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425173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 보장과 국영제약사의 역할: 해외 사례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
= The role of state-owned pharmaceutical companies & it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 저자명

    김선, 김유진, 백소혜, 양봉민, 권혜영

  • 학술지명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21 No.1 [2015]                                                           

  • 발행처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30(3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1             

  • 판매처

    한국학술정보 한국학술정보에서 제공하는 논문입니다.

  • 초록 (Abstract)
    •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은 건강권의 핵심 요소로서, 이를 보장하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 하지만 많은 국가에서 실제 의약품의 생산과 공급은 영리 민간제약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
  •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은 건강권의 핵심 요소로서, 이를 보장하는 것은 정부의 책임이다. 하지만 많은 국가에서 실제 의약품의 생산과 공급은 영리 민간제약사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의약품의 배분은 필요가 아닌 수요에 따라 결정되고 있다. 또한 1995년 무역관련 지적재산권(TRIPS) 체제의 도입으로 인한 전 세계적인 특허권의 강화는 제약사의 공급 독점적 지위를 강화함으로써 의약품 접근성을 저해하고 있는데, 특히 한국은 제약 산업이 제네릭 중심으로 성장해 왔고, 소비량 대비 수입량 비율이 높으며, 의료보장체계는 적은 예산으로 높은보장률을 달성해야 하는 부담에 직면해 있어 접근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 의약품 정책의 수단은 내용적 측면에서 수요 보장 및 제도적 환경 조성에 집중되어 있고, 형식적 측면에서도 재원조달이나 규제 방식에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필수의약품에 대한보편적·형평적 접근 보장을 위해서는 직접 공급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태국, 인도, 인도네시아, 브라질은 필수의약품에 대한 접근을 정부가 적극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국영제약사를 설립, 운영해 왔다. 이들 국가의 보건의료 환경과 제약기반은 한국의 상황과 꼭 같지 않지만, 보건의료지출의 부담이 증가되는 가운데 TRIPS 체제 하에서 의약품 접근성이 특히 구매가능성의 측면에서 위협받는 측면은 유사하다. 각 국은 국가 필수의약품 목록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국영제약사는 필수의약품의 자급자족을 달성함과 동시에 HIV/AIDS, B형간염, 암, 심혈관계 질환 등 보건의료 우선순위에 있는 질환의 치료제를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 공급하는 것을 주로 담당하고 있다. 필요한 경우 강제실시를 통해 원활한공급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강제실시 대상 의약품을 생산, 공급하기 위해 국영제약사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국영제약사의 역할에는 직접 생산뿐만 아니라 생산을위한 준비 과정에서 저렴한 제네릭을 수입하여 공급하는 역할도 포함된다. 국내에서도 저가필수의약품의 미생산, 미공급, 희귀·필수의약품의 공급 거부, 공중보건위기 대응 의약품의 수급 차질 등 의약품 생산·공급 단계에 기인한 접근성의 제약은 여러 차례 문제가 되어 왔으나, 안정적으로 공급을 보장하는 체계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국영제약사의 설립 타당성, 구체적인 설립 및 운영방안을 둘러싸고 논쟁이 벌어졌다. 그러나 한국의 의약품 접근성 문제에 대한 진단, 국영제약사가 수행할 수 있는 역할에 관한 합의가 부재하여 생산적인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해외 사례 및 국내 의약품 접근성 현황을 토대로, 필수의약품의 안정적 공급 방안으로서 국영제약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 초록 (Abstract)
    • Access to medicines is a central element of health rights, and state has responsibility to ensure it for people. But in reality, for-profit private pharmaceutical companies take lead in production and supply of medicines in many countries, and this ma...
  • Access to medicines is a central element of health rights, and state has responsibility to ensure it for people. But in reality, for-profit private pharmaceutical companies take lead in production and supply of medicines in many countries, and this makes allocation of medicines to be determined by demands, not by needs. Besides, worldwide reinforcement of patent righ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TRIPS regime in 1995 strengthens monopoly of pharmaceutical companies and hinders access to medicines. Countries including Thailand, India, Indonesia, and Brazil have been operating state-owned pharmaceutical companies to actively ensure access to medicines. The national essential medicines lists are officially announced and these companies have produced and supplied these medicines at low prices and have successfully achieved self-sufficiency. If necessary, essential medicines are produced and supplied by these companies with application of compulsory licensing. These companies are also engaged in importing inexpensive generics from other countries. In Korea, healthcare system and the infrastructures of pharmaceutical industry are not similar to these countries. However, Korea is vulnerable to the strengthened TRIPS and challenged by rising burden of healthcare expenditures, which might affect access to medicines. Although problems in access to medicines, especially resulting from production and supply problem, have been raised several times, there is insufficient policy to ensure stable supply of medicines. Recently, there have been debates on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of state-owned pharmaceutical company and its specific plan in Korean setting. This study suggests salient policy implications on these issues by reviewing foreign experiences and situations of access to medicines in Kore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29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정책 중심으로 / 오혜진 2018  174
528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 / 전대석 2018  174
52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김재선 2016  173
526 9 보건의료 한국 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분석 / 이정민 2018  173
525 9 보건의료 미국 「생물의약품 가격경쟁 및 혁신법」 상 '배타권'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2  172
524 9 보건의료 리베이트금지정책 사례연구: 의약품 리베이트 금지 / 이윤석 2016  172
523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522 9 보건의료 헬스케어산업 관점에서 본 린스타트업 적용 사례연구 / 임성훈, 김용태 2015  171
521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본인부담금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최성은 2018  171
520 9 보건의료 우리나라와 OECD의 의료자원 투입량의 비교를 통한 보험수가의 이론적 추정 / 오동일 2013  169
519 9 보건의료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 개발을 위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에 대한 연구 / 정우진 외 2016  169
518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517 9 보건의료 임상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 적용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에 관한 연구 / 김경희 2002  167
516 9 보건의료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2017  167
515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 분야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조태현 외 2018  167
514 9 보건의료 환자 돌봄 의사소통 측정 도구 개발 / 허명륜, 임숙빈 2019  167
513 9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의학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사례 / 박승균 2019  167
512 9 보건의료 응급의료 수가체계 개선방안 /이윤태 2004  166
511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가 소비자 병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택준 2010  166
510 9 보건의료 항생제 내성의 극복: 질환별 항생제의 올바른 선택 / 이미숙 2017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