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8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5441641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저자[authors] 김분선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여성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29No.-[2018]
  • 발행처[publisher] 한국여성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1-32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8
  • 주제어[descriptor] 여성 윤리 주체, 자기 배려 주체, 여성 윤리, 자제력, 절제, the subject of woman ethics, self-care subject, woman ethics, self-control, moderation

초록[abstracts] 
[본 논문은 푸코의 윤리에 대한 여성주의 진영의 비판을 고찰하고 여성주의 진영과 푸코 연구가들 사이에 대립하는 논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푸코의 성의 역사 2권: 쾌락의 활용과 성의 역사 3권: 자기 배려에 등장하는 여성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재분석하여 푸코의 텍스트 내에서서술되고 있는 여성의 문제를 조명한다. 또 본 논문은 푸코의 윤리에 등장하는주요 개념인 ‘자제력’과 ‘절제의 덕’에 관한 분석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론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푸코 윤리에서 ‘여성 윤리 주체’의 존립이 가능한 근거를 밝힌다. 이를 통해 푸코의 윤리에서 발견할 수 있는 여성 주체에 관한 논점들을 종합하여 푸코의 논의에 등장하는 여성을 ‘여성 윤리 주체’라고 명명할 수 있음을보이고 그에 대한 근거를 제시한다. 또 이로부터 이 논문은 ‘절제의 덕’이 아닌‘자제력’을 실천하는 여성이 윤리적 근본 힘을 갖춘 ‘자기 배려 주체’임을 해명한다. 결과적으로 이 논의는 푸코의 윤리에서 여성이 자기를 연마하고 자기 삶을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자기 체현의 기술을 갖춘 ‘여성 윤리 주체’이자 삶의주체라는 점을 논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riticism of feminist camp against Foucault 's ethics and to identify the controversial issues between feminist camp and Foucault researchers. To this end, I analyze Foucault's text, History of sexuality Ⅱ: the Use of pleasure and the History of sexuality Ⅲ: Care of the self, as a center of the discussion about women. I also highlight the problem of women being described in the text of Foucault. Also, this paper analyzes the central concepts of 'self-control' and 'virtue of moderation' which appear in Foucault's ethics. At this time, this paper analyzes this problem based on Aristotle's theory. And then,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woman ethics subject'. In this context, I argue that I can summarize the points of Foucault 's ethics, and from this, I can realize that the women who appear in Foucault' s argument can be regarded as 'the subject of woman ethics'. From this, I argued that this woman was not a virtue of moderation but a self - care subject with the fundamental ethical power to practice self - control. And at this time, women were the subjects of 'ethics' and ‘lives’ that can cultivate themselves and organize their lifespan.  ]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1. 들어가며   2. 자기 배려 윤리   3. 푸코 후기 연구에 대한 여성주의 진영의 비판    1) 푸코의 권력 연구에 대한 비판    2) 푸코의 윤리 연구에 대한 비판    3) 해석학의 논점에서 본 ‘자기 배려’   4. 성의 역사에 등장하는 ‘가정 공동체’ 분석    1) 윤리의 씨앗, ‘성’    2) 두 주체에게 균등한 지위를 부여하는 ‘성’   5. 자기 체현의 기술, ‘자기 배려’    1) 자기 연마의 기술    2) 저항을 실천하는 윤리 주체    3) 남겨진 문제들   6. 자기 배려 주체인 여성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발행년 2019 

  • 조회 수 128

10 성/젠더 성 정치와 '성전환자' 범주를 둘러싼 사법적 논쟁 : 1990년대 이후 국내 판결문 분석 / 강민형

발행년 2019 

  • 조회 수 195

10 성/젠더 디지털 시대 페미니즘 대중화와 십대 페미니스트 '되기(becoming)'에 관한 연구 / 강예원

발행년 2019 

  • 조회 수 636

10 성/젠더 영화 「안토니아스 라인」 에 제시된 생태여성주의적 인간 공동체 연구 / 이영은

발행년 2019 

  • 조회 수 224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발행년 2019 

  • 조회 수 229

10 성/젠더 한 중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비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발행년 2019 

  • 조회 수 108

10 성/젠더 중국의 인구정책변화와 혼인출산 동향 / Ma Chunhua

발행년 2019 

  • 조회 수 117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발행년 2019 

  • 조회 수 206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발행년 2019 

  • 조회 수 200

10 성/젠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강지희

발행년 2019 

  • 조회 수 176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4

10 성/젠더 온라인 게임내 성차별 실태 조사 및 제재 시스템 디자인 연구 / 맹욱재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1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발행년 2018 

  • 조회 수 168

10 성/젠더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 김은희

발행년 2018 

  • 조회 수 348

10 성/젠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김혜진

발행년 2018 

  • 조회 수 1713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발행년 2018 

  • 조회 수 214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발행년 2018 

  • 조회 수 260

10 성/젠더 개발도상국 여성의 건강불평등 현황과 원인, 윤리적 이슈 및 해결책 고찰 / 이상미 외

발행년 2018 

  • 조회 수 462

10 성/젠더 남성의 돌봄 참여 경험을 통한 성역할 규범의 변화 가능성과 한계 / 홍예슬

발행년 2018 

  • 조회 수 294

10 성/젠더 복지국가의 일∙가족양립정책과 성역할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전태양

발행년 2018 

  • 조회 수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