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09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77001373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저자명

    김성천                                            

  • 학술지명

    한국생물공학회 학술대회                           

  • 권호사항

    Vol.2009 No.1 [2009]                                                        

  • 발행처

    한국생물공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73-73(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09년

  • KDC

    629

  • 초록 (Abstract)
    • 세계 의약산업은 연구개발 생산성 저하, 블럭버스터 품목의 특허 만료, 각국의 의료비 절감 방안 등으로 성장률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을 비롯한 인도, 브라질, 러시아, 터키 등...
  • 세계 의약산업은 연구개발 생산성 저하, 블럭버스터 품목의 특허 만료, 각국의 의료비 절감 방안 등으로 성장률이 점차 둔화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을 비롯한 인도, 브라질, 러시아, 터키 등 신흥 시장의 부상과 바이오 의약품 시장의 약진 등으로 새로운 사업 기회도 펼쳐지고 있다. 한국의 의약산업은 세계 12 위 권이며 규모로는 세계 시장의 1.4%에 불과하다. 특허를 통한 사업 기회 보호가 그어느 산업보다 뛰어난 의약산업은 신약이라는 연구개발 성과가 주요 성공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신약개발은 성공확률이 낮고, 개발 기간이 길며, 개발 비용이 높아서 한국은 국내 시장 위주의 제네릭 의약산업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바이오시밀러를 비롯한 바이오의약 산업이 새로운 사업기회로 부상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은 합성신약의 제네릭에 비해 가격, 설비 및 기술적인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진입장벽을 유지하고 있어 일부 다국적 제약사들도 꾸준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 의약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는 바이오시밀러를 포함하는 바이오의약 산업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합성의약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성공확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생산설비 등의 진입장벽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의 현주소를 조명하고 최근의 연구개발성과를 살펴 봄으로써 발전 전략을 모색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