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철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747855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Two Understandings of Liberalist Sexual Ethics: Pleasure-based Liberalism and Autonomy-based Liberalism.

  • 저자[authors] 김은희(Eun-Hee, Kim)
  • 학술지명[periodical name] 한국여성철학
  • 권호사항[Volume/Issue] Vol.19No.-[2013]
  • 발행처[publisher] 한국여성철학회
  • 자료유형[Document Type] 학술저널
  • 수록면[Pagination] 85-123
  • 언어[language] Korean
  • 발행년[Publication Year] 2013
  • 주제어[descriptor] 성윤리,자유주의,성적 쾌락,성적 자율성,호혜성,성적 변태,sexual ethics,liberalism,sexual pleasure,sexual autonomy,reciprocity,sexual perversion

초록[abstracts]
[이 논문에서는 자유주의 성윤리로서 제시되어온 기존의 입장들이 검토되고, 그 안에서 발견되는 긴장, 혼란, 그리고 한계들이 지적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이런 문제점들을 제거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을 갖춘 자유주의 성윤리가 새롭게 제안될 것이다. 이렇게 제안된 새로운 자유주의는 자유주의 담론이 가진 본래 취지를 더 선명히 드러내며, 자유주의 성윤리에 대한 혼란과 오해를 줄일 수 있다.    첫째, 나는 자유주의가 비판의 대상으로 삼았던 보수주의 성윤리를 검토한다. 나는 여기서 보수주의 성윤리의 대표적인 네 가지 이론적 원천들을 검토하며 그 한계를 지적하지만, 그것들을 완전히 폐기하지는 않는다. 이것은 충분히 자유주의 성윤리 담론을 새롭게 구성할 좋은 이론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나는 자유주의 성윤리의 등장과 그 내적 혼란에 대해 검토한다. 기존의 자유주의 성윤리는 쾌락의 어법과 자율성의 어법을 동시에 포함하며 등장한다. 나는 이 두 어법이 친화적으로 보이지만 늘 상호 일관적으로 공존하지는 않는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기존의 자유주의 성윤리는 쾌락의 어법에 좀 더 기울면서 자율성의 많은 측면들을 훼손하기에 이른다. 나는 기존의 자유주의 성윤리가, 보수주의가 지닌 본질론들을 비판하면서도 그 스스로 또 다른 본질론을 견지하고 있고 그로 인해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됨을 지적할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나는 기존의 자유주의 성윤리가 성관계 당사자들만의 미시적 관계에 집중하고 그들을 둘러싼 사회구조적, 맥락적 성격에 대해서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새로운 자유주의 성윤리를 제안한다. 그것은 기존의 자유주의 성윤리가 견지하였던 본질론과 변태론을 거부하고 ‘개인적 목적론’의 정립을 제시한다. 단, 여기서 ‘개인적 목적론’은 정의(justice) 담론과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 정의 담론이 ‘개인적 목적론’들의 한계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때 가장 그럴듯한 정의 담론은 어떤 성격을 지녀야 하는지도 밝혀질 것이다. 이렇게 정립된 새로운 자유주의 성윤리는 쾌락 중심적이고 남성 중심적이고 미시적 관계 중심적인 내용을 벗어나 자율성 중심적이고 여성적 관점을 고려하고 거시적 관점을 고려한 내용들을 제시한다.

Liberalist sexual ethics seems to include two key elements. One is sexual pleasure, and the other is sexual autonomy. They appear to be compatible with each other in liberalist sexual ethics, but in fact, they are not. Pleasure-based liberalism has essentialist implications that the essence of sexuality is sexual pleasure. Pleasure-based liberalism cannot appreciate various ways of sexuality which do not aim to sexual pleasure but are adopted autonomously by many people for many various reasons. Such burdensome implications of pleasure-based liberalism are not acceptable by many peoples who aims to sexual act, for example, only to reproduce or to earn money and so on. So, I need to look to autonomy-based liberalism in order to delineate a sexual ethics acceptable by various people with various ways of sexuality.    Autonomy-based liberalism does not refuse all of conservative sexual ethics, which include teleological ethics, asceticism and Kantian sexual ethics or so. These conservative elements can develop into liberalist one. And autonomy-based one does not take any particular way of sexuality as the essential as such. Only each person can determine his or her essential way of sexuality so far as that it can be compatible with other ways of sexuality.    Moreover, autonomy-based one has Rawlsian idea of reciprocity, not Nozickian one. It means that we must consider social dimensions of sexual agreements that happen between men and women, which feminists would consider as gender problems. Autonomy-based liberalism can and must include feminist consideration in order to be more persuasive one to us who cannot ignore the difficulties from sexual and social inequalities.    In conclusion, autonomy-base liberalism of sexual ethics that I suggest in this paper is more plausible and persuasive than pleasure-based and Nozickian one.]

목차[Table of content]
요약문 Ⅰ. 서론 Ⅱ. 보수주의 성윤리는 폐기되어야 하는가? Ⅲ. 자유주의 성윤리의 등장과 내적 혼란 Ⅳ. 자율성 중심의 성윤리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 10 성/젠더 입원약정서의 연대보증조항에 대한 환자의 건강권 측면에서의 검토 / 홍관표 2015  451
32 10 성/젠더 위해 의료사건 예방을 위한 의료감정의 계량적 접근 / 윤성철 2016  359
31 10 성/젠더 형사법상 성적 자기결정권 본질 및 성적 자기결정권 보호증진을 위한 입법과제 검토 / 윤덕경 2012  412
30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29 10 성/젠더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심리학 연구 / 이은진 2015  224
28 10 성/젠더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김경희, 송리라 2016  41
27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29
26 10 성/젠더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조성용 2017  391
25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4
24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2018  164
23 10 성/젠더 온라인 게임내 성차별 실태 조사 및 제재 시스템 디자인 연구 / 맹욱재 외 2018  161
» 10 성/젠더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김은희 2013  272
21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68
20 10 성/젠더 `자율성 중심의 성윤리`에서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 중심의 성윤리`로: 성윤리 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천명주 2016  119
19 10 성/젠더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창호 2017  134
18 10 성/젠더 칸트 성윤리의 구조와 재구성 / 김은희 2018  348
17 10 성/젠더 중학교 도덕 교과서의 양성평등교육 내용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 김혜진 2018  1713
16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15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6
14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