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6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보건복지포럼(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2039174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National-Level Use of Health Care Big Dat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 저자명

    강희정                                               

  • 학술지명

    보건복지포럼(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 권호사항

    Vol.238 No.- [2016]                                                      

  • 발행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55-71(17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6년

  • 초록 (Abstract)
    • 이 글은 국가 수준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자산 및 정책 현황을 분석하고 보건의료시스템 전반의 혁신과 산업적 부가가치 창출을 연계할 수 있는 전인적 전략 수립의 필요성과 정책 과제...
  • 이 글은 국가 수준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자산 및 정책 현황을 분석하고 보건의료시스템 전반의 혁신과 산업적 부가가치 창출을 연계할 수 있는 전인적 전략 수립의 필요성과 정책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세계 빅데이터 시장에서 빠른 속도의 기술 경쟁은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공익적 활용 가치와 산업적 가치창출의 균형을 맞추기 어렵게 한다. 국내에서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국가 서비스 산업 발전 전략의 일부로 추진되고 있으며, 보건의료시스템 전반에서 혁신을 유도하고 정보 생산 주체인 국민에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분석 편익을 돌려주는 공익적 활용의 국가 전략 수립은 지연되고 있다. 보건의료 데이터의 공익적 활용을 위한 법과 제도의 정비, 개인 의료정보 보호와 데이터 보안(security) 강화, 데이터 연계 및 공유 플랫폼 구축, 공익적 활용 기반 정책 및 서비스 사업 추진 등 공적 보건의료시스템의 혁신을 유도하면서 산업적 파급효과를 기대하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1. 들어가며

    2.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외국의 경험과 가치 창출 기전의 이해

    3. 우리나라 보건의료 데이터 현황과 활용의 한계

    4. 보건의료 빅데이터 관련 정책 현황

    5.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공익적 활용을 위한 정책 과제

  • 6. 나가며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689 9 보건의료 제조방법 변경에 따른 의약품동등성시험 가이드라인 연구 / 조일영 외 2010  287
688 9 보건의료 장기요양 인정자의 사망 전 의료 및 요양서비스 이용 양상 분석 / 한은정 외 2018  285
687 9 보건의료 의약품 해외 인허가 과정에서의 장애요인 분석 / 윤근영 2018  285
686 9 보건의료 한국 메르스 발생기간 동안 일개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원 근무 간호사의 정신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 박지선 2016  284
685 9 보건의료 국산의약품의 해외 시장진출을 위한 인·허가제도 연구-태국 / 윤근영 권진원 이의경 2018  284
684 9 보건의료 사회적 낙인, 영성, 자아존중감이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강선경 2015  281
683 9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형 맞춤 의료 대책 방안 연구 : 감염병 중심으로 / 허준구 2016  281
682 9 보건의료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나타난 자(慈)의 원리와 한국 HIV·AIDS 감염인의 인권을 위한 의료인의 역할/정창록 외 2014  281
681 9 보건의료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트랜지션과 의료서비스 이용 / 손인서 2017  281
680 9 보건의료 지카바이러스의 역사와 중남미 발생 상황의 이해 / 이재갑 2016  280
»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의 정책 현황과 과제 / 강희정 2016  280
678 9 보건의료 한국 공공의료체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박금령 2016  279
677 9 보건의료 의사 · 한의사의 업무범위에 관한 검토 - 한의사의 의료기기 사용에 관한 문제를 중심으로 / 김한나 외 2016  278
676 9 보건의료 사무장병원의 개설과 부당청구에 대한 규제에 관한 소고 / 백경희 외 2015  277
675 9 보건의료 메르스 감염 유행 후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 영향요인 / 김현진, 박호란 2017  276
674 9 보건의료 빅데이터 기반의 생체신호 분석 사례 및 연구 / 박요셉 2015  272
673 9 보건의료 의료기기 정보검색 웹사이트 개발 2019  271
672 9 보건의료 보건의료 빅데이터 활용에 관한 법적 검토 - 개인정보보호를 중심으로 - / 김근령 외 2018  268
671 9 보건의료 의약품 착색제 관련 규정 및 정보방 구축에 관한 비교 연구 :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 이기봉 2015  267
670 9 보건의료 건강기능식품 안전성 확보를 위한 표시 및 관리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박선정 2019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