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 법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0651270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Self Control Rights of Personal Informa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저자金鉉哲
발행사항서울 : 동국대학교, 2006
형태사항vi, 107 p. ; 26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김상겸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석사)-- 동국대학교 : 법학과 2006. 8
DDC323.448
발행국서울
언어한국어
출판년2006
주제어생체정보,개인정보자기결정권,자기결정권,프라이버시
소장기관동국대학교 중앙도서관 (211020)
초록Privacy is basically considered as secrecy so that all the related information should not be collected and transferred. However, personal information could be collected and transferred without data subject's consent. This is the basic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privacy and personal information.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consider personal information as another type of secrecy. It could harm the development of so called "Information Age" because anonymity is a base for free expression in democratic system. Furthermore, information could be the subject of personal properties. Nevertheless, many people are now concerned about how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biometric information. The reason is that there will be a lot of problems if people use personal information thoughtlessly. In fact, there have been many cases and incidents related with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National Identity Number theft and customer information sale by the employee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company. Moreover, there were a few cases done by Government's agencies, such as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NEIS')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and National Registration System in which Korean residents should seal their fingerprints.

Nowadays, US_VISIT program of U.S. force all the visitors to give their information including fingerprints and face picture to the biometrics system. A few schools in Korea have adopted biometric identification system for library entrance and provision of meals. This brought about controversy. Whether we agree or not, using biometric information in our daily life becomes inevitable. Therefore, I have researched about all the laws and systems in diverse countries including Korea based on the current using situations.

Since biometric information is collected directly from the body, it is closely related with personal rights. Thus, collecting biometric information except other personal information without data subject's consent is the infringements of 'Self Control Rights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has been studied a lot by diverse scholars and researchers until now. In this study, I tried to apply 'Self Control Rights of Personal Information' on biometric information. There are man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I suggest that relates laws should be revised and enacted. Biometric information has a few characteristics such as uniqueness, permanence, possibility of misconception and so on. Therefore, we should deal with biometric information in a different way we deal with other personal information. Now, I recommend basic principles which should be included in a new law regarding biometric information- Prohibition of collection of secrecy, Destruction of the original information, Encryp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Prohibition of use of biometric information as an unique identifier, Prohibition of provision of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third parties without data subject's consent, Storage of biometric information in a different place where other personal information is stored, Regular auditing(Vulnerability analysis of system), Prohibition of using biometric information for other purposes other than identification purpose in the private sector, Prohibition of collection and use of biometric information without a basis of related laws in the public sector.
목차제1장 서론 = 1

 제1절 연구 목적 = 1

 제2절 연구 범위와 방법 = 3

제2장 개인정보로서의 생체정보 = 5

 제1절 개인정보와 생체정보의 개념 = 5

  1. 개인정보의 개념에 대한 논의 = 5

   가.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의 관계 = 6

   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 9

  2. 개인정보의 정의와 유형 = 11

  3. 생체정보와 생체인식기술 = 14

   가. 생체정보와 생체인식기술의 정의 = 14

   나. 생체인식기술의 목적 및 유형 = 16

 제2절 생체정보와 일반 개인정보의 차이 = 22

  1. 생체정보의 특징 = 22

   가. 생체정보의 장점 = 23

   나. 생체정보의 단점 = 23

  2. 생체정보와 일반 개인정보의 차이점 = 24

   가. 영구불변성 = 24

   나. 위·변조 및 복제곤란성 = 25

   다. 비기억·비휴대성 = 25

   라. 오인식 가능성 상존 = 25

   마. 고유성 = 26

   바. 인격권의 직접적 반영 = 26

 제3절 생체정보의 이용 현황 = 27

  1. 생체정보의 이용분야 = 27

   가. 생체여권(전자여권) 및 출입국 통제 = 28

   나. 신분증 = 31

   다. 금융거래 = 31

   라. 출입통제시스템 = 32

   마. 사회복지연금 배분 = 33

   바. 홈네트워크 = 34

   사. 각종 신원확인 = 35

  2. 생체인식기술 시장현황 = 35

   가. 국내 = 35

   나. 국외 = 36

제3장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내용 = 38

 제1절 헌법상 기본권으로의 승인 = 38

  1.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개념 = 38

  2.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인정 근거 = 40

   가. 이론적 근거 = 40

   나. 실정법적 근거 = 42

   다. 판례의 태도 = 43

  3. 현행 개인정보보호 법제= 45

   가. 공공부문 = 46

   나. 민간부문 = 47

   다. 문제점 = 48

 제2절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구체적 내용 = 50

  1. 주체 = 50

  2. 보호객체와 보호범위 = 50

  3. 구체적 권리 = 51

  4. 제한원리 = 51

  5. 대사인적 효력 = 52

 제3절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비교법적 분석 = 52

  1.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접근 방식 = 52

  2. 국제법규상의 개인정보보호법제= 53

   가. OECD 개인정보보호지침 = 54

   나. EU 개인정보보호지침 = 56

  3. 미국의 개인정보보호법제= 57

   가. 특징 = 57

   나. 연방프라이버시법 = 58

   다. 기타 통신·의료·금융 분야 개인정보보호관련법 = 58

   라. 세이프하버 원칙 = 60

  4. 캐나다의 개인정보보호법제= 60

   가. 특징 = 60

   나. 연방법 = 61

   다. 온타리오 주법 = 61

  5. 독일의 개인정보보호법제= 62

   가. 특징 = 62

   나. 연방정보보호법 = 62

  6. 일본의 개인정보보호법제= 63

   가. 특징 = 63

   나. 개인정보보호에관한법률 = 64

제4장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호 = 66

 제1절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침해 가능성 = 66

  1. 무단 수집 및 이용 문제 = 66

  2. 오인식 문제 = 67

  3. 본인식별 이외의 이용 문제 = 67

  4. 익명성 원칙 위반 문제 = 67

  5. 불합리한 차별 문제 = 68

  6. 민감한 정보 유출 문제 = 68

 제2절 해외의 생체정보보호 법제및 동향 = 69

  1. EU 지침 = 69

  2. 미국 = 71

   가. 생체정보 법제의 특징 = 71

   나. 연방법 = 71

   다. 주법 = 74

   라. 민간기구 = 76

  3. 캐나다 = 79

  4. 독일 = 81

  5. 영국 = 82

  6. 국제기구 = 82

   가. 세계개인정보보호기구회의(ICDPC) = 82

   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 84

   다. 국제노동기구(ILO) = 84

 제3절 국내 생체정보보호 법제및 동향 = 84

  1. 현행법률 = 84

  2. 생체정보가이드라인 = 85

 제4절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호방안 = 87

  1. 생체정보 이용의 필요성 = 87

  2.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침해 유형 = 88

   가. 수집 단계 = 88

   나. 이용 단계 = 88

   다. 제3자 제공 단계 = 89

   라. 보관 단계 = 89

  3.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보호 대책 = 89

   가. 생체정보 보호법 제정의 필요성 = 89

   나. 개인정보보호기본법(안)과의 관계 = 92

   다.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침해 영향평가제= 93

   라. 생체정보 보호법 기본 내용 = 94

제5장 결론 및 제언 = 97

참고문헌 = 99

ABSTRACT = 10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9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위한 연수교육 강화방안 / 이혜연 2015  34
428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 정성훈 2014  104
427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자 관리사업 세부 영역별 성과 평가방안 연구/ 윤영호 외 2014  134
426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425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한국의 현실과 과제 / 최용준 외 2013  159
42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일차의료의 현황과 과제 / 임종한 2013  96
423 9 보건의료 일차의료 강화를 통한 효과적 만성질환 관리 방안 / 신호성 2012  61
422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2017  113
»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2006  110
420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419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료정보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016  344
41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김재선 2016  173
417 9 보건의료 의료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최계영 2016  142
416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국내 비식별화 대상 정보에 관한 연구 / 김철중 외 2016  43
415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414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4
413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39
412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411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410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