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문화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677183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Changing Sexuality of Vietnam Women and North Korean Women: Focusing around the ‘Doi Moi’ and ‘March of Arduous’


  • 저자[authors] 권금상(Kwon, keum sang)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문화연구
  • 권호사항[Volume/Issue] Vol.6No.2[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문화연구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3-47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KDC[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800
  • 주제어[descriptor] 섹슈얼리티,‘도이모이’,‘고난의 행군’,베트남여성,북한 여성,sexuality,doimoi,march of Arduous,Vietnamese women,North Korean women

국문 초록[abstracts] 

이 연구는 베트남과 북한이 경험한 급격한 사회변동에 따라 변화한 두 나라 여성들의 섹슈얼리티를 조명하고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베트남과 북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비교하는 것은 두 나라가 사회주의 국가이며 급격한 사회변동의 사회적 맥락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통 베트남사 회에서 여성들은 가정의 돌봄 영역에 배치되어왔으나 개혁⋅개방정책인 ‘도이모이’(Doimoi)실시 이후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했다. 그러한 변화에 따라 여성들은 사회적 지위와 성에 대한 인식은 변화하고 있으나 일상에서는 유교문화와 가부장 규범을 승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북한여성들은 사회주의 건설이후 집단적 규범에 따랐으나 장기간의 기근과 배급제가 중단된 ‘고난의 행군’시기를 통해 생존의 주체로 나서며 전통적인 성 규범으로부터 균열을 만드는 주체로 변화했다. 북한 여성들은 밀수와 장마당 등 에서 경제활동을 하면서 기존의 성 역할에 경합하며 부분적으로 사회적 변화를 이끌게 되었다. 두 나라가 경험한 사회변동 속에서 (재)구성된 여성들 의 섹슈얼리티는 변화에 조우하고 경합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 내구성 있는 생존 기제(機制)였다.


다국어 초록[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illuminate the sexuality of the women of the two countries that have changed in response to the rapid social changes experienced by Vietnam and North Korea and to search for meaning. The comparison of the sexuality of Vietnam and North Korean women is because the two countries are socialist countries and share the social context of rapid social change. This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the sexes of women around Doimoi, a reform and opening policy, through a field survey in Vietnam. In addition, this study has highlighted women’s post-war sexuality perceptions and practices in North Korean refugee women who experienced a march of hardship that brought about rapid changes in North Korean society from the mid-1990s to around the 2nd millennium. In traditional Vietnamese society, women have been placed in the family care area, but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economic activities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policy. As a result of such changes, women’s perception of social status and gender is changing, but everyday life tends to approve Confucian culture and patriarchal norms. North Korean women have become the subject of survival through long periods of hunger and rush of troubled times, creating a crack from traditional sexual norms. North Korean women were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such as smuggling and marketplace, competing with the existing gender roles and leading to social changes in part.  The sexuality of the women who actively encountered and compete in the social changes experienced by the two countries was a durable survival mechanism.


목차[Table of conten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사회변동과 여성 삶의 변화 

4. 사회변화에 따른 성 의식과 성 실천  

5. 결론: 두 나라 여성들의 섹슈얼리티 변화의 의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13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12 10 성/젠더 개발도상국 여성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원인, 윤리적 이슈 및 해결책 고찰 / 이상미 외 2018  462
»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2018  69
10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9 10 성/젠더 한 중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비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108
8 10 성/젠더 중국의 인구정책변화와 혼인출산 동향 / Ma Chunhua 2019  117
7 10 성/젠더 성매매 규제 및 성매매여성의 탈(脫)성매매를 위한 법제도적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 / 최정일 2018  404
6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91
5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4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0
3 10 성/젠더 젠더관점에서의 난자 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대한 검토 / 이유정 2014  86
2 10 성/젠더 미성년 미혼모와 그 자에 대한 권리보호 - 미성년 미혼모의 성년의제와 그 자에 대한 친권대행 문제를 중심으로 - / 조은희 2018  371
1 10 성/젠더 #미투(MeToo)운동을 통해 본 법과 현실의 괴리/ 이미경 2018  5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