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53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로컬리티 인문학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653645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강물 속의 여자>, <얼굴을 살리며>, <구글베이비>, <탐욕의 제국>을 중심으로

= Feminist Documentary Films and Family, Body and Market as Patriarchal Seong-Apparatus : "A Girl in the River", “Saving Face", Google Baby and Empire of Shame

 

 http://www.riss.kr/link?id=A102653645

 

  • 저자명  :  고정갑희
  • 학술지명 : 로컬리티 인문학
  • 권호사항 : Vol.- No.16 [2016]
  • 발행처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103-130(28)
  • 언어 : Korean
  • 발행년도  : 2016
  • 주제어 :  다큐멘터리 ,가부장적 성장치 ,명예살인 ,대리모노동 ,전자산업노동 ,Documentary ,Patriarchal Seong-Apparatus ,Honor Killing,Surrogate Mother Labor ,Electronic-Industry Labor

 


  • 초록 

 

이 글은 현재의 전지구적 가부장체제가 만들어 내는 로컬들의 상황과 그 상황을 재현하는 정치적 서사들인 다큐멘터리들을 통해 전지구적 가부장체제의 면모를 살피고자 한다. 지구적 가부장체제 하에서 로컬 여성들이 신체적 정신적 위험과 위협을 당하면서 그에 맞서게 되는 상황을 살핀다. 네 편의 다큐멘터리 <강물 속의 여자>, <얼굴을 살리며>, <구글베이비>, 그리고 <탐욕의 제국>에 드러난 파키스탄, 인도, 한국의 가족과 친지 그리고 기업이 여성에게 가하는 명예살인, 염산테러, 대리모노동, 전자산업노동의 죽음과 질병을 살피면서 가부장적 성체계의 면모를 드러내고자 한다. 이러한 위험과 위협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가부장적 가족, 신체, 시장을 성장치로 보고 이 장치들의 작동을 살핀다. 그리고 그에 대한 여성들의 행위자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여성들을 피해자로만 자리매김하지 않고 행위자로 자리매김하면서 다큐 감독들의 재현행위의 반가부장체제적 정치성을 살핀다. 로컬의 여성들과 감독들의 저항성에서 전지구적 가부장체제에 맞서는 글로컬 액티비즘의 대항과 대안의 가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3 10 성/젠더 청소년 미혼모의 모성경험에 관한 연구 / 임승미 2017  302
32 10 성/젠더 남성의 돌봄 참여 경험을 통한 성역할 규범의 변화 가능성과 한계 / 홍예슬 2018  294
31 10 성/젠더 의약품 접근권과 특허권의 충돌 문제에서 나타나는 건강권의 비용과 법적 고찰 / 정민수 2015  287
30 10 성/젠더 페미니즘과 가톨릭 생명문화/이연숙 2016  274
29 10 성/젠더 자유주의 성윤리의 수정 / 김은희 2013  272
28 10 성/젠더 한국사회의 젠더와 건강 불평등 연구(Ⅰ) / 김동식 외 2017  264
27 10 성/젠더 프랑스 동성결혼법 - 모두를 위한 ‘어떤’ 결혼인가? / 채형복 2018  260
» 10 성/젠더 페미니즘 다큐멘터리와 가부장적 성장치로서 가족, 신체, 시장 / 고정갑희 2016  229
25 10 성/젠더 ‘기울어진 운동장’으로서의 한국 영화와 성평등 영화정책에 대한 시론 / 주유신 2019  229
24 10 성/젠더 성적 자기결정권에 대한 심리학 연구 / 이은진 2015  224
23 10 성/젠더 영화 「안토니아스 라인」 에 제시된 생태여성주의적 인간 공동체 연구 / 이영은 2019  224
22 10 성/젠더 불임의 시대, 생명상실에 대한 징후의 서사 / 송은정 2018  214
21 10 성/젠더 여성주의 윤리학적 시각에서 본 싱글 여성의 생식권 문제 / 닝멍 2019  206
20 10 성/젠더 동성애에 대한 생리의학적 연구동향 분석과 기독교 교육적 고찰 / 임준섭 2019  200
19 10 성/젠더 성 정치와 '성전환자' 범주를 둘러싼 사법적 논쟁 : 1990년대 이후 국내 판결문 분석 / 강민형 2019  195
18 10 성/젠더 영화를 통해 본 현대 일본 여성의 비혼화(非婚化) 현상 / 이윤주 2018  191
17 10 성/젠더 1960년대 여성장편소설의 증여와 젠더 수행성 연구 : 강신재와 박경리를 중심으로/ 강지희 2019  176
16 10 성/젠더 여성 윤리 주체의 자기 체현 기술 – 자기 배려주체와 성담론을 중심으로 – / 김분선 2018  168
15 10 성/젠더 ‘성폭행 ’ 피해자를 넘어 성적 자기결정권의 주체로 나아가기 위해 직시해야 할 현행 법률상 ‘성폭행’의 개념과 적용 / 이은의 2016  167
14 10 성/젠더 성매매특별법에 따른 성제공자 처벌의 헌법 상 목적의 정당성 / 박경신 2018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