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53057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at were cohort quarantined during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 outbreak



저자정희자(Heeja Jung),최애리(Aelee Choi),이건정(Gunjeong Lee),김지영(Jiyoung Kim),정선영(Sunyoung Jeong)
학술지명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권호사항Vol.18No.3[2017]

발행처한국산학기술학회
자료유형학술저널

수록면175-184
언어Korean
발행년도2017
주제어Employee turnover,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Nurses,Outbreaks,Stress,Quarantine
초록본 연구는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추후 감염병 유행 시 간호사 인적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메르스 대유행 시에 코호트 격리된 3개의 병원에서 메르스 확진환자나 의심환자 간호에 직접 참여하였거나, 메르스 확진 혹은 의심환자를 직접 돌보지는 않았으나 이들 환자가 있는 병동 혹은 병원에 근무한 267명의 간호사이다. 원 자료의 수집은 2015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및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근무기간과 평소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메르스 확진환자를 직접 간호한 간호사들의 경우 높은 메르스 스트레스를 경험하였음에도 불구하고(p<.001) 이직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치명적인 감염을 야기할 수 있는 메르스 환자 간호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한 간호사가 경험한 메르스 스트레스보다 평소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다. 따라서 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성공적인 인력관리를 위해서는 감염성 질환과 관련된 특수한 상황에서의 간호사의 스트레스 관리 뿐 아니라 평소직무특성을 고려한 스트레스 완화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록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at were cohort quarantined during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MERS) outbreak.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7 nurses from three hospitals that came in direct or indirect contact with diagnosed MERS and suspected MERS patients and were group quarantined during the 2015 MERS breakou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1, 2015 through November 30, 2015. The collected data were evaluated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OVA and multivariate regression conducted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h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were work experience and usual stress levels. While nurses tending to MERS patients had the highest stress levels (p<.001), different types of patient care during the MERS outbreak did not yiel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ver intention. The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work experience and usual stress levels impact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and because the stress resulting from the MERS outbreak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further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required to reduce the usual stress levels of nurses.
목차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29 9 보건의료 일차의료를 위한 연수교육 강화방안 / 이혜연 2015  34
428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시범사업 / 정성훈 2014  104
427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자 관리사업 세부 영역별 성과 평가방안 연구/ 윤영호 외 2014  134
426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접근 방향 / 황나미 2013  59
425 9 보건의료 일차의료의 개념과 가치, 그리고 한국의 현실과 과제 / 최용준 외 2013  159
424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일차의료의 현황과 과제 / 임종한 2013  96
423 9 보건의료 일차의료 강화를 통한 효과적 만성질환 관리 방안 / 신호성 2012  61
422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2017  113
421 9 보건의료 생체정보의 개인정보자기결정권에 관한 연구 / 김현철 2006  110
420 9 보건의료 공공기관 생성 건강정보활용 활성화 방안 연구 : 일개 공공기관의 자료를 바탕으로 / 이도화 2015  65
419 9 보건의료 개인정보보호법상 의료정보 적용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2016  344
418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김재선 2016  173
417 9 보건의료 의료 분야에서의 개인정보보호 / 최계영 2016  142
416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2차 이용을 위한 국내 비식별화 대상 정보에 관한 연구 / 김철중 외 2016  43
415 9 보건의료 특집 : 의료 제 문제의 공법적 해석 = A Public Law Review of Medical Issues / 이한주 2015  50
414 9 보건의료 다기준의사결정(MCDA) 방법론을 이용한 신약개발과제의 평가 및 의사결정 연구 / 이상영 2017  374
413 9 보건의료 시험을 위한 실시의 특허 침해 예외 범위 :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를 위한 실험을 중심으로 검토 / 김학선 2007  339
412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411 9 보건의료 메르스 양성 진단자와 접촉한 대상자의 재택격리 경험 / 하주영, 반선화 2017  100
» 9 보건의료 메르스 대유행 시 코호트 격리된 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 정희자 외 2017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