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7 
구분 : 학위논문 
학술지명 :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T14450672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Institutional Analysis on Approval of AI-Assisted Medical Devices: Qualitative Research Focused the United States, European Union, China and Japan

                                             

  • 저자

    오지현                                       

  • 형태사항

    v, 72p. ; 26 cm

  • 일반주기

    지도교수: 김소윤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국제보건전공 2017. 2

  • DDC

    613

  • 발행국

    서울

  • 언어

    한국어

  • 출판년

    2016                                                                                                                            

  • 초록 (Abstract)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헬스케어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등 국가에서는 지속적으로 인공지능 관련 프로젝트 및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최...
  •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으로 헬스케어 산업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미국과 유럽, 중국, 일본 등 국가에서는 지속적으로 인공지능 관련 프로젝트 및 스타트업에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의료기기 산업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규 및 가이드라인이 아직까지 세계 어느 국가에서도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본 논문은 현재 개발 중이거나 이미 일부 의료기관에서 사용 중인 인공지능 활용 의료기기에 대한 제도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저자는 본 고에서 미국 FDA나 EU CE 허가 등을 받기 위한 인증 및 허가 절차를 정리하고, 이미 허가를 받은 의료용 인공지능이 해당 등급을 부여받은 이유와 과정 등을 알아보았다. 그 다음으로 저자는 각국의 의료기기 허가 절차를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허가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첫째, 3자 기관을 통해 의료기기 승인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이다. 둘째, 인공지능 분야 기술 개발을 통괄하는 컨트롤타워의 부재이다. 셋째, 의료용 인공지능 도입을 위한 법제도가 마련되지 않았으며, 마지막으로 관련 분야 전문가 양성을 위한 환경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자가 제안하는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럽연합과 일본의 경우와 같이 3자 기관을 통한 허가를 진행해 승인 절차에 걸리는 시간을 줄이고 절차를 축소화 해야 한다. 둘째, 인공지능의 개발 및 허가와 관련되어 있는 뚜렷한 정부 조직이 구성되어야 하며,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한다. 셋째, 법제도를 개선해 인공지능 기술이 다양한 분야와 융합되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관련 분야의 고급 인력을 확보하고 범국가적 계획이나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전문가를 양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우리나라에서 의료용 인공지능 가운데 허가를 받은 제품이 없는 상황에서 추후 관련 의료기기 승인이 필요한 경우 고려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제품 가운데 의료정보검색용으로 분류되면 의료기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둘째, 분석용 제품에 해당하거나 진단 및 예측용 제품은 의료기기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의 정도에 따라 4개의 등급으로 분류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289 9 보건의료 공공분야에서의 빅데이터(Big Data) 활용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황대욱 2012  72
288 9 보건의료 빅 데이터 기반 질병 키워드 추천 시스템 / 강희범 2017  346
28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서비스 접근성 향상을 위한 개방형 서비스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 이현직 2016  116
286 9 보건의료 의료 정보 추출을 위한 TF-IDF 기반의 연관규칙 분석 시스템 / 박호식 2016  165
285 9 보건의료 생체데이터 분석을 위한 하둡 플랫폼의 확장 / 박광호 2014  161
284 9 보건의료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이용한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 디자인 :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 이은혜 2014  208
» 9 보건의료 의료용 인공지능의 허가에 대한 비교제도론적 고찰 : 미국·유럽·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오지현 2017  148
282 9 보건의료 IoT 기반의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저장 및 보호 모델/정윤수 2017  62
281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에서 의료정보의 보호에 관한 연구/이여진 외 2015  67
280 9 보건의료 헬스케어 데이터 시각화 연구 -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를 중심으로 /노은지 외 2016  133
279 9 보건의료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국내외 법규 및 서비스 모델에 관한 연구/권상윤 2016  109
278 9 보건의료 증강현실을 이용한 응급환자 의료서비스 향상 모델 설계/정윤수 외 2017  105
277 9 보건의료 생활화학물질 노출에 따른 국민건강 문제에 대한 보건학적 고찰 2017  255
276 9 보건의료 의료정보 광고에 관한 대학생의 주관성 인식/이제영 2017  30
275 9 보건의료 트럼프 정부 출범에 따른 미국의 의약품 관련 정책 변화 예측 및 한국에의 시사점 / 손경복 2017  96
274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김계현 2017  152
273 9 보건의료 민간의료보험료 가구부담 및 보험금 수령에 따른 의료비 부담완화 효과 분석 / 김유진 2017  114
272 9 보건의료 중국 원격의료 도입과 정책 시사점 / 이찬우 2017  192
271 9 보건의료 보건의료 정책 / 전진한 2017  360
270 9 보건의료 바이오헬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유명희 2017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