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144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법학논고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378583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소고

= Review on the Controversy on the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 from the perspective of harmony of life and liberty -

• 저자명 : 이재학(Lee, Jae-Hak) 
• 학술지명 : 법학논고
• 권호사항 : Vol.59 No.- [2017]
• 발행처 :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13-151(39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7년
• KDC : 360.5
• 주제어 : 낙태죄 ,범죄화 ,비범죄화 ,자기결정권 ,재생산권 ,Criminality of Abortion ,Criminalization ,Decriminalization ,Self-Determination Right,Reproductive Right

초록

국가 및 사회는 구성원의 다양한 가치와 견해에 대한 합의에 바탕을 둔 운명공동체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다양성을 고려하지 않으며 적정한 민주적 절차를 경시하는 주장을 전적으로 인정 또는 부정하는 사회는 구성원의 바람직한 공동체의식의 형성을 저해하며 발전적 미래상에 장애를 초래할 것이다. 다름을 인정하고 합의에 이르렀을 때 진정한 공동체의식이 형성되는 것이며 그러한 공동체의식을 갖는 사회만이 지속성과 영속성을 향유할 수 있는 것이다. 낙태를 형벌로서 단죄할 것인가 또는 임부의 자기결정권 및 재생산권을 우선하여 낙태를 비범죄화 할 것인가의 문제에서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것이 있다. 낙태선택론의 논거 중 하나인 낙태를 비범죄화한 국가에서의 낙태가 범죄화한 국가에서보다 더 적게 행해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낙태의 비범죄화와 관련하여 경계해야 하는 것은 많고 적음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초기형태인 태아의 생명, 즉 잠재적 인간의 생명을 인위적으로 그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강제적으로 박탈한다는 것이다. 임부의 자기결정권 및 재생산권 역시 중요하듯이 태아의 생명 역시 중요하다. 따라서 범죄화 또는 비범죄화라는 극단적인 자세보다는 양 보호법익에 대한 적정한 보호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그와 같은 양 보호법익에 대한 적정한 보호와 동시에 사회적 갈등의 해소를 통한 바람직한 사회 구성원의 공동체의식의 형성을 위하여 사회통합적 해결방안 및 입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낙태죄의 보호법익 및 낙태규정과 외국의 입법례
Ⅲ. 헌법재판소 2012. 8. 23. 2010헌바402 결정 및 낙태담론
Ⅳ.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사회통합적 입법론 및 해결 방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64 12 낙태 생명권력과 우생주의, 그리고 장애인의 생명권 / 김도현 2016  211
63 12 낙태 공적개발원조(ODA) 출산조절을 통해 본 수원국 여성 행위자 : 라오스 터울조절과 라오룸(Lao-loum)족 여성들의 낙태를 중심으로 / 김양희 2016  334
62 12 낙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제안과 그 적용: 낙태에서 여성의 자기결정권을 중심으로 / 송윤진 2016  165
61 12 낙태 낙태죄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 최현정 2016  373
60 12 낙태 ‘미혼모’의 인권제고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비교법적 연구 / 신옥주 2016  3704
59 12 낙태 형법상 낙태죄 처벌규정의 위헌성에 대한 재조명 / 남정아, 이상경 2017  116
58 12 낙태 여성의 자기 결정권과 낙태에 관한 윤리신학적 고찰 / 최연수 2017  109
» 12 낙태 낙태죄의 비범죄화 논란에 대한 소고 / 이재학 2017  115
56 12 낙태 낙태죄 폐지논란으로 바라본 여성 주체성 회복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 문한나 2017  214
55 12 낙태 낙태절차에 관한 미국 연방대법원 결정이 우리나라 낙태규제에 주는 시사점 / 오영인 2017  195
54 12 낙태 낙태죄의 의미 구성에 대한 역사사회학적 고찰/이은진 2017  177
53 12 낙태 가부장제 의미경제 구조 분석을 통한 인공 임신중절 담론 재고찰 / 윤지선 2017  98
52 12 낙태 학제성(interdisciplinarity)으로 바라본 낙태(abortion)문제의 의료상담모델(MCA) / 이원경 외 2017  106
51 12 낙태 소셜 빅데이터를 이용한 낙태의 경향성과 정책적 예방전략 / 박명배 외 2017  75
50 12 낙태 2,30대 성인남성의 낙태에 대한 인식 / 김금남 외 2017  488
49 12 낙태 낙태죄로 인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권과 건강권 침해 실태와 정책과제 / 김동식 2017  805
48 12 낙태 헌법상 태아의 보호와 임신중절 / 이광진 2017  72
47 12 낙태 임신중단(낙태)에 관한 여성의 인식과 경험 조사 / 김동식 외 2017  458
46 12 낙태 낙태에 대한 형사처벌의 시대착오 / 하정옥 2018  116
45 12 낙태 낙태행위의 법적 체계와 그 이해 / 신동일 2018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