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0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2127452 
탈북여성의 북한, 중국, 한국에서의 결혼생활을 통해본 인권침해와 정체성 변화과정 : 탈북여성에 대한 심층면접을 중심으로 = (The) abuses of human rights and identity change processes of women defectors from North Korea : focusing on married lives of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in North Korea, China, and South Korea

                                        

  • 저자

    이화진                                       

  • 형태사항

    vii, 247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

    국문요지: p. v-vii
    Abstract: p. 244-247
    설명적 각주 수록
    지도교수: 심영희
    참고문헌: p. 234-24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한양대학교 대학원 : 사회학과 2010. 8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0

초록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탈북여성들에 대한 북한과 중국, 그리고 한국이라는 국가별 이동에 따른 경험에서의 인권문제와 행위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북한을 출발하여 한국으로 오기까지 탈...
  • 이 연구의 목적은 탈북여성들에 대한 북한과 중국, 그리고 한국이라는 국가별 이동에 따른 경험에서의 인권문제와 행위의 변화를 고찰하는 것이다. 북한을 출발하여 한국으로 오기까지 탈북여성의 경험은 삶의 연속선상에서 이해하고 여성주의 관점에서 논의함으로써 잘 드러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여성들의 입장에서 여성들의 경험을 담아내기 위하여 사적경험인 결혼생활을 북한, 중국, 한국의 사회구조와 행위의 관계로 분석하고 개인의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각 공간에서의 구조적 인권문제와 이에 대한 행위를 공간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요지..............................................v
  • I 서론...................................................................................................1
  •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1
  • 2 연구방법...........................................................................................6
  • 1) 심층면접........................................................................................7
  • 2) 참여관찰........................................................................................14
  • 3) 연구대상........................................................................................17
  • II 이론적 배경.......................................................................................23
  • 1 사회구조와 행위...............................................................................23
  • 2 인권과 인간안보...............................................................................27
  • 1) 여성인권과 가부장제.....................................................................27
  • 2) 인간안보와 여성............................................................................31
  • 3 여성의 정체성..................................................................................34
  • 4 선행연구...........................................................................................40
  • 5 연구 분석틀.....................................................................................50
  • III 북한에서의 빈곤과 가부장적 억압..................................................53
  • 1 북한체제의 가부장적 특성과 빈곤..................................................53
  • 1) 여성의 생계부담 증가와 가부장적 삶..........................................55
  • 2) 탈북의 여성화와 탈북여성의 특성...............................................56
  • 2 구조적 문제로서의 인권문제..........................................................60
  • 1) 빈곤과 생계담당의 어려움.........................................................60
  • 2) 가부장적 제도 안에서의 인권문제.............................................67
  • (1) 남편(세대주)에 종속된 존재로서 겪는 피해..........................68
  • (2) 결혼연령 규제로 인한 낙태.................................................70
  • (3) 성별, 결혼유무에 따른 장사제한.........................................72
  • (4) 이혼의 어려움......................................................................76
  • 3) 남편과의 관계에서의 인권문제.................................................78
  • (1) 남편의 외도와 폭력.............................................................78
  • (2) 자율적 성관계 제한.............................................................81
  • 3 대응 및 행위...............................................................................83
  • 1) 전통적 여성 역할 수용...........................................................83
  • 2) 탈북........................................................................................86
  • IV 중국에서의 불안한 신분과 강제결혼.............................................90
  • 1 중국내 탈북여성들의 실태...........................................................90
  • 1) 북한과 중국관계의 역사와 탈북인에 대한 강제송환..............90
  • 2) 중국내 탈북여성 증가의 배경................................................93
  • 3) 안전을 위한 중국남성과의 결혼.............................................95
  • 2 구조적 문제로서의 인권 - 불안한 신분과 강제결혼..................99
  • 1) 불안한 신분으로 인한 폭력과 위축된 삶...............................99
  • (1) 강제송환............................................................................99
  • (2) 폭력, 감금.........................................................................101
  • (3) 위축된 삶..........................................................................104
  • 2) 가족관계 내에서의 인권문제.................................................109
  • (1) 강제결혼.............................................................................109
  • (2) 원치 않는 성관계와 출산...................................................114
  • 3 대응 및 행위.............................................................................120
  • 1) 결혼 수용...............................................................................120
  • 2) 신분증('호구') 구입................................................................127
  • 3) 적극적 적응............................................................................129
  • (1) 남편 신뢰하기, 정붙이기...................................................129
  • (2) 음식, 언어 적응하기............................................................133
  • (3) 돈 벌기................................................................................136
  • 4) 한국행.......................................................................................140
  • V 한국에서의 사회적 차별과 결혼생활의 변화...................................146
  • 1 한국에 입국한 새터민의 실태......................................................146
  • 1) 입국현황....................................................................................146
  • 2) 입국방법....................................................................................151
  • 3) 정착과정....................................................................................156
  • 4) 탈북여성의 사회적 차별과 결혼생활의 변화.............................158
  • 2 결혼관계에서 드러난 사회적 차별.................................................161
  • 1) 중국남편과의 관계에서 드러난 사회적 차별...............................161
  • (1) 중국남편 초청에 대한 부정적 의견.........................................161
  • (2) 경제적 어려움과 남편의 부적응..............................................164
  • 2) 한국인 남편과의 관계에서 드러난 가부장적 차별......................166
  • 3 결혼관계에 드러난 사회적 차별에 대한 대응 및 행위..................169
  • 1) 수동적 태도...............................................................................169
  • 2) 이혼...........................................................................................172
  • 3) 상처치유와 갈등극복.................................................................173
  • 4) 관계 유지를 위한 노력..............................................................177
  • VI 인권침해와 결혼생활을 통한 정체성 변화과정..................183
  • 1 한국입국 이후 혼인상태의 변화...............................183
  • 1) 중국에서 만난 남편과 함께 사는 경우(기혼).................186
  • 2) 중국남편 초청 안하고 다른 남성과 사는 경우................196
  • 3) 중국남편 초청 이후 헤어지고 혼자 사는 경우(독신)..........200
  • 4) 중국남편 초청하지 않은 경우(독신).........................202
  • 2 혼인상태의 변화를 통해본 정체성 변화....................209
  • 1) 의존적 유형 - 현재 독신, 현재 기혼..........................210
  • 2) 희생적 유형 - 현재 독신, 현재 기혼............................................215
  • 3) 주체적 유형 - 현재 독신, 현재 기혼...........................................218
  • 3 정체성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225
  • 1) 각 공간에서의 인권침해 경험................................225
  • 2) 결혼생활을 통한 경험 : 남편의 경제적 능력과 국적.............227
  • VII 결론.................................................................................................229
  • 참고문헌.................................................................................................234
  • Abstracts...............................................................................................24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53 10 성/젠더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김경희, 송리라 2016  41
52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2018  69
51 10 성/젠더 젠더관점에서의 난자 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대한 검토 / 이유정 2014  85
50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6
49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48 10 성/젠더 복지국가의 일∙가족양립정책과 성역할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전태양 2018  101
47 10 성/젠더 한 중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비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108
46 10 성/젠더 중국의 인구정책변화와 혼인출산 동향 / Ma Chunhua 2019  117
45 10 성/젠더 `자율성 중심의 성윤리`에서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 중심의 성윤리`로: 성윤리 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천명주 2016  119
44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43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8
42 10 성/젠더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창호 2017  134
41 10 성/젠더 온라인 게임내 성차별 실태 조사 및 제재 시스템 디자인 연구 / 맹욱재 외 2018  161
40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2018  164
39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38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68
37 10 성/젠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강지희 2019  176
36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91
35 10 성/젠더 성 정치와 '성전환자' 범주를 둘러싼 사법적 논쟁 : 1990년대 이후 국내 판결문 분석 / 강민형 2019  195
34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