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208882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A study on IoT Technology and New Home IoT Service Models

                                           

  • 저자

    김선구                                       

  • 형태사항

    81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임영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 2016. 8

  • DDC

    621.3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우리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 자동차, 시계, 카...
  • (국문초록) 우리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 자동차, 시계, 카메라 등 모든 사물에 통신기능을 추가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보가전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IoT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단일 네트워크상에서 제한적으로 구현되던 홈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에 접근하고 제어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홈 IoT 기술은 최근 주목 받고 있는 IoT 융합서비스 중에서 가장 으뜸인 분야이다. 기존의 홈네트워크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 IoT기능이 포함된 가전제품 및 가정설비가 스스로 정보를 생산해서 다른 사물 또는 사람과 연계되어 일정 수준의 자동화 결정을 하여 사용자의 주거 생활 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는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IoT의 핵심기술, 동향과 전망 및 보안원칙, 서비스사례 및 나아가 홈 IoT의 기술동향과 시장동향을 살핀 후 홈 IoT 서비스를 제안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2 장 IoT의 정의 및 핵심기술 요소 3
  • 1. IoT 기술의 정의 3
  • 2. 글로벌 기업들이 생각하는 IoT 개념 4
  • 3. IoT 주요 기술 이슈 6
  • 4. IoT 핵심기술 요소 8
  • 가. 센싱 기술 8
  • 나.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10
  • 다. 플랫폼 기술 11
  • 라. 빅 데이터 처리 13
  • 제 3 장 보안원칙 및 기술 현황 15
  • 1. 보안원칙 15
  • 가. 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를 고려한 IoT 제품 16
  • 나. 안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기술 적용 및 검증 17
  • 1) 시큐어 코딩 적용 17
  • 2) 소프트웨어 보안성 검증 19
  • 3)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 20
  • 4)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과 하드웨어 보안 기술 융합 20
  • 다.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 20
  • 라. 보안 프로토콜 준수 및 안전한 파라미터 설정 21
  • 마. IoT 제품·서비스의 취약점 보안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 22
  • 바. 안전한 운영·관리를 위한 정보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체계 마련 23
  • 사. IoT 침해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 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 24
  • 2. IoT 기술 현황 24
  • 가. IoT 주요 연구 동향 25
  • 나. IoT 주요 키 플레이어 및 제품 동향 25
  • 제 4 장 IoT 서비스 사례 및 발전 방향 30
  • 1. IoT 서비스 사례 30
  • 가. 수면 케어 솔루션 30
  • 나. 바이 로봇 31
  • 다. 헬스케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 32
  • 라. 스마트 카 분야 33
  • 마. 스마트 홈 분야 33
  • 바. 유통 분야 34
  • 2. IoT 발전 방향 34
  • 제 5 장 홈 IoT의 기술 동향 및 시장 동향 37
  • 1. 홈 IoT 네트워크 기술 37
  • 2. 홈 정보가전 기술개요 40
  • 3. 연결성을 위한 홈 정보가전 IoT 구성 44
  • 4. 홈 IoT 시장 동향 45
  • 제 6 장 홈 IoT 서비스 및 서비스 모델 제시 53
  • 1. IoT 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 바라본 IoT 시장 54
  • 2. IoT 진입장벽과 대응 전략 55
  • 3. IoT use cases 58
  • 4. IoT 협력과 eco-system 62
  • 5. 홈 IoT 서비스 모델 제시 64
  • 제 7 장 결 론 66
  • 참고문헌 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9 9 보건의료 의료정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유의질병 및 병원정보 제공 앱 서비스 개발 / 김성현 2016  303
368 9 보건의료 의료IT융합 기술 연구 동향 / 김승환 2016  99
367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2016  722
» 9 보건의료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김선구 2016  778
365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플랫폼 개발 / 고동희 2016  287
364 9 보건의료 의약품제조 기술이전 가이드라인 비교연구 / 진장한 2016  1992
363 9 보건의료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제네릭의약품 시판허가에 미치는 영향/ 박희영 2016  73
362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48
361 9 보건의료 전문의약품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 : 오리지널과 제네릭 의약품 비교를 중심으로/이성경 2016  107
360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359 9 보건의료 노인 건강 및 장기요양정책의 현황과 과제 2016  160
358 9 보건의료 초 연결시대의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과 웨어러블 디바이스 이용한 헬스케어 기술 구현 연구 / 정성훈 2016  215
357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기기의 개발동향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이지예 2016  137
356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 분류에 관한 연구 / 하영경 2016  100
355 9 보건의료 질병재난보도에서 언론의 취재 및 보도 기준에 대한 기자들의 인식 연구 : 정부의 메르스 관련 정보제공 사례를 중심으로 / 김재영 2016  204
354 9 보건의료 공공의료기관 간호사의 리질리언스에 관한 연구 / 윤정희 2016  109
353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를 경험한 지방의료원 간호사의 스트레스와 신종감염병환자 간호의도 / 오남희 2016  377
352 9 보건의료 한국 메르스 발생기간 동안 일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 근무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박지선 2016  284
351 9 보건의료 메르스(MERS) 감염에 대해 일반대중이 경험한 두려움과 정서적 디스트레스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이동훈 2016  207
350 9 보건의료 메르스 사태로 본 국가재난대응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중대본·중수본 운영체계를 중심으로 / 배재현 2016  3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