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017497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기타서명

    A comparative study on technology transfer guidelines for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 저자

    진장한                                       

  • 형태사항

    11, 58 p. : 삽화, 표 ; 30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정규혁
    참고문헌 : p. 54-5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2016. 2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소장기관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초록 (Abstract)
    • 의약품제조 기술이전과 관련하여 FDA에서‘Guidance for industry process validation: General, 2011’을 발간하면서 ‘공정 디자인 단계부터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공정이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을 제...
  • 의약품제조 기술이전과 관련하여 FDA에서‘Guidance for industry process validation: General, 2011’을 발간하면서 ‘공정 디자인 단계부터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공정이 지속적으로 양질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과학적인 증거를 확립할 수 있도록 자료를 수집하고 평가할 것’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초기에 공정 디자인 단계에서 의도했던 의약품의 품질을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은 어렵다. 그 이유는 전임상에서 임상을 거쳐 상업화에 이르기까지 제조단위의 증대와 함께 많은 변경을 수반하게 되는데, 이는 의약품의 품질에 있어서 잠재적인 큰 위험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약품 개발 단계 별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시판되는 의약품의 품질은 보증할 수 없다.
    이처럼 의약품의 제조 기술 이전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전무하다. 본 연구는 제약 선진국들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 연구를 통해서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에 대한 절차를 이해하고 관련 활동들을 파악하여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문서화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ISPE, WHO, NIHS에서 발행한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첫째,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의 절차를 비교하였다. 둘째,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절차에 따른 각 가이드라인의 세부적인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ISPE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의 절차는 위험 관리에 대한 개념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타 가이드라인보다는 최신의 품질 패러다임을 잘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SPE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의 절차는 기술이전 팀 구성, 차터 개발, 지식의 통합, 기술이전 동의, 위험 분석, 기술이전 계획, 기술이전 실행, 적격성 평가, 기술이전 완료 및 검토로 총 9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의 결과에서 기술이전의 각 단계에 맞추어 ISPE, WHO, NIHS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의 세부적인 내용을 재구성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각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들에 대해서 종합적으로 요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기술이전 각 단계 별로 준비해야 할 관련 문서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그 동안 내수 시장을 목표로 해왔던 국내 제약 기업들은 기술이전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한 경험이 없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이전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비용적, 시간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글로벌 진출을 위해서 체계적인 기술이전 활동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국내의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의 제정의 토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해외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국내의 제약 기업들은 의약품제조 기술이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추기 위한 지원과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 배경 1
  • 제2절 연구 목적 4
  • 제2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 연구 검토 5
  • 제1절 이론적 고찰 5
  • 1.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5
  • 2. 제조 기술 이전 측면의 제약 품질 시스템 요소 6
  • 3. 지식 관리 7
  • 4. 품질 위험 관리 7
  • 제2절 선행 연구 8
  • 제3절 사례 조사 10
  • 제3장 연구 방법 13
  • 제1절 연구 내용 13
  • 1. 제조 기술 이전 절차 비교를 통한 비교 분석 항목 도출 13
  • 2. 제조 기술 이전 절차에 따른 기관 별 가이드라인 비교 분석 13
  • 3. 제조 기술 이전 단계 별 필요 활동 정리 14
  • 제2절 자료수집 방법 15
  • 제4장 연구 결과 17
  • 제1절 제조 기술 이전 프로세스의 비교 17
  • 제2절 기술 이전 프로세스에 따른 세부 내용 비교 분석 20
  • 1. 기술 이전 팀 구성에 관한 비교 20
  • 2. 차터 개발에 관한 비교 23
  • 3. 지식의 통합에 관한 비교 분석 25
  • 4. 기술 이전 동의에 관한 비교 분석 29
  • 5. 위험 분석에 관한 비교 31
  • 6. 기술 이전 계획에 관한 비교 34
  • 7. 기술 이전 실행에 관한 비교 36
  • 8. 적격성 평가에 관한 비교 39
  • 9. 기술 이전 완료 및 검토 41
  • 제3절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주요 활동 46
  • 제5장 결론 및 고찰 49
  • 제1절 결론 및 고찰 49
  •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의의 53
  • 참고자료 및 문헌 54
  • ABSTRACT 5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8
369 9 보건의료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유의질병 및 병원정보 제공 앱 서비스 개발 / 김성현 2016  306
368 9 보건의료 의료IT융합 기술 연구 동향 / 김승환 2016  100
367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2016  723
366 9 보건의료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김선구 2016  780
365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
»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2000
363 9 보건의료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제네릭의약품 시판허가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2016  73
362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50
361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8
360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359 9 보건의료 노인 건강 및 장기요양정책의 현황과 과제 2016  160
358 9 보건의료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한 헬스케어 기술 구현 연구 / 정성훈 2016  216
35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의 개발동향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이지예 2016  137
356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류에 관한 연구 / 하영경 2016  100
355 9 보건의료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 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김재영 2016  204
354 9 보건의료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리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 윤정희 2016  109
35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352 9 보건의료 한국 메르스 발생기간 동안 일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 근무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박지선 2016  284
351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동훈 2016  207
350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 배재현 2016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