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정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701845 
보건의료정책 기반마련을 위한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 연구
= Utilization of Open Government Data for Health Policy

                                 

  • 저자명

    이은환, 김희선, 이병호, 최현진, 김진아

  • 학술지명

    정책연구                           

  • 권호사항

    Vol.- No.- [2016]                                                          

  • 발행처

    경기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1-210(210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그 활용가치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 역시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 최근 전 세계적으로 공공데이터를 개방하고, 그 활용가치를 극대화하려는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우리나라 정부 역시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제정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의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또한 경기도 역시 이에 발맞추어 「경기도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고, 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공공데이터 개방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공공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에 대한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정책의지에도 불구하고 보건의료분야의 경우 공
    공데이터의 개방 및 활용에 대한 세부적인 추진전략 또는 구체적 방안은 아직까지 제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의 주요 보건문제 해결이라는 목표 아래 경기도의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효과적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보건의료분야의 공공데이터 개방시스템 및 자료원들을 살펴보고, 주요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유용한 정보의 생산과 활용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경기도의 보건의료정책 수립을 위한 효과적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경기도 보건의료정책을 위한 효과적인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활용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기도의 보건의료 관련 정보 및 공공데이터 제공의 통합 창구 역할을 할 수 있는 ‘경기도 보건의료 정보포털(가칭)’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정책 실무자들은 물론 민간에서 손쉽게 경기도의 포괄적인 보건의료 정보와 자료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보건의료분야의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경기도의 보건수준을 비롯한 보건의료비 지출 관련 정보, 보건의료자원 사용 관련 정보, 의료기관 및 의료의 질 관련 정보, 감염병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한 포괄적인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경기도의 다양한 보건의료 관련 정보 및 자료에 대해 시・군 단위로, 더 나아가 읍・면・동 단위로 세분화하여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경기도 전체는 물론 시・군의 지역보건의료정책 수립 시 해당 시․군의 정확하고 세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다양한 시각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정보의 가치와 활용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단순히 사전에 입력된 정보를 통해 일방적으로 제공되는 시각화 자료가 아닌 사용자가 직접 입력 및 선택할 수 있고, 이를 시각화하여 제공되는 ‘양방향 인터렉티브 시각화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연구요약]
    • [차례]
    • 표차례
    • 그림차례
    • [제1장 서론]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제2장 공공데이터 정책 및 활용 현황]
    • 제1절 공공데이터의 개념
    • 제2절 공공데이터 관련 정책 및 연구 동향
    • 제3절 공공데이터 활용 현황 및 사례
    • [제3장 보건의료 분야 공공데이터 제공 현황 및 사례 분석]
    • 제1절 보건의료 분야 공공데이터 제공 현황
    • 제2절 보건의료분야 공공데이터 사례 분석
    • [제4장 경기도 보건의료정책을 위한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방안]
    • 제1절 연구결과 종합 비교 및 고찰
    • 제2절 경기도 보건의료정책을 위한 공공데이터 제공 및 활용방안 제언
    • 제3절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부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489 9 보건의료 병원 외래고객 만족도 평가의 의료서비스 최적화 방법 적용 / 지은희 외 2017  157
488 9 보건의료 의료소비자 권리보호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최상기 2018  157
487 9 보건의료 바이오 헬스케어 분야 국가연구개발 특허성과 네트워크 분석 / 권영은, 김재수 2018  157
486 9 보건의료 의료 광고 상황에서 관계적 규범에 따른 효과적인 가격 프로모션 전략 / 김재휘 외 2015  156
485 9 보건의료 국민건강보험법의 발전과정과 법정책적 과제 / 조형원 2007  155
484 9 보건의료 건강보험급여구조와 비급여 관리 / 지영건 외 2017  155
483 9 보건의료 고혈압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및 측정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장선주 외 2017  155
482 9 보건의료 의료민영화와 안경원 법인화에 대한 서울지역 안경사들의 인식도 비교 조사 연구 / 강수지 외 2016  155
481 9 보건의료 의료감정(鑑定)에 있어 포괄성에 대한 고찰/윤성철 2014  153
480 9 보건의료 인수공통성 병원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SFTSV) / 신성식 2013  152
479 9 보건의료 의료광고에 대한 규제현황 및 개선방향 / 김한나, 김계현 2017  152
478 9 보건의료 역량 중심 접근법에 입각한 의료 정의론 연구 : 노만 대니얼즈의 논의를 넘어서 / 목광수 2014  152
477 9 보건의료 말기암환자에서 통증 외 증상의 관리: 최신 NCCN(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eork) 권고안을 중심으로 / 이혜란 2013  152
476 9 보건의료 지문인식을 이용한 진료등록시스템에 관한 연구/백종현 이동훈 2018  151
475 9 보건의료 영상정보학: 인공지능-빅데이터-데이터 과학 시대의 영상의학을 위한 새 지평 / 김종효 2019  151
474 9 보건의료 인터넷상의 치과 및 의과 과대광고 사례 분석 : 의료광고 심의제도를 기반으로 / 김종훈 2015  150
473 9 보건의료 생체신호 기반 바이오인식 시스템 기술 동향 / 최규호 2017  150
472 9 보건의료 치매의 임상적 접근 / 이동국 2013  150
471 9 보건의료 의료기관 홈페이지의 합리적 관리방안 / 박경라 2013  149
470 9 보건의료 민간보험 도입 후 개원의사들이 느끼는 진료환경의 변화/이성원 외 2015  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