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경희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2017. 2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62115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기타서명

    A study on development strategy of China's medical care system for the elderly
    中国老年人医疗保障体系的发展方案研究

  • 저자

    장정

  • 형태사항

    vi, 115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신동면
    참고문헌: p. 103-110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 행정학과 2017. 2

  • DDC

    350 2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7

  • 주제어

    중국 노인의료보장체계상하이시 노인의료보장체계중국고령화

  • 초록 (Abstract)
    • 본 논문은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노인의료보장체계의 발전상황과 성과를 분석하고, 오늘날 인구 노령화 추세에 맞춘 의료보장체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노인의료보장체계를 중국노인의료보장체계와 비교하여 중국의 실정에 맞는 개선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 노인의료보장체계에 대하여 급여대상, 서비스, 재원, 전달체계로 분석하였다. 대표적으로 도시의료보장체계 중 중국에서 제일 먼저 노령화에 진입한 상하이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현재 노인의료보장체계를 보면 여전히 많은 제도적인 문제가 존재하고 있다. 첫째, 의료보장체계 관련 요인들에서 도시와 농촌 간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도시의 연평균 의료비용은 1979.58위안으로 농촌 노인의 연평균 의료비용인 830.98보다 크며, 이는 의료 혜택의 차이를 의미한다. 또한 보장 수준에 있어서도 도시 노인이 농촌 노인에 비해 더 많은 금액을 보장받고 있어, 지역 간 형평성을 저해하고 있다. 인프라의 측면에서도 병원 시설 수준의 차이, 병원 수, 의료진의 수준 및 인원 수 등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의료 서비스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이 되고 있어 도시와 농촌 간 의료 서비스의 질에서도 큰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의료 서비스는 인간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욕구이기 때문에 지역 간 격차를 줄이고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는 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둘째, 중국 의료보험체계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 체계를 가지지 못하고 있어 노인이 누릴 수 있는 의료 보험 수준이 낮고, 이에 따른 보장의 효과도 좋지 않다. 특히, 발병률이 높고 만성질환의 비중이 높은 노인에게는 중국의 현 의료보장 범위는 매우 한정적이며, 보장 수준도 큰 질병 중심으로만 지원되다 보니, 일상적인 질환에 대한 보장 효과가 낮은 실정이다. 그리고 전국적으로 노인 전문 병원은 61곳에 불과하고, 그 중에서도 1급 병원은 18곳, 2급 19곳, 3급 1곳으로 나머지 병원은 평가마저도 되지 않아 노인 관련 의료 자원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셋째, 불완전한 노인의료보험체계로 인해 여성노인, 독거노인, 치매노인 등 특정한 상황에 처해있는 노인들의 각기 다른 특성들이 고려되지 못하고 있으며, 운영적 측면에 있어 지방정부에서 의료보험정책을 운영함으로써, 지역마다 의료수준의 차이를 불러오고 있다. 이는 타 지역에서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서비스 내용, 처리 절차 등에서 원활한 서비스 제공의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노인의료보험체계는 보험료 납입의 주체가 재직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의료보험의 주된 혜택을 받게 되는 퇴직자 또는 노인들은 비용을 지불하지 않음으로써, 재원의 부족 및 운영적 측면의 문제를 가중시키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7
329 9 보건의료 초고령사회 고령후기 노인을 위한 생애말기 정책 지원방안 연구 / 김경래 외 2016  109
328 9 보건의료 인공지능을 이용한 의료행위와 민사책임에 관한 고찰 / 백경희 2017  109
327 9 보건의료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한 병원시스템 모델 / 안윤애 외 2017  109
326 9 보건의료 고혈압 약제의 올바른 사용: 증례를 통한 접근 / 박성하 2018  109
325 9 보건의료 우리나라 건강보험의 위험분담제도가 재정 및 환자접근성에 미친 영향/이종혁, 방준석 2018  109
324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시설 영리 · 비영리성과 종사자의 업무환경 인식 및 소진과의 관계 / 김요섭 외 2017  109
323 9 보건의료 의료취약계층환자의 진료시 바람직한 헬스커뮤니케이션 도구 개발 / 김재윤 외 2018  109
322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장해순 2007  108
321 9 보건의료 치매 진단 검사법의 비용-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 장수현 외 2018  108
320 9 보건의료 노인돌봄서비스 제공기관의 돌봄제공자 정서지원서비스 현황 및 영향요인 / 김유미 외 2018  108
319 9 보건의료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에 대한 논평: 응급진료에서의 취약한 환자의 범주와 문제점/박형욱 2015  107
318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7
317 9 보건의료 재난적의료비 지출이 노인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빈곤화의 매개효과분석/ 이한기 2017  107
316 9 보건의료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 / 이상일 , 석승한 , 민인순 2017  107
315 9 보건의료 의사의 의료행위와 한의사의 한방의료행위의 범위와 한계 / 정규원 2018  107
314 9 보건의료 A.I. 아바타를 활용한 개인맞춤형 건강관리 콘텐츠디자인에 관한 연구 : PHAVATAR 앱 개발을 중심으로 / 김태원 2017  106
313 9 보건의료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 김문영 2017  106
312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2017  105
311 9 보건의료 국내 희귀의약품의 현황 및 과제 : 희귀질환에 대한 의약품 공급을 중심으로 / 김희은 2008  105
» 9 보건의료 중국 노인 의료보장체계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2017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