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江原法學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62289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The Same-Sex Marriage Law in France : What is the ‘Marriage’ for Everyone?

  • 저자[authors] 채형복(Hyung-bok Chae)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江原法學
  • 권호사항[Volume/Issue] Vol.54No.-[2018]
  • 발행처[publisher]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41-69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동성결혼,모두를 위한 결혼,시민연대계약,입양,생식보조의료,same-sex marriage,le mariage pour tous,PACS,adoption,procreation medicalement assistee(PMA),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RT)

초록[abstracts] 
[2013년 5월 19일 프랑스에서는 “모두를 위한 결혼(le mariage pour tous)”으로 불리는 동성결혼법이 시행되었다. 이로써 동성결혼은 동거 및 시민연대계약(PACS)의 유연성과 전통적인 결혼의 보장성을 결합한 대안적 가족구성원리로 정착하게 되었다.    동성결혼법의 시행으로 결혼에 대해 가지고 인식과 사회구조에 적지 않은 변화가 초래되었다. 첫째, 남녀라는 이성 간 결합으로 이뤄진다는 혼인에 대한 관념이 더 이상 유지될 수 없게 되었다. 이 법의 시행으로 혼인은 ‘이성 혹은 동성 양당사자 간 결합’으로 체결된다.    둘째, 이제까지 생식에 의한 출산이라는 전제 아래 유지되던 전통적인 가족 형태는 해체되어 재구성되게 되었다. 동성혼부부도 자녀를 입양할 수 있게 되어 가족관계는 ‘이성’부부 사이의 혼인관계에서 ‘동성’부부와 자녀관계로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하지만 이성혼부부와 달리 동성혼부부에게는 생식보조의료가 허용되지 않는다. 이 주제는 “동성부부에 의한 자녀의 양육권”에 관한 문제로 프랑스에서 현재도 치열하게 논의되고 있다., 

On May 19, 2013, the same-sex marriage law called “le mariage pour tous” was implemented in France. As a result, same-sex marriage has become an alternative family-building principle that combines the flexibility of simple cohabitation and civil partnership agreements (PACS) with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marriages.    As the same-sex marriage law,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change in recognition and social structure of marriage.    First, the notion of marriage as a combination of sex, male and female, can no longer be maintained. With the enforcement of this law, the marriage is concluded as ‘a contract between the opposite sex or the same sex’.     Second, the traditional family form which had been maintained under the premise of birth has been disassembled and reconstructed. As the same sex couples can also adopt their children, the family relationship is being rapidly reshaped as a relationship from the ‘opposite sex’ couple to the ‘same sex’ couple.    However, unlike the opposite sex couple, the same sex couple do not use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ART). This topic is still being discussed in France because of the issue of “custody of children by same sex couples”.]

목차[Table of content] 
국문초록  I. 서론  Ⅱ. 동성결혼법 제정 배경 및 경과  Ⅲ. ‘이성 간 결합’에서 ‘동성 간 결합’으로: 혼인의 자유를 중심으로  Ⅳ. 동성부부에 의한 자녀를 양육할 권리: 가족을 구성할 권리를 중심으로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3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32 10 성/젠더 남성의 돌봄 참여 경험을 통한 성역할 규범의 변화 가능성과 한계 / 홍예슬 2018  296
31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90
30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29 10 성/젠더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김은희 2013  272
28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4
»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26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29
25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24 10 성/젠더 영화 「안토니아스 라인」 에 제시된 생태여성주의적 인간 공동체 연구 / 이영은 2019  225
23 10 성/젠더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심리학 연구 / 이은진 2015  224
22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4
21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6
20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0
19 10 성/젠더 성 정치와 '성전환자' 범주를 둘러싼 사법적 논쟁 : 1990년대 이후 국내 판결문 분석 / 강민형 2019  195
18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93
17 10 성/젠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강지희 2019  177
16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68
15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14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2018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