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행정법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953247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Usages of Medical Information and Privacy Protection - Focus on HIPPA and HITECH -


저자김재선(Kim, Jae Sun)
학술지명행정법연구
권호사항Vol.-No.44[2016]

발행처행정법이론실무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269-290
언어Korean
발행년도2016
주제어의료정보,진료정보,개인정보,의료프라이버시법,의료정보기술법,Medical Information,Treatment Information,Personal Information,HIPPA,HITECH
초록본 연구는 의료정보의 유형을 작성주체, 내용, 개인 식별여부로 분류하면서 의료정보의 특수성을 고찰하고 입법적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의료정보의 두 가지 측면을 고려하여 구체화한 비교법적 사례로 미국의 의료프라이버시법(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이하 HIPPA), 의료정보기술법(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for Economic and Clinical Health Act, 이하 HITECH)이 논의된다. HIPPA는 1996년 의료기관에서 의료 보험사측에 정확한 의료정보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정되었으나 입법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 측면이 더욱 강화되어 이후 의료정보에 관한 기본법으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동법은 치료목적의 정보 활용은 인정하지만 치료목적이 없는 경우의 보호의료정보(Protected Health Information, 이하 PHI)에 대해서는 예외사항에 해당하지 않는 한 활용할 수 없다고 규정하였다. 한편, 2009년 도입된 HITECH는 미국 정부가 의료보험 개혁법(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이하 PPACA)를 추진하면서 의료행정의 효율화 정책의 한 방안으로 도입되었다. 동법은 특히 의료정보의 의미있는 활용(“Meaningful Use”)을 강조하면서 전자진료정보의 활용을 강조하였다. 두 법은 의료정보의 활용에 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즉, 보다 투명한 정보관리시스템을 마련하여 이해관계인의 신뢰를 확보하며, PHI는 보호하고 필요한 정보의 활용은 촉진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평가된다. 미국 연방법원에서는 아직까지 HIPPA, HITECH을 직접적으로 다루는 판결을 내리지 않았으나 각 주법원에서는 계약관계, 개별 주법상의 의료 불법행위법을 우선 적용하되 HIPPA, HITECH를 개별적 판단근거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의료정보에 관한 별도의 입법이 마련된다면 의료정보에 관한 분류를 보다 명확히하고, 목적에 따라 정보 활용의 범위를 분류하며, 보험사(국가, 민간)에 대해서도 의료정보 보호 책임을 강화하고, 신뢰를 강화하기 위한 투명한 정보관리 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록Medical information is generally considered more sensitive and significant than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it is collected, analyzed, and used while the patient is medically treated. Therefore, the specific standards are required to set the limitations on the usages of the information.

  This research tried to classify the med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llectors, contents, and identifiabilities of the owner, and reviewed it under the characters of the information. As a comparative study from the Korea legal system, I tried to study two laws enacted in 1996 and 2009. They are Health Insurance Portability and Accountability Act, which is called HIPPA, and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for Economic and Clinical Health Act, which is called HITECH. Both acts are significant as they suggest specific standards in the use of the medical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may be used easily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and research; Medical information should not be disclosed willfully without the exceptions including the court order; (Electronic) systems, which let the interesting parties understand better about the limitations, needs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se researches, I would like to suggest following points for the legislation: clear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medical information, clear limitations regarding the usages of the medical information, the same responsibility between the third parties(i.e. medical insurance company), and transparent system on the treatment of the medical information.
목차국문초록

Ⅰ. 들어가며

Ⅱ. 의료정보의 법적 성격 고찰

Ⅲ. 미국 의료정보에 관한 두 가지 법률

Ⅳ. 미국 법원의 주요판결

Ⅴ. 나오며 : 우리나라에서의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29 9 보건의료 건강한 사람 대상 임상시험의 윤리적 위험성 최소화 방안 연구 / 방성윤 2018  137
428 9 보건의료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구축에 관한 고찰 / 이서형 2018  137
42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서 생성되는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 최준영 2015  136
426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비 상승요인 분석 2017  136
425 9 보건의료 Personal Care in Learning Health Care Systems 2015  135
424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35
423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과정 / 유무영 2006  135
422 9 보건의료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이 의약품 약가에 미치는 영향 / 구하영 2019  135
421 9 보건의료 한국적 상황에서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 / 서경화 2019  135
420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의 국제의료서비스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홍혜정 2019  135
419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의 장애인 특수교육을 위한 제언 / 김송석 2019  135
418 9 보건의료 프랑스법상 의사책임분야(醫事責任分野)에서의 인과관계와 소멸시효론에 관한 소고/박수곤 2014  133
417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416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
415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의 과제와 전망 / 닐런트 2017  133
414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자 관리사업 세부 영역별 성과 평가방안 연구/ 윤영호 외 2014  133
413 9 보건의료 지하철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개정의 규제효과 분석 / 이민욱 2014  132
412 9 보건의료 위험분담제도의 국내보험제도 안착을 위한 선결 조건에 대한 고찰 / 이상은 2016  131
411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410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