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3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한국임상약학회지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99618273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Rare Disease Research and Orphan Drug Development

                                      

  • 저자명

    이신행, 이장익                                             

  • 학술지명

    한국임상약학회지                              

  • 권호사항

    Vol.23 No.1 [2013]                                                            

  • 발행처

    한국임상약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13(13쪽)

  • 언어

    English

  • 발행년도

    2013년

  • KDC

    518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0                                                                                      

  • 초록 (Abstract)
    • 희귀질환이란 일반적으로 그 유병율이 인구 일만 명당 5명 이하인 질환을 말한다. 세계에는 약 7,000여종의 희귀질 환이 알려져 있고 학술지에 매 주 대략 5종의 새로운 희귀질환이 보고되고 ...
  • 희귀질환이란 일반적으로 그 유병율이 인구 일만 명당 5명 이하인 질환을 말한다. 세계에는 약 7,000여종의 희귀질 환이 알려져 있고 학술지에 매 주 대략 5종의 새로운 희귀질환이 보고되고 있다. 희귀 의약품(orphan drug)이란 희 귀질환치료제 또는 수익성이 없어 개발을 기피하는 일반질환 치료제로서 정부가 지정한 의약품을 말한다. Orphan 의 약품의 개발에는 많은 장점이 있다. Orphan 의약품으로 정부의 지정을 받으면 세금감면을 통한 연구비 지원, 임상시 험 비용 지원, 신약허가 심사비 면제, 시장독점권 부여 등의 특혜가 주어진다. 희귀질환의 대부분은 단순한 유전적 결함에 의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제의 표적발견이 비교적 쉬우므로 개발 성공률이 높고, 임상시험기간이 짧으며, 시판 허가를 받을 확률이 높아 연구개발비용이 적게 든다. 그 결과 전세계 orphan 의약품 시장은 최근 매년 6%씩 성장 하여 2014년에는 약 1,120억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추정된다. Orphan 의약품 시장은 현재 매년 8.9%씩 성장 하고 글로벌 시장의 51%를 점유하는 미국을 중심으로 확장되어 가고 있으며, 총매출액의 64.3%가 유전자재조합의약 품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의약품시장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여 한국 또한 희귀질환 치료제 개 발의 활성화를 위해 재정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허가관리를 개선하며, 법률적 제도를 완비하는 과정에 있다. 현재 희귀질환의 치료적 타겟을 찾아 신물질이나 기존의 약물을 발굴하는 과정이 주로 대학이나 연구 중심 병원에서 이루 어지고 있다. 제도가 잘 정립되어 있는 미국 시장을 겨낭하여 orphan 의약품 개발을 전략적으로 수행한다면 큰 성공 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NTRODUCTION
  • DEFINITION OF A RARE DISEASE AND AN ORPHAN DRUG
  • POLICIES ON ORPHAN DRUG DEVELOPMENT
  • Orphan Drug Designation
  • Stimulus for Orphan Drug Development
  • ADVANTAGES IN THE DEVELOPMENT OF ORPHAN DRUGS
  • POINTS TO CONSIDER IN ORPHAN DRUG DEVELOPMENT
  • ROLE OF ACADEMIA IN RARE DISEASE RESEARCH AND ORPHAN DRUG DEVELOPMENT
  • FUTURE DIRECTIONS
  • REFERENC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49 9 보건의료 군 보건의료의 문제점과 법률적 개선방안 / 우정민 2018  253
648 9 보건의료 사회경제적 특성 및 유병에 따른 의료서비스 이용 행태 / 이고은 외 2018  253
647 9 보건의료 요양급여기준의 법적 성격과 요양급여기준을 벗어난 원외처방행위의 위법성 -대법원 2013. 3. 28. 선고 2009다78214 판결을 중심으로-/현두륜 2014  251
646 9 보건의료 문재인정부 복지정책의 전망과 과제 - 한국 복지국가의 경로를 바꿀 것인가? - / 김연명 2018  251
645 9 보건의료 질병과 지역에 따른 소득분위별 의료이용 불평등도 추이 / 김윤주 2018  250
644 9 보건의료 카데바를 이용한 해부학 실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손인아 2013  249
643 9 보건의료 서울시 지역별 보건의료기관 이용요인 및 1차 의료기관 이용현황 분석 : 강남구와 강북구의 만성질환을 중심으로/ 조영훈 2016  249
642 9 보건의료 유령수술행위의 형사책임 - 미용성형수술을 중심으로 -/황만성 2015  248
641 9 보건의료 병원감염 사건에서 증명책임 완화에 관한 입법적 고찰 - 개정 독일민법을 중심으로 -/유현정 2015  246
640 9 보건의료 국내 의약외품 관련 사회문제 분석을 통한 새로운 규제 가이드라인 제언 / 안영진 2016  246
639 9 보건의료 노인장기요양보험이 의료이용 및 삶의 질에 미친 영향분석 2017  245
638 9 보건의료 응급실 환자의 중증도와 만족도의 관련성 / 정지윤 2018  244
637 9 보건의료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 박근수 2015  243
636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의 추진방향과 과제 / 이상영 2015  242
» 9 보건의료 희귀질환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 이신행, 이장익 2013  241
634 9 보건의료 노인의 사회적 입원으로 인한 요양병원에서의 삶의 변화 / 강군생 외 2017  240
633 9 보건의료 최신 연구 소개 : 진행된 간질환을 동반한 C형간염 환자에서 Direct Acting Antivirals를 통한 치료 / 정우진 2016  235
632 9 보건의료 헬스케어와 보험업법상 쟁점 - 헬스케어서비스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 김영국 2019  234
631 9 보건의료 정부의 건강보험수가정책이 국내의료기기 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소의료기기 업체를 중심으로 / 박용철 2014  233
630 9 보건의료 공공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민간활용 및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연구 : 일반인 인식조사와 법제 개선방향 모색 / 손영주 2016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