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2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法學論集(Ewha law journal)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60245124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Some Considerations about the Applicability of Biologics to the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in KORUS FTA

                                    

  • 저자명

    김현철                                             

  • 학술지명

    法學論集(Ewha law journal)                                

  • 권호사항

    Vol.17 No.1 [2012]                                                         

  • 발행처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225-240(16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2년

  • KDC

    360.4

  • 등재정보

    KCI등재

  • KCI 피인용횟수

    3


  • 초록 (Abstract)
    • 한미 FTA는 보건의료에 관한 제5장과 지적 재산권에 관한 제18장 속에 의약품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제18장에서 규율하고 있는 허가-특허연계제도와 자료독점제도는 우리나라...
  • 한미 FTA는 보건의료에 관한 제5장과 지적 재산권에 관한 제18장 속에 의약품에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제18장에서 규율하고 있는 허가-특허연계제도와 자료독점제도는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시행하고 있지 않은 제도이어서 국내법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한미 FTA 제18장 제9조 제5항의 허가-특허연계제도는 그 적용대상을 의약품(a pharmaceutical product)이라고 표현하고 있으나, 제18장 제9조 제5항에서는 의약품에 대한 정의를 하고 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허가-특허연계제도에 바이오의약품이 포함되는지 여부는 해석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 여기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쟁점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한미 FTA의 상대국인 미국에서는 바이오의약품에 대한 허가-특허연계제도를 한미 FTA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지 않다. 한미 FTA의 허가-특허연계제도에서는 “허가당국에 통보된 특허의 존속기간 동안(during the term of a patent notified to the approving authority)”이라는 표현이 있으며, 따라서 한미 FTA의 허가-특허연계제도는 미국 해치-왁스먼 법과 같은 방식, 즉 오리지널 제약사가 허가당국에 보호받을 특허를 통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미 FTA 제5장에서는 의약품을 정의하면서 바이오의약품(한미 FTA의 공식 명칭으로는 생물의약품)이 의약품에 포함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제5장 규정의 효력은 원칙적으로 그 장에만 미치지만, 허가-특허연계제도를 규정하고 있는 제18장에 다른 정의규정이 없기 때문에 제5장의 규정을 유추 적용하는 것도 국제협약의 해석상 가능하다.
  • 초록 (Abstract)
    •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develop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industr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global environment by KORUS FTA. Especially, it is urgent to make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companies entry into the markets of USA. At the...
  •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develop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industr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global environment by KORUS FTA. Especially, it is urgent to make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companies entry into the markets of USA.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prepare safeguards for the rushes of USA biopharmaceutical companies into our domestic market. Thus, it is the aim of this research to provide the effective legal and governmental protections for our domestic biopharmaceutical industry through examining biologics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On top of it, this paper will be used as the basic source for the reasonable implementing methods of FTAs. I found that the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was not working well in the area of biologics unlike small-molecule drugs through the research. Because BPCIA repealed the Orange Book requirement in the application of biosimilars unlike generic drugs. This means that the regulation of biologics including biosimilars would be executed by agency regulation rather than patent protection. There’s no explicit provision on the biologics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in KORUS FTA. However, there’s possibility to discuss this issue in the near future due to the enactment of BPCIA. And the biologics approval-patent linkage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 through the Green List. Thus, we have to develop and execute the proper mechanism well fitted in our regulatory system regardless of KORUS FTA.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한미 FTA와 바이오의약품
  • Ⅱ. 한미 FTA의 허가-특허연계제도
  • 1. 개관
  • 2. 미국의 허가-특허연계제도
  • 3. 한미 FTA의 허가-특허연계제도
  • Ⅲ.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의약품”
  • 1. 개관
  • 2. 바이오의약품 포함설
  • 3. 바이오의약품 비포함설
  • 4. 소결
  • Ⅳ. 결론과 향후 전망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69 9 보건의료 민간보험 도입 후 개원의사들이 느끼는 진료환경의 변화/이성원 외 2015  149
468 9 보건의료 원격의료의 법리와 실현 / 윤석찬 2015  149
467 9 보건의료 전문병원 홈페이지의 의료광고 콘텐츠 분석 / 정해린 2016  149
466 9 보건의료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이은환 2016  149
465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에서 민법상 의료계약의 적법성에 대한 검토/민국현 2018  149
464 9 보건의료 일개 응급의료센터에서 전문의에 의한 fast track 운영의 효과 / 정진희, 배현아 2008  148
463 9 보건의료 병원 내 간호사의 조제 보조행위와 약사법 개정 방향 / 현두륜 2015  148
462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48
461 9 보건의료 BRICs 그리고 멕시코 vs. 우리나라의 의약품 인허가 규정 비교 연구/양지영 2016  148
460 9 보건의료 개정 의료법상 설명의무에 관한 비판적 고찰 / 현두륜 2017  148
459 9 보건의료 최근 사례를 통해 본 (시술관련) 의료관련감염 / 이재갑 2018  148
458 9 보건의료 진료계약의 환자 측 당사자확정에 관한 소고 -제3자 진료요청행위의 해석을 중심으로-/박동진 2014  147
457 9 보건의료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처방 예측 모델/고승완 외 2018  147
456 9 보건의료 클라우드 환경에서 의료 빅데이터 활용 및 전망 / 한정수 2014  146
455 9 보건의료 의약품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도입에 따른 경쟁제한성 판단기준에 관한 연구 / 유신현 2015  146
454 9 보건의료 희귀 의약품의 현재 상황과 발전 방향 / 손영배 2013  146
453 9 보건의료 국내 헬스케어 빅데이터 현황과 신규 연구 방향 / 신수용 2017  146
» 9 보건의료 한미 FTA 허가-특허연계제도의 바이오의약품 적용여부에 대한 고찰 / 김현철 2012  145
451 9 보건의료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이용재 2017  145
450 9 보건의료 예외적 보건 위기와 위기 상황의 차단 - 프랑스 감염병 관리 및 위기 대응 체계를 중심으로/ 박혜미, 김대중 2017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