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漢陽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046734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the fetus and abortion

  • 저자[authors] 이광진(Lee, Kwang-Ji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漢陽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8No.4[2017]
  • 발행처[publisher] 한양법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29-148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7
  • 주제어[descriptor] 임신중절,과도한 부담,태아,생명권,프라이버시권,모자보건법,abortion,undue burden,fetus,right to life,right of privacy,Mother and Child Health Act

초록[abstracts] 
[The current Constitution does not prescribe the right to life. However human life is protected by basic rights, whether or not there is a provision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There is no doubt that the subject of the right to life includes the fetus, which is a life that has not yet been born.    When does the fetus become the subject of the right to life as human? This is directly related to the issue of being protected from abortion, which is forced to die before the fetus can even begin life as a human being.    And the problem of abortion is related to the fetus’s right to life, the mother"s privacy or self-determination regarding pregnancy.    The U.S. Supreme Court has taken the position that it is a constitutional violation if the legal discipline of abortion causes undue burden on pregnant women. And recently, the U.S. Supreme Court ruled that two provisons(admitting privileges requirement, surgical-center requirement) in a texas Law place a substantial obstacle in the path of women seeking an abortion, constitute an undue burden on abortion access, and therefore violate the Constitution[Whole Woman’s Health v. Hellerstedt, 579 U.S. 2016)].    By the way, I think that the consent of the spouse prescribed by current Mother and Child Health Act is unconstitutional according to the precedent of the United States. This is because it puts an undue burden on the woman to infringe her self-determination on pregnancy. Therefore,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vise(amend) the Mother and Child Health Act to supplement the counsultation model in the current term model.]

목차[Table of content] 
Ⅰ. 서론  Ⅱ.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의 문제  Ⅲ. 미국연방대법원의 임신중절 관련 판례의 변화  Ⅳ. 결론 -현행 모자보건법의 개선방향에 관하여-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4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
63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5
62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61 12 낙태 낙태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최현정 2016  373
60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2016  3704
59 12 낙태 형법상 낙태죄 처벌규정의 위헌성에 대한 재조명 / 남정아, 이상경 2017  116
58 12 낙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낙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최연수 2017  109
57 12 낙태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소고 / 이재학 2017  115
56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55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54 12 낙태 낙태죄의 의미 구성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이은진 2017  177
53 12 낙태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담론 재고찰 / 윤지선 2017  98
52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51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2017  75
50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8
49 12 낙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권과 건강권 침해 실태와 정책과제 / 김동식 2017  805
» 12 낙태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이광진 2017  73
47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2017  458
46 12 낙태 낙태에 대한 형사처벌의 시대착오 / 하정옥 2018  116
45 12 낙태 낙태행위의 법적 체계와 그 이해 / 신동일 2018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