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20713 


 일차 의료 기관에서의 체계적 천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임상적 유용성


저자김이형, 유광하, 염호기, 박용범, 이진국, 김덕겸, 윤형규, 박이내, 정재우, 류연주, 김영삼, 김태형, 이성순, 박주헌, 김은경, 황용일, 정성수, 이기만, 최강현, 신경철, 김기욱, 김현국, 엄수정, 박성주, 임성철, 김상하, 김우진, 이재천
학술지명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권호사항Vol.120No.-[2015]

발행처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95-195
언어Korean
발행년도2015
초록목적: 개인병원을 방문하는 천식환자에게 체계화된 교육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총 3 회 (첫 방문 시, 2주 차, 4주 차)에 걸쳐 동영상이 포함된 체계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설문 조사를 통해 평가하였다.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동반질환, 기 사용 흡입제 종류, 과거 교육 경험 정도(2문항), 천식 조절 점수(5문항), 질환에 대한 이해와 흡입제 사용(6문항), 교육 만족도(3문항). 결과: 28개의 개인병원, 144명의 환자가 등록되었다. 평균 나이는 56.7세로 59%가 여성이었다. 각각 1.7±1.1 과 1.96±1.2회/년의 질환 교육과 흡입제 사용에 대한 교육을 받았고, 교육 전 천식 조절 점수는 16.58±4.6점이었으며 20점 이상의 환자는 45명(33.3%)에 불과하였다. 체계적 교육을 통해 질환에 대한 이해와 흡입제 사용에 대한 조사에서 6개 문항 모두에서 1점 이상의 개선이 확인되었다 (p<0.001). 천식조절 점수는 16.58±4.6에서 19.99±3.9로 호전되었고 (p<0.001), 20점 이상의 환자도 93명(65.3%)로 증가하였다 (p<0.001). 이는 성별, 나이, 동반질환의 수, 흡입제의 종류, 과거 교육 횟수와 관계가 없었다. 교육 이후에 전체 환자의 95.8%(138/144)가 체계적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81.9%(118/144)가 교육에 대한 추가 비용의 지불 의사가 있었다. 결론: 체계적 천식 교육은 질환에 대한 이해도, 흡입제의 필요성과 사용법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천식 조절 정도를 호전시켰다. 이는 추가비용 지불 의사와 더불어 체계적인 교육이 의료 급여 항목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89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원격진료의 시범사업과 의료법의 문제점 / 김현주 외 2015  432
88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과 신약 개발, 누구의 먹을거리인가? / 백용욱 2016  434
87 9 보건의료 공중보건 위기 상황 시 정보 정확성과 정보 적절성이 정부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메르스 사태를 중심으로 / 송동근 외 2016  442
86 9 보건의료 미국 보건의료개혁의 정책 연혁 및 공공성 분석 / 여영현 외 2018  452
85 9 보건의료 한 3차 병원 중환자실에 대한 윤리자문 모델의 경험 / 문재영 2013  453
84 9 보건의료 유령수술에 대한 미국 판례의 동향/성수연 2015  467
83 9 보건의료 의료법 위반과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민법상 불법행위책임 - 대법원 2013. 6. 13. 선고 2012다91262 판결, 2015. 5. 14. 선고 2012다72384 판결을 중심으로 -/이동필 2015  472
82 9 보건의료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간호인력 수급 현황과 과제 / 박소영 2018  472
81 9 보건의료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진단법의 최신 경향 및 고찰 / 이지혜 2019  475
80 9 보건의료 1개 3차 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병원전 심정지 환자에서 119 구급대에 의한 자동제세동기 사용 실태 및 효과 / 정시영, 배현아, 어은경 2009  476
79 9 보건의료 보건권의 헌법적 의미- 복지국가 실현을 이끄는 역동적 인권/박종현 2015  476
78 9 보건의료 간호사와 간호관리자의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경험 : Giorgi의 현상학적 접근 / 주명순 2016  485
77 9 보건의료 메르스와 지카바이러스의 대응을 바탕으로 해외유입 신종 감염병 예방 시스템 구축 방안 / 김자영 2016  487
76 9 보건의료 라틴아메리카 국가와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제도 및 관리체계 비교연구 : 멕시코와 브라질을 중심으로 / 송주현 2014  491
75 9 보건의료 의료협동조합의 의료기관 개설·운영 현황과 문제점 및 개선방안 - 의료기관 개설기준 위반을 중심으로 -/김준래, 백남복, 이윤학 2015  492
74 9 보건의료 우울증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경은 2018  508
73 9 보건의료 프랑스 의료제도와 진찰료 정책 동향 / 이정찬, 손강주 2019  508
72 9 보건의료 의약품 품질보증 시스템에서 Quality by Design 적용 / 이혜민 2014  509
71 9 보건의료 의료법상 위임입법의 한계 / 조재현 2015  512
70 9 보건의료 원격의료제도 현실화 문제와 개선방안 / 이한주 2018  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