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생명, 윤리와 정책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316256 
낙태죄 폐지에 대한 법적 이해에 대하여 

= Legal Understanding on Abolition of Abortion

  • 저자[authors] 신동일(Dongyiel Syn)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생명, 윤리와 정책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No.1[2018]
  • 발행처[publisher] 국가생명윤리정책원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53-74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낙태행위,낙태죄,모자보건법,정당화사유,사회경제적 적응사유,생명권,국가의 절대적 시민생명보호,abortion,Protection of Matherhood Act,legal justification of abortion,socio-economical indication,state duty to protect life of citizen

초록[abstracts] 
[낙태의 논의는 「형법」제269조와 제270조의 폐지로 방향이 전환되고 있다. 초기논의는 여성의 평등한 사회적 참여보장을 위한 방안이었고, 그 후는 「모자보건법」제14조 제1항의 소위 낙태행위 정당화사유에 사회-경제적 적응사유의 추가가 쟁점이었다. 이미 여러차례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형법상 낙태의 죄가 위헌적인 규정이 아님을 밝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롭게 청구된 위헌법률심판 청구는 조만간 변론에 처해질 예상이다. 낙태행위는 합리적인 논의과정을 거쳐서 「형법」에 규정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그 규정의 역사도 배경을 추적하기 어려울 정도로 오래되었지만 1973년 미국의 판결로부터 촉발된 낙태행위의 일부 합법화도 전문적인 논의를 따라 추진된 결론은 아니었다. 낙태행위를 둘러싼 일반적 논의와 달리 「형법」의 비범죄화나 금지규범 폐지를 위하여는 전문적 논의가 필요하다. 법학은 다른 분과의 학문영역과 유사하게 그 자체의 논의규칙과 그에 따른 결론 제시 방법이 정해진 하나의 독립 과학이기 때문이다. 법이론과 체계적으로 볼 때 낙태행위의 문제는 다른 영역의 해결책을 검토한 후 최종 단계에서 법이론적인 분석을 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debate on abortion is transforming today into the abolition of sections 269 and 270 in criminal law which ban certain types of the illegal termination of fetus. Previously it was a discussion of equality and fairness for women. And then it turned to claim for legalization of socio-economical indication. Some bills committed to legislation of socio. economic indication onto section 14 (1) of the Matherhood Protection Act. More than twic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 held that the prohibition of abortion under criminal law would be constitutional. Nonetheless we forsee a new constitutional process on the same issue. In fact the background of criminalization of abortion was not clear; the discriminalization of abortion would have political background rather than legal. The verdict Roe v. Wade in 1973 was accidental. To criminalize a certain provision is to institutionalize it within due legal process. In addition the provision againt abortion is related with duty of state under the upper rule of law.]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  1. 서론: 주장들  2. 낙태의 죄  3. 낙태행위의 비범죄화?  4. 사회경제적 적응사유?  5. 법을 통한 해결 방식과 그 원리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84 12 낙태 독일과 한국에서의 낙태의 규범적 평가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 김학태 2010  322
83 12 낙태 낙태규율의 원칙과 방법 / 김진 2011  306
82 12 낙태 임신중절에 관한 포털뉴스와 댓글 담론의 근거이론적 분석 / 김은진, 강주현 2019  295
81 12 낙태 낙태의 윤리에서 의무 윤리의 한계와 덕 윤리의 시사점 / 장동익 2018  292
» 12 낙태 낙태죄 폐지에 대한 법적 이해에 대하여 / 신동일 2018  284
79 12 낙태 통계로 본 가족실태 및 태도와 그 사목적 의의 / 조세희 2015  271
78 12 낙태 낙태(落胎)(죄(罪))와 불교(佛敎)의 생명관(生命觀)/이규호 2018  268
77 12 낙태 낙태 논의에 있어서 태아의 존재론적 위상과 도덕적 위상 / 유호종 2003  266
76 12 낙태 임산부의 산전 기형아 검사에 관한 지식과 정보 요구 및 낙태에 대한 태도 / 전명희 외 2018  260
75 12 낙태 여성주의 안에 나타나는 딜레마에 대한 이해 시도 / 최형미 2014  253
74 12 낙태 ‘원치 않은 삶’ 소송과 의료과오책임 - 인간존엄성 위기 논의를 중심으로 / 류화신 2015  249
73 12 낙태 한국 출산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 가톨릭교회 입장에서 본 IUD 보급에서 IVF 시술비 지원까지 / 이연숙 외 2015  239
72 12 낙태 낙태 예방 공익 캠페인 메시지 연구 / 조수영 2015  238
71 12 낙태 68년 이후 프랑스 여성운동과 낙태 합법화 / 민유기 2018  236
70 12 낙태 유럽 각국의 낙태 접근과 여성건강 : 한국 낙태논쟁에 대한 함의 / 정진주 2010  233
69 12 낙태 낙태죄 존치론에 대한 반론 / 이석배 2018  231
68 12 낙태 치료적 낙태와 태아의 도덕적 지위에 관한 고찰 / 장동익 2019  231
67 12 낙태 생명윤리에 관한 일연구 : 인공유산의 도덕성을 중심으로 / 원종훈 1989  228
66 12 낙태 낙태에 관한 규정의 현황과 모자보건법의 합리적 개정방안 / 주호노 2012  228
65 12 낙태 새로운 정책유형으로서 도덕정책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탐구: 낙태정책을 중심으로 / 노종호 2014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