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208882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A study on IoT Technology and New Home IoT Service Models

                                           

  • 저자

    김선구                                       

  • 형태사항

    81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임영석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전남대학교 :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전자컴퓨터공학 2016. 8

  • DDC

    621.3

  • 발행국

    광주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국문초록) 우리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 자동차, 시계, 카...
  • (국문초록) 우리 사회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으로 말미암아 모든 것이 인터넷과 연결되는 초연결사회(Hyper Connected Society)로 진입하고 있다. 핸드폰은 물론이고, 집, 자동차, 시계, 카메라 등 모든 사물에 통신기능을 추가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정보가전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IoT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기존의 단일 네트워크상에서 제한적으로 구현되던 홈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언제, 어디서든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에 접근하고 제어 할 수 있도록 발전하고 있다. 홈 IoT 기술은 최근 주목 받고 있는 IoT 융합서비스 중에서 가장 으뜸인 분야이다. 기존의 홈네트워크 기술의 한계를 넘어서 IoT기능이 포함된 가전제품 및 가정설비가 스스로 정보를 생산해서 다른 사물 또는 사람과 연계되어 일정 수준의 자동화 결정을 하여 사용자의 주거 생활 서비스의 질을 높여주는 기술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IoT의 핵심기술, 동향과 전망 및 보안원칙, 서비스사례 및 나아가 홈 IoT의 기술동향과 시장동향을 살핀 후 홈 IoT 서비스를 제안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2 장 IoT의 정의 및 핵심기술 요소 3
  • 1. IoT 기술의 정의 3
  • 2. 글로벌 기업들이 생각하는 IoT 개념 4
  • 3. IoT 주요 기술 이슈 6
  • 4. IoT 핵심기술 요소 8
  • 가. 센싱 기술 8
  • 나.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10
  • 다. 플랫폼 기술 11
  • 라. 빅 데이터 처리 13
  • 제 3 장 보안원칙 및 기술 현황 15
  • 1. 보안원칙 15
  • 가. 정보 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를 고려한 IoT 제품 16
  • 나. 안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개발 기술 적용 및 검증 17
  • 1) 시큐어 코딩 적용 17
  • 2) 소프트웨어 보안성 검증 19
  • 3)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 20
  • 4) 소프트웨어 보안 기술과 하드웨어 보안 기술 융합 20
  • 다.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 20
  • 라. 보안 프로토콜 준수 및 안전한 파라미터 설정 21
  • 마. IoT 제품·서비스의 취약점 보안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 22
  • 바. 안전한 운영·관리를 위한 정보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체계 마련 23
  • 사. IoT 침해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 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 24
  • 2. IoT 기술 현황 24
  • 가. IoT 주요 연구 동향 25
  • 나. IoT 주요 키 플레이어 및 제품 동향 25
  • 제 4 장 IoT 서비스 사례 및 발전 방향 30
  • 1. IoT 서비스 사례 30
  • 가. 수면 케어 솔루션 30
  • 나. 바이 로봇 31
  • 다. 헬스케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야 32
  • 라. 스마트 카 분야 33
  • 마. 스마트 홈 분야 33
  • 바. 유통 분야 34
  • 2. IoT 발전 방향 34
  • 제 5 장 홈 IoT의 기술 동향 및 시장 동향 37
  • 1. 홈 IoT 네트워크 기술 37
  • 2. 홈 정보가전 기술개요 40
  • 3. 연결성을 위한 홈 정보가전 IoT 구성 44
  • 4. 홈 IoT 시장 동향 45
  • 제 6 장 홈 IoT 서비스 및 서비스 모델 제시 53
  • 1. IoT 서비스 공급자 관점에서 바라본 IoT 시장 54
  • 2. IoT 진입장벽과 대응 전략 55
  • 3. IoT use cases 58
  • 4. IoT 협력과 eco-system 62
  • 5. 홈 IoT 서비스 모델 제시 64
  • 제 7 장 결 론 66
  • 참고문헌 6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9 9 보건의료 좋은 죽음에 대한 윤리적 성찰과 모색 : 니체의 '운명애'와 레비나스의 '타자의 얼굴' 개념을 중심으로 / 임지연 2016  694
48 9 보건의료 병원내 인권침해 사례에 대한 법적 문제 / 김기영 2018  700
47 9 보건의료 2017년 보건의료정책 현황과 정책과제 / 김남순 외 2017  707
46 9 보건의료 응급의학과 의사의 윤리강령 개발에 관한 연구 / 차지훈 2008  710
45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케어 스마트 시스템 연구 / 김준호 2016  722
44 9 보건의료 "핀핀코로리(ぴんぴんころり)의 비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서의 생명정치와 노년의 자기윤리 / 김희경 2015  744
43 9 보건의료 의료에 있어서 미성년자의 자기결정권 / 김상찬 2011  752
42 9 보건의료 블록체인 의료의 법적 문제 / 손경한, 박도윤 2019  773
41 9 보건의료 위험분담계약제도(risk sharing arrangements) 도입 전후 국내 고가 의약품 급여 접근성 비교 / 김정주 2017  777
» 9 보건의료 IoT기술 현황과 홈 IoT기술 동향 분석을 통한 홈 IoT서비스 모델 제시 / 김선구 2016  778
39 9 보건의료 외래환자의 의료기관 내원경로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구자영 2017  782
38 9 보건의료 연구논문 : 병원의료윤리위원회를 둘러싼 법적문제에 대한 연구 / 이재경 2014  797
37 9 보건의료 국내 의료기관의 의료관련감염 관리 실태 / 정선영 외 2014  808
36 9 보건의료 치매 관련 사회복지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사회복지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최희경 2016  828
35 9 보건의료 인신사고로 인한 손해배상과 보험자의 구상권 -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구상권을 중심으로 -/노태헌 2015  894
34 9 보건의료 모자보건법의 모자보건센터와 중앙모자의료센터의 기능 개선방안 / 황종윤 2019  955
33 9 보건의료 한국, 일본, 대만의 건강보험제도 비교 / 김계현 2017  1004
32 9 보건의료 사용자의 의료정보 전달력을 향상시킨 국민건강검진 결과지 디자인 개선 / 김예림 외 2018  1042
31 9 보건의료 DNR에 대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인식과 윤리적 태도 / 박학영 2010  1060
30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가 의료서비스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 박기종 2017  1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