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인간 · 환경 · 미래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3211517 
의료용 케어로봇과 환자 간의 서사와 공감 관계의 가능성
= The Possibility of Narratives and Empathy between Medical Care Robots and Human Patients

                                 

  • 저자명

    송선영(Song, Sun-Young)                                               

  • 학술지명

    인간 · 환경 · 미래                           

  • 권호사항

    Vol.- No.18 [2017]                                                           

  • 발행처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49-76(28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7년                                                                                   

  • 초록 (Abstract)
    • 이 연구는 정보과학기술과 로봇공학기술의 발달이 인공지능로봇과 환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전망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워크, 빅데이터, 로봇, 인공지능의 다양한 기반들이 ...
  • 이 연구는 정보과학기술과 로봇공학기술의 발달이 인공지능로봇과 환자 간의 관계에 미치는 전망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네트워크, 빅데이터, 로봇, 인공지능의 다양한 기반들이 통합적으로 인간과 사물에 적용되면서 점차 우리의 삶은 이전과는 매우 다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인간과 사물간의 경계도 무너지면서, 의료용 로봇도 환자에 대해 어떤 신체적인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 교류를 할 수 있고, 환자의 간병, 정서 및 심리치료에도 활용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현재 개발된 정서 교류 기반 사회적 로봇(social robots)의 범주의 사례들을 활용하여 의료용 케어로봇과 인간의 소통에서 나타나는 공감의 측면에 주목한다. 로봇이 감정을 이해하고 교류할 수 있는 공감의 정서는 바로 로봇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코드로 저장된 빅데이터, 즉, 인간의 서사에서 발생한다. 의료용 케어로봇이 질병의 처치와 처방, 예방의 목적에 따라 인간과 공감하는 원리를 고통(painism)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 초록 (Abstract)
    •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AI robots and human beings in the application of the advances of information science and robotics to medical science. With them we have experienced various AI robotics in practices. In partic...
  • This paper aims to explore a potential relationship between AI robots and human beings in the application of the advances of information science and robotics to medical science. With them we have experienced various AI robotics in practices. In particular, there is an obvious feature of integration and combination in different fields, such as network, big-data, robotics, AI, with humans and things. As a result,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ny notion of their own landmarks. In the case of medical robots, they can have any normal relationship to human patients as well as operate as a simple tool to help them. In this paper, first of all, there is the main concern of empathy based on the interaction of human patients with AI (medical care) robots. It has also another issue of the ontological position of the robots in the relation with humans. This is connected with ethical and existential features. Second, the digital codes of AI (medical care) robots of human patients are seen as the narratives of human lives.

  •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의료용 케어로봇의 존재론적 특징
  • Ⅲ. 의료용 케어로봇의 윤리실존적 쟁점
  • Ⅳ. 의료용 케어로봇의 서사와 공감 가능성
  • Ⅴ. 고통 : 의료용 케어로봇의 공감 알고리즘
  • 참고문헌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369 9 보건의료 한국 바이오의약 산업과 발전방향 / 김성천 2009  117
368 9 보건의료 희귀의약품의 공급 중단 실태와 정책과제 / 박실비아 2015  117
367 9 보건의료 지역별 특성, 질병과 의료비에 관한 연구 2016  117
366 9 보건의료 외국의 사례를 통한 국내 아동 성범죄자 약물치료의 실효적 운영 방향 / 양현호 2018  117
365 9 보건의료 개인의 유전정보를 이용한 건강관리 / 김종주 2017  117
364 9 보건의료 중증 질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건강관리 시스템 개발 연구 / 편도현 2017  117
363 9 보건의료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서비스 법제도 개선 방향 / 주지홍 2017  116
362 9 보건의료 의료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이현직 2016  116
361 9 보건의료 노인 인권 보호·증진의 국제적 동향과 쟁점 / 최성재 2018  116
360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입법과정에서의 정책네트워크 구조분석 / 윤기찬, 장한나 2014  115
359 9 보건의료 의약품 광고규제에 대한 법적 고찰 -약사법을 중심으로 / 조영기, 김상태 2011  115
358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정의로운 보건의료체계: 수단과 목적 / 박상혁 2016  115
357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356 9 보건의료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연계 및 표준화 프로세스 / 김현준 2017  114
355 9 보건의료 한국형 멜드 시스템 도입 전후의 뇌사자 간이식 성적 비교: 단일기관 연구 / 이지아 외 2018  114
354 9 보건의료 상처 입을 가능성(vulnerability)과 의학에서의 주체화 / 황임경 2018  114
353 9 보건의료 NFC 기술 기반 병원의료정보 서비스 / 문용일 2016  113
352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권리와 공유의사결정에 대한 연구 / 고은경 2017  113
351 9 보건의료 노인 고혈압 환자의 외래진료와 복약 지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서화영 2015  113
350 9 보건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 /문세연 외 2017  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