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0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0749608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저자명

    김형주, 김석현, 김석관, 이정협, 박소현                        

  • 학술지명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 No.- [2010]                                                          

  • 발행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15(215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0년                                                                      

  • 초록 (Abstract)
    • 혁신 창출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 창출을 위한 지식이 중요해지고 새로운 지식의 공급을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임...
  • 혁신 창출의 새로운 돌파구로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지식기반 경제에서 혁신 창출을 위한 지식이 중요해지고 새로운 지식의 공급을 위하여 글로벌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증가하는 추세임 - 특히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경우 세계적인 글로벌 분업 구조의 형성으로 연구개발 기능이 확산됨에 따라 각국에서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에 전략적인 연계가 중요해짐 - 한편 최근 국제이주자들이 모국과 거주국간 지식 네트워크의 형성을 촉진하고 이로 인해 모국의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두뇌순환(brain circulation) 모델이 이론적 논의와 정책 측면에서 주목을 받고 있음 - 국내에서는 고급인력, 특히 고급과학기술인력의 두뇌유출(brain drain)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으며 이에 유출을 방지하고 귀국을 장려하는 방안에 정책적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나, 단순히 귀국을 장려하는 방안에서 벗어나 타이완이나 인도와 같이 해외 인력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두뇌 순환 방안의 가능성이 논의되고 있음 - 본 보고서에서는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을 위한 두뇌순환 전략을 국내 거점 구축(In), 해외 거점 구축(Out), 교량 확보(Bridge)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파악하고, 이를 한국 바이오 및 제약 분야에 적용하여 그 필요성과 형성 가능성 및 한계를 진단하고 정책점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함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필요성-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은 협소한 국내 시장과 연구개발 자원의 한계로 선진국과 격차는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중국, 인도 등 신흥국 제약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약진하고 있는데 비해 뒤처지고 있음. 이에 따라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구축이 시급한 실정임 ·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형성 가능성 및 한계- 해외 선진 시스템의 국내 유치 및 해외 제약회사와의 기술제휴와 투자 유치가 일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시작 단계이며 그 효과는 제한적임- 국내 기업이나 연구기관이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개별적으로 해외에 진출한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은 소수이며 해외 거점의 기능 역시 제한적임- 최근 해외에서 바이오 및 제약 분야 전문가 협회들이 자생적으로 형성되고 일부 한인 전문가들이 귀국하여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나 중국이나 인도에 비해 해외 인력풀이 상대적으로 작은 편이며 귀국한 전문가들도 개별적인 유치에 그침- 기업과 공공부문에서 제한적으로 전개되는 지식 네트워크 구축은 속도와 임계치 형성에서 한계가 분명하므로 공공부문의 선도가 필요함 정책 과제· 정부 주도의 집중적인 국내 거점 구축(In) 전략- 해외 유수의 연구소를 유치- 공공부문의 신약개발지원조직의 구성원을 글로벌 인재에서 선정- 선진국의 벤처자금과 공동으로 바이오벤처 투자하는 펀드의 조성 · 해외 거점 구축(Out) 전략- 연구와 컨설팅 기능의 선진국 거점(outpost) 구축 ·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교량(Bridge) 확보 전략- 한국의 벤처기업과 선진국의 바이오 및 제약 회사가 공동 투자하는 연구개발 사업- 자생적인 해외 한인 협회와의 체계적인 네트워킹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9 9 보건의료 성년후견제도의 도입에 관한 논의에서 의료행위와 관련한 과제 / 김민중 2009  54
68 9 보건의료 2013년 주요 의료 판결 분석/이동필 외 2014  53
67 9 보건의료 새로운 과학기술도입과 의료기기 해당성 판단 / 배현아 2015  53
» 9 보건의료 해외 전문 인력을 활용한 한국 바이오 및 제약 산업의 글로벌 지식 네트워크 구축 방안 / 김형주 2010  53
65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의료빅데이터 활용방안 설계 / 유예나 외 2015  53
64 9 보건의료 2018년 지방선거 보건·복지 분야 정책제안/조준희 2018  53
63 9 보건의료 새로운 수혈 가이드라인 / 김현옥 2011  53
62 9 보건의료 호주 뉴사우스웨일스의 의사결정능력 장애인과 의사결정지원 / 말콤 샤이벤스 2018  53
61 9 보건의료 의료기관에서의 감염예방과 관리 / 정진원 2018  53
60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재현된 의료담론분석 / 황지영 2019  53
59 9 보건의료 LMO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문상혁 2011  52
58 9 보건의료 소비자건강정보(CHI) 참고서비스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 노영희 2013  52
57 9 보건의료 소득수준에 따른 암 검진 이용현황 분석 / 임지혜 2017  52
56 9 보건의료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호 인증제도 적용을 위한 정책과제 / 정영철 외 2013  52
55 9 보건의료 인터넷 환경에서의 의료광고 규제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황성기 2016  51
54 9 보건의료 소비자 입장에서 바라본 정부의 보건의료정책에 대한 평가/조윤미 2018  51
53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분야 투자활성화 대책에 대한 헌법적 고찰 : 의료법인의 부대사업 확대 및 자법인 설립 허용을 중심으로 / 홍석한 2014  51
52 9 보건의료 병원 및 관련시설의 특허출원제도 개선방안 / 차성민 2018  51
51 9 보건의료 의약품 특허의 강제실시청구에 관한 심사기준 고찰 -인간기능이론을 중심으로 / 민창식 2012  50
50 9 보건의료 의료행위의 규범적 통제 방식에 대한 소고(小考) - 독일의 의료보험체계에 비추어 본 임의비급여 통제의 정당성 / 김나경 200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