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08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서울기독대학교 : 사회복지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1576007 

성적소수자의 인권형성 과정과 사회복지의 역할 연구

= A Study on the Formative Process of Sexual Minority's 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Rules of Social Welfare



http://www.riss.kr/link?id=T11576007



  • 저자  : 남궁선
  • 형태사항  :  viii, 182 p. ; 26cm
  • 일반주기  : 지도교수 :김형태
  • 학위논문사항  :  학위논문(박사)-- 서울기독대학교 : 사회복지학과 2008. 8
  • 발행국  : 서울
  • 출판년  : 2008
  • 주제어  : 성적소수자, 동성애자, 인권, 사회복지
  • 소장기관  : 서울기독대학교 학술정보관



초록

본 논문은 성적소수자들이 사회적 차별을 극복하고 성적자기결정권을 획득하며, 나아가 우리사회의 일원으로서의 권리를 누릴 수 있도록 성적소수자의 인권운동 형성과정을 탐색하고, 사회복지가 할 수 있는 역할을 모색한다. 민주화의 영향으로 한국 사회에 인권 담론(discourse)이 형성되던 1990년대에 성적소수자들은 아웃팅(outing)을 통하여 자신들의 주장과 존재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이후 성적소수자들은 인권운동단체를 결성하였고, 이들의 인권운동은 태동기와 형성기, 발전기를 거치게 되었다. 이러한 인권운동의 발전단계에서 가장 큰 업적은 국가인권위원회의 설립에 관여하여 인권법제정에 동참하였다는 것이며, 차별금지 조항에 ‘성적지향’을 포함시키도록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미국의 성적소수자들이 미국정신의학회로 하여금 DSM(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에서 동성애 진단을 삭제하도록 한 것에 비견(比肩)할 정도의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성인 간 합의에 의한 동성애는 불법이 아니라는 미국 법원의 판결로 인해 사회적 인식의 변화가 이루어졌듯이, 한국에서도 법률적인 변화가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정의를 중요한 가치로 삼는 사회복지가 실천현장에서 성적소수자들에 대하여 그들의 권익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야 할 당위성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복지계는 2006년에 짐 아이프(Jim Ife)를 초청하여 사회복지에 인권관점을 도입하고자 노력했으며, 지금까지 추구해 오던 욕구의 담론(needs paradigm)에서 권리의 담론(rights paradigm)으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의 동성애자들에 대한 억압의 역사과정을 통해 필연적으로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유럽과 미국에서의 동성애자 인권형성과정을 살펴보고, 성적소수자의 권익을 위해 다양한 복지실천 프로그램을 마련할 수 있는 사회복지의 역할을 모색함으로써 평등의 추구와 인권중심의 사회복지사업의 추진을 제언하였다.


목차

도표목차
논문요약

1. 서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의 목적 ………………………………………………… 3
3. 선행연구 ……………………………………………………… 4
4. 연구방법 및 범위 …………………………………………… 10
1) 연구방법 …………………………………………………… 10
2) 연구범위 …………………………………………………… 10
3) 용어의 정의 ……………………………………………… 12
Ⅱ. 성적소수자의 인권과 사회복지 …………………………… 14
1. 성적소수자로서의 동성애자 ……………………………… 14
1) 동성애자에 대한 일반적 인식 ………………………… 15
2) 동성애에 대한 역사적 고찰 …………………………… 21
3) 동성애의 원인과 형성 …………………………………… 27
4) 소수자 개념과 성적소수자 ……………………………… 44
2. 인권과 사회복지 ……………………………………………… 50
1) 인권의 정의와 기원 ……………………………………… 51
2) 인권의 3세대 구분 ……………………………………… 56
3) 인권의 3가지 전통과 사회복지 ………………………… 61
3. 우리나라 사회복지법과 인권 ……………………………… 63
1) 사회복지법의 개념 ……………………………………… 63
2) 사회복지법에 나타난 인간의 존엄성 ………………… 64
4.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인권 이슈(issue) …………………… 68
1)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주제 ……………………………… 69
2) 사회복지현장에서의 성적소수자 인권 ………………… 71
5. 소결 …………………………………………………………… 73

Ⅲ. 세계 동성애자의 인권운동 ………………………………… 75
1. 동성애자 억압의 역사 ……………………………………… 75
1) 서구에서의 동성애자 억압 ……………………………… 75
2) 미국에서의 동성애자 억압 ……………………………… 79
2. 서구에서의 동성애자 인권운동 …………………………… 82
1) 유럽에서의 동성애자 인권운동 ………………………… 83
2) 미국에서의 동성애자 인권운동 ………………………… 87
3. 미국 대법원의 동성애자에 대한 판결 변화 …………… 99
1) 동성애에 대한 도덕적 판단-Bower v. Hardwick 판결 … 100
2) 동성애자에 대한 차별금지-Romer v. Evans 판결 ……… 102
3) 동성애 행위의 허용-Lawrence v. Texas 판결 ………… 103
4. 소결(小結) …………………………………………………… 107
Ⅳ. 한국에서의 동성애자 인권운동 …………………………… 108
1. 동성애자 인권운동의 동인(動因) ………………………… 108
1) 동성애자 차별 …………………………………………… 108
2) 동성애자 혐오 …………………………………………… 112
3) DSM-Ⅱ에서의 동성애진단 항목 삭제 ……………… 114
4) 국가인권위원회 설립과 성적지향 차별금지 ………… 116
2. 한국 동성애자 인권운동 …………………………………… 117
1) 사회운동에 나타난 동성애자 인권운동 ……………… 117
2) 시대에 따른 한국 동성애자 인권운동 ………………… 123
3) 동성애관련 사회적 이슈(issue)에 대한 인권운동 …… 129
3. 성적자기결정권에 관한 법적 고찰 ……………………… 150
1) 국가의 기본권 보호의무 ………………………………… 151
2) 기본권으로의 성적자기결정권 ………………………… 152
3) 내재적 한계로서의 성적자기결정권 …………………… 154
4. 소결(小結) …………………………………………………… 157
Ⅴ. 결 론 …………………………………………………………… 159
1. 요약 …………………………………………………………… 159
2. 논의 …………………………………………………………… 163
3. 제언 …………………………………………………………… 164
참고문헌
영문요약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53 10 성/젠더 민주주의 의식과 젠더 의식의 군집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김경희, 송리라 2016  41
52 10 성/젠더 베트남여성과 북한여성의 섹슈얼리티 변화 / 권금상 2018  69
51 10 성/젠더 젠더관점에서의 난자 채취 손해배상 청구소송에 대한 검토 / 이유정 2014  86
50 10 성/젠더 성역할 인식의 영향요인과 정책적 함의 /원숙연, 김예슬 2017  97
49 10 성/젠더 젠더 통제의 변화와 여성 노동자의 생활경험 / 김상숙 2018  97
48 10 성/젠더 복지국가의 일∙가족양립정책과 성역할 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 전태양 2018  103
47 10 성/젠더 한 중 미혼여성의 결혼 및 출산 가치관 비교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  108
46 10 성/젠더 중국의 인구정책변화와 혼인출산 동향 / Ma Chunhua 2019  117
45 10 성/젠더 양성평등문화 확산을 위한 방송 프로그램 제작 가이드라인 개발 / 안상수 외 2016  119
44 10 성/젠더 `자율성 중심의 성윤리`에서 `관계성에 입각한 행위자 중심의 성윤리`로: 성윤리 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 천명주 2016  120
43 10 성/젠더 한국 직장기혼여성의 출산의도 영향요인 연구 : 노동 및 젠더 요인을 중심으로 / 박소영 2019  129
42 10 성/젠더 종교개혁의 ‘개혁적’ 성윤리 탐색 - 루터와 칼뱅의 남녀관계성과 결혼 및 성적 결합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 이창호 2017  134
41 10 성/젠더 온라인 게임내 성차별 실태 조사 및 제재 시스템 디자인 연구 / 맹욱재 외 2018  161
40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2018  164
39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38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68
37 10 성/젠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강지희 2019  177
36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93
35 10 성/젠더 성 정치와 '성전환자' 범주를 둘러싼 사법적 논쟁 : 1990년대 이후 국내 판결문 분석 / 강민형 2019  195
34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