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4987671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Gender Inequalities in Health:Focusing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 저자명 : 김동식(Dong-Sik Kim) ,황정임(Jung-Im Hwang) ,김영택(Young-Taek Kim),우영지(Young-Jee Woo) ,정다은(Da-Eun Jung)
• 학술지명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권호사항 : Vol.2017 No.- [2017]
• 발행처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 발행처 URL : http://www.kwdi.re.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496(496쪽)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KDC : 337
• 주제어 : sexual health ,reproductive health ,gender inequality ,health inequality


초록 

Ⅰ. 서론 □ 들어가면서 ○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젠더 불평등이 여성과 남성의 건강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국가차원의 성평등에 기반한 건강정책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어 그 근거들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연구의 배경이 되는 ‘한국사회’의 여러 모습 중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사회’ 그리고 이로 인한 ‘일·가정양립사회’에 초점을 두어, 현재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젠더와 건강 연구로 계획됨. 총 3개년(2017~2019년)으로 진행되며, 각 연도별 연구 분야 및 내용은 아래와 같음. □ 1차년도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여성과 남성 사이에 존재하는 건강의 차이는 생물학적 및 사회적 특성의 차이에 기인함. - 사회적 차이로서 젠더는 일반적으로 여성에 대한 불평등과 차별을 의미하므로, 특히 여성에게 중요한 영향을 미침. ○ 여성의 다양한 건강 이슈 중 성과 재생산은 여성의 생애 전반에 영향을 주는 이슈로서 매우 중요함. 여성의 건강 자율성를 극대화를 위해 성 권리(sexual right)와 제생산 권리(reproductive right)는 함께 고려해야 함. - 임신과 출산은 여성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줌. 특히 원치 않는 임신과 그로 인한 출산이나 임신중단(낙태)은 더욱 위험한 요인이 될 수 있음. - 모성이 된다는 것은 여성의 삶에서 가장 큰 사건이지만, 최적의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능동적으로 선택되지 않는다면 여성의 건강은 그 순간뿐만 아니라 여성의 나머지 생애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여성의 피임법 선택이 남성의 성적 만족 부합에 따라 달라지고, 안전한 피임 없이 위험한 성 관계를 요구 받으면서 여성의 몸은 남성의 성적 호기심과 즐거움, 대를 잇기 위한 몸으로 전락하게 됨. 결국 많은 여성들이 파트너의 강압적이고 폭력적인 성 요구와 행위로 건강과 안전권이 침해를 받고 있음.

목차

• Ⅰ. 서 론
• Ⅱ. 국내·외 성·재생산 건강정책 현황 및 시사점
• Ⅲ. 성·재생산 관련 젠더 및 건강 상담자료 분석
• Ⅳ. 성·재생산 질환의 성별 추이와 발생위험 분석
• Ⅴ. 성·재생산 건강실태와 젠더 위험요인 분석
• Ⅵ. 성·재생산 젠더 건강이슈 및 정책 발굴 조사·분석
• Ⅶ. 결어 및 정책과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3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32 10 성/젠더 남성의 돌봄 참여 경험을 통한 성역할 규범의 변화 가능성과 한계 / 홍예슬 2018  296
31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90
30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6
29 10 성/젠더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김은희 2013  272
»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4
27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26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29
25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24 10 성/젠더 영화 「안토니아스 라인」 에 제시된 생태여성주의적 인간 공동체 연구 / 이영은 2019  225
23 10 성/젠더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심리학 연구 / 이은진 2015  224
22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4
21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6
20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0
19 10 성/젠더 성 정치와 '성전환자' 범주를 둘러싼 사법적 논쟁 : 1990년대 이후 국내 판결문 분석 / 강민형 2019  195
18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93
17 10 성/젠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강지희 2019  177
16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68
15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14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2018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