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보건학과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244312 

한국 메르스 발생기간 동안 일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 근무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Nurses’ Mental Health State and Related-Factors at a State-Designated Hospital during the MERS



저자

박지선

발행사항

수원 : 아주대학교, 2016

형태사항

93 ; 26 cm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은현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아주대학교 : 보건학과  2016. 8

발행국

경기도

언어

한국어

출판년

2016

주제어

메르스,간호사,정신건강

소장기관

아주대학교 도서관 (241038)

초록

본 연구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발생 동안 메르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에서 근무한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상관관계 연구이다.
경기도 소재 1개 메르스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에 근무한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비롯한 정신건강상태, 스트레스, 스티그마, 강인성,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총 187부였고, 자료 분석은 IBM SPSS 19.0을 사용하였다. 
정신건강상태와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직책, 메르스 관련 병동 근무여부는 두 집단으로 나누어 정신건강상태 평균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연속형 변수인 스트레스, 스티그마, 강인성, 사회적 지지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메르스 관련 병동 근무자가 비관련 병동 근무자 보다 정신건강상태가 유의하게 낮았고, 일반간호사가 수간호사 보다 정신건강상태가 유의하가 낮았다. 스트레스, 스티그마, 강인성, 사회적 지지와 정신건강상태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스트레스, 스티그마는 정신건강상태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강인성과 사회적 지지는 정신건강상태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최종적으로 정신건강상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직책을 통제한 후 2단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스트레스, 스티그마, 강인성, 메르스 관련 병동 근무여부가 정신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정신건강상태 분산의 49.7%(R2=.497)를 설명하였다. 이 중 스티그마는 정신건강상태 하부척도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와 강인성은 3개 영역, 메르스 관련 병동 근무여부는 1개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감염병 발생 또는 유사 환경 근무 간호사들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서는 중재프로그램 개발뿐만 아니라 보건의료전달체계 및 법・제도・환경적 개선이 함께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Ⅱ. 문헌고찰 
  1. 메르스(MERS)발생과 전파 
  2. 감염병 발생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심리적 영향
  3. 간호사의 정신건강 
  4. 간호사의 정신건강 관련요인 
 
Ⅲ. 연구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자 및 표본 
  3. 자료수집방법 및 절차 
  4. 측정도구 
  5.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대상자의 특성 
  2. 주요 연구변수에 대한 기술통계 
  3.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상태 
  4. 각 연구변수와 정신건강상태와의 관계 
  5. 정신건상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Ⅴ. 논의 
 
Ⅵ. 결론 
 
참고문헌 
 
부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409 9 보건의료 영리법인병원 허용문제에 대한 조사연구 / 성정민 2008  129
408 9 보건의료 정치경제학으로 한국의 건강과 보건의료 들여다보기 / 우석균 외 2017  129
407 9 보건의료 환자 맞춤형 의약품 투약량 적정성 제공 시스템 / 김정훈 2019  128
406 9 보건의료 건강정보이해능력과 개인의 특성이 스마트 헬스케어 이용 경험에 미치는 요인 분석 / 김가은, 박현준 2019  128
405 9 보건의료 이탈리아 정신보건개혁의 정책적 함의 / 이용표 2017  126
404 9 보건의료 임상시험 결과의(Clinical Trials Outcome) 성공율을 높이기 위한 강화전략(Enrichment Strategy) 탐색 : 일개 병원 EMR 자료를 이용하여 / 이지선 2018  126
403 9 보건의료 "중환자의 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논평: 취약한 환자 진료에서의 윤리-중환자의학/김도경 2015  125
402 9 보건의료 노인복지정책의 관점에서 본 치매대응체계 진단과 과제/권중돈 2018  125
401 9 보건의료 1969년 스웨덴 헌법 개정이후 의료체계의 민영화에 관한 연구 / 김철주 2016  125
400 9 보건의료 노인의 건강과 돌봄 / 이윤경 2018  125
399 9 보건의료 환자안전법 개요와 쟁점 / 김수경 2018  125
398 9 보건의료 정밀의료의 출현에 대한 규제의 시선 - 미국의 ‘정밀의료 발전계획’을 단초로 -/윤혜선 2018  125
397 9 보건의료 인체의 치료 및 진단 방법 특허 보호에 대한 연구 / 심미랑 외 2019  125
396 9 보건의료 가치 향상과 의료 혁신을 위한 건강보험 지불제도 개혁 방향 / 강희정 2017  124
395 9 보건의료 병원체의 다중적 구성 / 김기흥 2015  124
394 9 보건의료 주요 외국의 희귀의약품과 항암제 별도 기금 제도 고찰 및 시사점 / 정승연 2017  124
393 9 보건의료 의료행위와 대리승낙/이석배 2014  123
392 9 보건의료 국민의 적정 부담을 위한 비급여 관리 방향 / 공진선 2017  123
391 9 보건의료 위약반응으로 바라본 우리 삶의 의학 / 임영채 2013  122
390 9 보건의료 미국의 사과법 및 디스클로져법의 의의와 그 시사점 / 이원 외 2018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