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184751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Stress of Nurses in Local Medical Centers who Experienced the MERS Situation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저자오남희
발행사항대구 :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형태사항i, 56 p.              : 삽화  ; 26 cm
일반주기명지도교수: 홍남수,참고문헌 (p. 41-46) 수록
학위논문사항학위논문 (석사)--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 보건관리학 2016. 8
DDC614 613.62 23
발행국대구
언어한국어
출판년2016
주제어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New Infectious Diseases,Stress of Nurses,Local Medical Centers
소장기관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222001)
초록(Abstract)
 Risks of occurrence of new infect
ious diseases caused by change of environmental ecosystem and possibilities of introduction and fast expansion of new infectious diseases due to rapid increase of movement of population with globalization have been increasing. Possibilities of occurrence of new infectious diseases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but no studies on awareness of hospital workers exist. Therefore, this descriptive study is to apprehend stress of nurses, views on nursing profession and nursing intention for patients with new infectious diseases in the MERS situation with 313 nurses both in 2 local medical centers that have nationally designated isolated rooms and in 3 local medical centers that do not operate nationally designated isolated rooms among nurses in local medical centers who directly or indirectly experienced the MERS situation in 2015.
As a result of the study, it has difference of stress by selected treatment of institutions and participation type of isolated treatment in hospitals and nurses educated about infection management in preparation for new infectious diseases before the MERS situation are less stressed out. Generally, it has significant difference by years of service, age, department, marital status and the number of children. In addition, nurses who participated in treatment in the MERS situation, were educated about infection management and answered goods had been supplied smoothly have high nursing intention. Stress nurses experienced the MERS situation has influenced nursing intention and the nursing intention is influenced by views on nursing profession, so conditions to train nurses who have high views on nursing profession that makes them provide high-quality nursing service with confidence and voluntary intention should be needed. This study suggests that repetitive researches are implemented with hospital workers in all departments and private hospitals, stress factors are researched and plans for supply and demand of stable medical workers, stress management and recovery programs are prepare.
목차Ⅰ. 서   론 --------------------------------------------1
   1. 연구 배경 및 목적 ---------------------------------1
Ⅱ. 연구방법 ------------------------------------------6
   1. 연구모형 -----------------------------------------6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7
   3. 연구도구 -----------------------------------------8
   4.자료분석방법 -------------------------------------12
Ⅲ. 연구결과 -----------------------------------------13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3
   2. 연구대상자의 메르스 관련 경험적 특성 -------------15
   3. 연구대상자의 스트레스, 간호전문직관과 간호의도 ---17
 4. 스트레스, 간호전문직관, 간호의도간의 상관관계------30
 5.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의 영향 요인 ---------------31  
Ⅳ. 고찰 ---------------------------------------------34
Ⅴ. 요약 및 결론 -------------------------------------38
참고문헌 --------------------------------------------41
영문초록--------------------------------------------47
부록 ------------------------------------------------4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9 9 보건의료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유의질병 및 병원정보 제공 앱 서비스 개발 / 김성현 2016  303
368 9 보건의료 의료IT융합 기술 연구 동향 / 김승환 2016  99
367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2016  722
366 9 보건의료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김선구 2016  778
365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
364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2
363 9 보건의료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제네릭의약품 시판허가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2016  73
362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48
361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7
360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359 9 보건의료 노인 건강 및 장기요양정책의 현황과 과제 2016  160
358 9 보건의료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한 헬스케어 기술 구현 연구 / 정성훈 2016  215
35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의 개발동향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이지예 2016  137
356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류에 관한 연구 / 하영경 2016  100
355 9 보건의료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 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김재영 2016  204
354 9 보건의료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리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 윤정희 2016  109
»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352 9 보건의료 한국 메르스 발생기간 동안 일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 근무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박지선 2016  284
351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동훈 2016  207
350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 배재현 2016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