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가족복지학(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038229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Care Activities on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of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 저자명

    김정은 ( Kim Jeong Eun ), 최해경 ( Choi Hae Kyung )                                            

  • 학술지명

    한국가족복지학(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 권호사항

    Vol.55 No.- [2017]                                                          

  • 발행처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 발행처 URL

    http://www.kafsw.or.kr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57-187(3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손상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주보호자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 이 연구의 목적은 기능손상 노인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주보호자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사회복지 차원의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치매, 뇌졸중, 파킨스병 등의 진단을 받은 60세 이상의 부모 또는 배우자를 6개월 이상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주보호자이며, 일대일 대인면접의 서베이 방식으로 총 18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SPS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주보호자의 주관적인 신체건강은 5점 만점에 평균 2.81점(SD=.93)의 부정적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자기 돌봄 활동 요인 중 건강 책임(β=-.244, p<.01), 신체적 활동(β=.198, p<.05)이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CES-D로 측정된 주보호자의 정신건강은 평균 26.38점(SD=10.53)으로서 임상적으로 매우 심한 우울 수준으로 확인되었으며, 자기 돌봄 활동의 영적 성장(β=-.409, p<.001)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보호자의 신체·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자기 돌봄에 대한 인식 개선, 적극적인 자기 돌봄 여건 마련 등을 강조하는 실천적, 정책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 초록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are activitie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of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85 primary caregivers who were caring for their spouses or par...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care activitie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primary caregivers of functionally impaired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85 primary caregivers who were caring for their spouses or parents with functional impairment at home in Daejon. SPSS 21.0 software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primary caregivers reported their physical health status as poor (2) the domains of health responsibility, physical activity in their self-care activiti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ir physical health level (3) primary caregivers reported very high level of depression (4) their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piritual growth among self-care activities. Based on these findings,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policy suggestions were discuss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5
429 9 보건의료 건강한 사람 대상 임상시험의 윤리적 위험성 최소화 방안 연구 / 방성윤 2018  137
428 9 보건의료 국내 보건의료 빅데이터 법제의 구축에 관한 고찰 / 이서형 2018  137
42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시스템 운영에서 생성되는 의료 빅데이터의 활용가치 / 최준영 2015  136
426 9 보건의료 중국의 의료비 상승요인 분석 2017  136
425 9 보건의료 Personal Care in Learning Health Care Systems 2015  135
424 9 보건의료 의약품 거래규제에 관한 일고찰 / 이종인, 이승신 2012  135
423 9 보건의료 바이오의약품의 허가과정 / 유무영 2006  135
422 9 보건의료 리베이트 쌍벌제 도입이 의약품 약가에 미치는 영향 / 구하영 2019  135
421 9 보건의료 한국적 상황에서 공공의료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 대안 / 서경화 2019  135
420 9 보건의료 상급종합병원의 국제의료서비스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 홍혜정 2019  135
419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의 장애인 특수교육을 위한 제언 / 김송석 2019  135
418 9 보건의료 프랑스법상 의사책임분야(醫事責任分野)에서의 인과관계와 소멸시효론에 관한 소고/박수곤 2014  133
417 9 보건의료 혈액제제의 투여로 인한 HIV 감염에 있어 인과관계의 증명책임 / 최민수 2012  133
416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
415 9 보건의료 고령화시대 영국 국가보건의료서비스(NHS)의 과제와 전망 / 닐런트 2017  133
414 9 보건의료 지역사회 일차의료 중심 만성질환자 관리사업 세부 영역별 성과 평가방안 연구/ 윤영호 외 2014  133
413 9 보건의료 지하철 의료광고에 대한 의료법 개정의 규제효과 분석 / 이민욱 2014  132
412 9 보건의료 위험분담제도의 국내보험제도 안착을 위한 선결 조건에 대한 고찰 / 이상은 2016  131
» 9 보건의료 기능손상 노인을 돌보는 주보호자의 자기 돌봄 활동이 자신의 신체·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김정은 2017  130
410 9 보건의료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에서의 빅데이터 활용 동향 / 박길하 2017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