrecht, Das Gesetz uber die Gesundheit der Mutter und des Kind

초록[abstracts] 
[최근 낙태죄의 존폐론에 대한 논쟁이 다시 불붙고 있다. 낙태죄 폐지 청원에서 학자들의 지지성명과 반대성명이 나왔으며, 헌법재판소에서 낙태죄 위헌여부에 관한 공개변론도 있었다.    이 논쟁의 역사는 형법제정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연구는 우선 형법제정시부터 형법개정논의는 물론 2000년 이후 헌법재판소의 결정까지 존치론의 논거를 검토한 결과, 낙태죄의 존치론에서 주장하는 논거는 항상 태아도 존엄한 인간의 잠재성을 가진 존재로 존엄권을 가지는 기본권 주체로 인정하고, 태아의 생명권과 임부의 자기결정권 충돌 문제로 파악하여 태아의 생명권에 우위를 인정하는 구조이며, 이에 덧붙여 낙태의 허용은 성도덕의 타락과 생명윤리경시풍조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논리는 태아의 생명을 단계에 따라 보호한다는 점을 인정하는 한, 법적인 논증구조에서 모순을 해결할 수 없다. 특히 태아의 존엄권과 생명권을 긍정하는 입장에서는 모든 낙태를 금지하고 살인죄 유사하게 취급해야 하지만, 종교적인 주장 이외에 법적인 주장은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태아의 생명보호가 태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인정하는 것이 전제가 되는 것도 아니다. 기본권 주체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우리 전체 법질서에서 보호필요성이 인정된다면 법적인 보호가 가능하다는 점은 이미 헌법재판소도 인정한 바 있다. 따라서 논증의 해결할 수 없는 어려움을 감수하면서 태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인정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이 논문은 착상시부터 출생, 사망시까지 모든 생명은 동일하며 존엄하다는 테제의 포기가 논의의 출발점이어야 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아울러 성도덕과 생명윤리를 형법을 통해 보호하는 것이 가능한지 그리고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검토하였다.    낙태죄의 존폐와 관련하여 태아의 기본권 주체성을 부정하는 것이 언제나 낙태죄 존치론이 승리할 수밖에 없는 논증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것으로 새로운 논의의 출발점을 삼을 수 있다. 결국 낙태죄 존폐의 논쟁은 태아의 생명권과 임부의 자기결정권 충돌문제가 아니라, 임부의 자기결정권을 비록 기본권 주체는 아니더라도 태아의 생명보호 필요성으로 어디까지 제한 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 접근하여야 한다.]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들어가며  II. 우리나라에서 낙태죄 규정 관련 논의와 변천  III. 낙태죄 존치론의 논거와 그에 대한 비판  IV. 결론 - 낙태죄의 개선방향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 장동익

발행년 2018 

  • 조회 수 293

12 낙태 여성 인권으로서의 임신중단권 / 김채윤

발행년 2018 

  • 조회 수 477

12 낙태 낙태 문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세계 각국의 입법례와 판례를 중심으로 - / 김광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9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58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예방을 위한 한국마더세이프전문상담센터 운영에 따른 비용-편익 / 한정열 외

발행년 2015 

  • 조회 수 119

12 낙태 인공임신중절의 현황과 대책 / 김재연

발행년 2015 

  • 조회 수 192

12 낙태 낙태죄에 관한 재론-실정법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임종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148

12 낙태 피임과 낙태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 유혜숙

발행년 2018 

  • 조회 수 388

12 낙태 낙태 윤리에서 인격체 논변의 기본 전략 분석 / 장동익

발행년 2018 

  • 조회 수 52

12 낙태 낙태죄 존치론에 대한 반론 / 이석배

발행년 2018 

  • 조회 수 231

12 낙태 이슬람세계의 낙태문화에 대한 이해 - MENA 지역을 중심으로 / 김종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542

12 낙태 낙태죄의 위헌성에 관한 고찰 / 신옥주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5

12 낙태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이광진

발행년 2017 

  • 조회 수 72

12 낙태 낙태죄 폐지에 대한 법적 이해에 대하여 / 신동일

발행년 2018 

  • 조회 수 284

12 낙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권과 건강권 침해 실태와 정책과제 / 김동식

발행년 2017 

  • 조회 수 805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발행년 2017 

  • 조회 수 488

12 낙태 불교와 낙태 / 이미령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7

12 낙태 대중문화 속 낙태 재현에 관한 연구 / 김수지

발행년 2018 

  • 조회 수 114

12 낙태 낙태죄 헌법소원과 여성의 ‘목소리’[2] ―법과 낙태실천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양현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39

12 낙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서의 낙태 / 배정순

발행년 2018 

  • 조회 수 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