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박사)-- 한성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학전공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382240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Factors of Selecting National and Public Hospitals of Medical Service Users


저자길미령
발행사항서울 :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7
형태사항x, 211 p. : 삽화, 도표 ; 26 cm.
일반주기명부록: 설문지 1. 전국 국공립병원 현황, 2. 한국의료패널 설문지,참고문헌: p. 175-184,서지적 각주 수록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박사)-- 한성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정책학전공 2017. 2
KDC517.6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17
주제어의료서비스,국공립병원,공공의료,Andersen모형,의료이용
소장기관한성대학교 도서관 (211061)
초록우리나라는 사회보험 형태의 의료체계로 대부분의 국민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방식으로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구조이다. 그 결과 의료이용의 형평성은 어느 정도 보장되고 있으나, 의료기관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의료기관 유형별, 지역별 의료이용의 차이가 증가하고 있으며, 필수 안전망인 응급서비스 조차도 격차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의료의 대부분을 민간이 차지하고 있는 의료 현실에서 저소득 취약계층을 위한 의료지원, 메르스와 같은 감염병 예방 대응 등에 취약성의 한계를 가진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최소 안전망인 국공립병원의 공공성 역할은 그 중요성이 더해간다. 
  이에 본 연구의 질문은 의료서비스에 있어 국공립병원의 기본 설립 목적인 의료의 공공성은 충족되고 있는가이다. 이러한 물음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의료서비스 이용자의 의료이용 및 국공립병원 선택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국공립병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은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원은 한국의료패널 2008년부터 2013년까지 6년 동안의 자료 데이터 중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건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대상은 18세 이상자로 제한하였다. 최종 분석에 사용한 의료이용 건수는 응급 8,100건, 입원 14,365건, 외래 1,198,099건 이었다. 
  연구방법은 Andersen의 행동모형 이론에 적용하여 욕구요인, 가능성 요인, 개인적 요인으로 변수를 정하고, 국공립병원을 이용한 집단과 민간병원을 이용한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스퀘어 검증, t-검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에 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서비스 이용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공립병원 이용 비율은 응급서비스 9.68%, 입원서비스 5.23%, 외래서비스 5.57%로 매우 낮은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응급의료는 입원이나 외래서비스에 비해 국공립병원을 약 2배 정도 더 이용하였다.  
  둘째, 욕구요인인 만성질환이 있는 경우와 장애가 있는 경우, 응급, 입원, 외래 모두 국공립병원 선택에 유의성이 확인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도 입원, 외래에서는 일관성 있게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이 되었다. 그러나 응급서비스 이용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응급한 상황에서는 Anderson모형을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가능성 요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경제활동 유무, 국민기초수급 여부, 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변수가 국공립병원 선택에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다. 즉, 건강보험 대상자에 비해 의료급여 대상자와 국가유공자, 병원유형에서 종합병원, 요양병원 이용자, 사고보다 질병으로 내원하는 경우, 진료비가 저렴하여 병원을 선택한 경우 국공립병원 선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득이 높을수록, 병원이나 의원 이용자, 교통수단에서 개인 차량이용자, 택시나 도보 이용자, 병원이 가까워서 선택한 경우, 민간보험 가입자, 진료비 수납금액이 많을수록, 교통시간이 길어질수록 국공립병원 선택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개인적 요인에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경우 국공립병원 선택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통제변수인 지역요인은 국공립병원 수가 많을수록 의료이용 비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립병원에 비해 국공립병원을 가장 높게 이용한 지역은 충남이었고 그와 반대로 울산은 가장 적게 선택하였다. 국공립병원 선택에 거주 지역 변수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공공의료 접근성이 취약한 계층을 위하여 지역 간 균형적인 공공의료기관 공급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연도별 변수를 검증한 결과, 우리나라 전체 의료서비스 이용률은 점점 증가하는 반면, 국공립병원 의료이용은 2008년에 비해 해가 갈수록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기존 Andersen의 행동모형 연구에서는 욕구요인이 가장 대표적이고 직접적인 요인이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욕구요인에 비해 가능성 요인이 국공립병원 선택에 일관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지역적 요인이 국공립병원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사회경제적 약자들인 노인, 저소득층, 국가 유공자 및 의료급여자, 만성질환자, 장애가 있는 환자들은 사립병원보다는 국공립병원을 더 선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국공립병원은 설립 목적대로 공공성이 충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저소득 취약계층의 적정한 의료이용 관리를 위해 국공립의료의 일차의료 강화와 지역별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정책방안의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목차I. 서  론 1 
 1.1 연구의 목적 1 
 1.2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II. 이론적&제도적 고찰 7 
 2.1 의료서비스에 대한 고찰 7 
  2.1.1 의료서비스의 개념 7 
  2.1.2 의료서비스의 특징 8 
  2.1.3 의료서비스의 유형 16 
  2.1.4 의료기관 현황 33 
  2.1.5 의료전달체계 38 
 
 2.2 공공의료기관에 대한 제도적 고찰 40 
  2.2.1 공공의료의 필요성 42 
  2.2.2 국공립병원의 역사 46 
  2.2.3 국공립병원의 특성 54 
  2.2.4 국공립병원 현황 56 
 
 2.3. 의료서비스 선택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61 
  2.3.1 의료서비스 이용 결정요인에 관한 선행연구 61 
  2.3.2 병원선택 동기에 대한 선행연구 66 
  2.3.3 앤더슨(Andersen)의 결정 모형 71 
 
Ⅲ. 연구모형 및 분석방법 75 
 3.1 연구모형 75 
 
 3.2 연구가설 설정 77 
  3.2.1 욕구요인과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의 관계 77 
  3.2.2 가능성 요인과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의 관계 78 
  3.2.3 개인적 요인과 국공립병원 선택요인의 관계 79 
 
 3.3 조사방법 80 
  3.3.1 자료원 80 
  3.3.2 변수의 측정 81 
 
IV. 분석결과  86 
 4.1 기술적 통계  86 
  4.1.1 응급서비스 이용 특성 86 
  4.1.2 입원서비스 이용 특성 94 
  4.1.3 외래서비스 이용 특성 103 
  4.1.4 소결 110 
  
 4.2 차이분석 115 
  4.2.1 응급서비스 115 
  4.2.2 입원서비스 123 
  4.2.3 외래서비스 132 
  4.2.4 소결 139 
 
 4.3 로지스틱 회귀분석  149 
  4.3.1 응급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49 
  4.3.2 입원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52 
  4.3.3 외래서비스 이용자의 국공립병원 선택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156 
  4.3.4 소결 161 
 
V. 결  론 166 
 
 5.1 요약 166 
 5.2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70 
 5.3 연구의 한계 173 
 
참고문헌 175 
    부록1 전국 국공립병원 현황 185 
    부록2한국의료패널 설문지 186 
 
ABSTRACT 2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749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 연구 동향 / 이선원 외 2011  62
748 9 보건의료 유방암 생존자의 정서 접근적 대처, 정서 억제, 내면의 힘에 따른 외상 후 성장 / 김미영 2019  62
747 9 보건의료 Evaluating the Legitimacy of Contemporary Legal Strategies for Obesity 2015  63
746 9 보건의료 바이오메디컬 데이터를 활용한 치매에 대한 총체적 이해 / 신현정 2016  63
745 9 보건의료 입원환자의 위급 상황 시 위치추적이 가능한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디자인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나한범, 장영주 2015  63
744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체계 발전 방안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분석 / 김유호 2018  63
743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정당화와 면책가능성 / 임상규 2019  63
74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의 위기와 한국 건강보험의 뉴 패러다임 선택 / 김명희 2014  64
741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전달기법에 대한 소비자 인식조사 2014  64
740 9 보건의료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전진아 외 2018  64
739 9 보건의료 의료정보정책 및 디지털헬스의 국제동향, 18.02.19~20, 호주 캔버라 - / 최솔지 외 2018  64
738 9 보건의료 의약품 관리정책과 소비자권익 확보방안 - 주사제 관리체계의 개선 - / 문상혁 2018  64
737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과잉규제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 / 이정선 2011  65
736 9 보건의료 국민건강과 올바른 의료제도 확립을 위한 2016년 보건의료 주요 현안 2016  65
735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734 9 보건의료 만성질환자에서 상용치료원의 유무가 건강행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윤완중 2014  65
733 9 보건의료 의약품의 안전정보 제공을 위한 국가의 역할 / 김재선 2013  65
732 9 보건의료 의료정보 프로그램에서의 방송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 정순형 2019  65
731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과 의약품 접근권 -바이오의약품 자료보호에 대한 최근 논의 / 박대웅, 이주하 2016  66
73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태도가 의료기관 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종합병원의 외래환자를 대상으로 / 한수연 2009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