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논문
*정책원 미소장 자료이며 관련 논문 소개 게시판입니다. 게시물 관련링크를 눌러 소속기관에서 열람가능한지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lib@nibp.kr
글 수 869
발행년 : 2015 
구분 : 국내학술지 
학술지명 : 벤처창업연구 
관련링크 : http://www.riss.kr/link?id=A101724109 
헬스케어산업 관점에서 본 린스타트업 적용 사례연구
= Lean Startup Application Study in the Healthcare Industrial point of View : The Case of Humedix Corporation

                                    

  • 저자명

    임성훈(Lim, Sung-Hoon), 김용태(Kim, Yong-Tae)                                                  

  • 학술지명

    벤처창업연구             

  • 권호사항

    Vol.10 No.3 [2015]                                                         

  • 발행처

    한국벤처창업학회                                   

  • 자료유형

    학술저널

  • 수록면

    99-109(11쪽)

  • 언어

    Korean

  • 발행년도

    2015년

  • 등재정보

    KCI등재

  • 초록 (Abstract)
    • 최근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헬스케어 산업의 특성은 창업 활성화 및 투자에 제약이 되...
    • 최근 해외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헬스케어 산업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헬스케어 산업의 특성은 창업 활성화 및 투자에 제약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IT산업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에 적용되어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는린스타트업 방법론이 헬스케어 산업 분야의 스타트업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헬스케어 산업분야에서 기술력을 바탕으로 창업하여 벤처캐피탈 투자유치 및 코스닥 상장까지 이룬 기업의 사례를 통해서 IT 산업분야 초기 창업기업에 적용되어 왔던 린스타트업(Lean Startup)이론의 응용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헬스케어 산업분야의 특성 및 린스타트업 관점의 접근을 통한 사례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제품의 테스트가 법으로 엄격히 규제되어 있는 헬스케어 산업분야의 기술창업일수록 린스타트업 이론에 의한 최소요건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 개발을 통한 가설검증이 중요하다. 둘째, 헬스케어 산업과 같이 전임상(pre-clinical study), 임상 시험 등 인허가 과정이 길고,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산업일수록 연구조직을 스타트업(Startup) 조직으로 구성하고 연구원의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을 함양해야 된다. 셋째, 젊은 엔지니어의 기술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 함양과 같은 응용인문학 교육과 더불어 린 스타트업과 같은 스타트업을 위한 차별화된 경영기법이 요구된다.

  •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휴메딕스 사례연구
    • Ⅳ. 결론 및 시사점
    • REFERENCE
    • ABSTRAC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발행년 조회 수sort
    공지 ! 논문 정보 제공 게시판입니다.   11456
    529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정책이 의료비에 미치는 영향 : 임신 출산 진료비 지원정책 중심으로 / 오혜진 2018  174
    528 9 보건의료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 / 전대석 2018  174
    527 9 보건의료 의료정보의 활용과 개인정보의 보호 / 김재선 2016  173
    526 9 보건의료 한국 의료패널 조사자료를 이용한 1인 가구의 신체활동, 스트레스 및 삶의 질에 관한 종단분석 / 이정민 2018  173
    525 9 보건의료 미국 「생물의약품 가격경쟁 및 혁신법」 상 '배타권'에 관한 고찰 / 박수헌 2012  172
    524 9 보건의료 리베이트금지정책 사례연구: 의약품 리베이트 금지 / 이윤석 2016  172
    523 9 보건의료 환자안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김정오 외 2015  171
    » 9 보건의료 헬스케어산업 관점에서 본 린스타트업 적용 사례연구 / 임성훈, 김용태 2015  171
    521 9 보건의료 건강보험 본인부담금과 의료서비스 이용에 관한 연구 /최성은 2018  171
    520 9 보건의료 우리나라와 OECD의 의료자원 투입량의 비교를 통한 보험수가의 이론적 추정 / 오동일 2013  169
    519 9 보건의료 의료수요자 중심의 통합의료모델 개발을 위한 의료전문직의 인식에 대한 연구 / 정우진 외 2016  169
    518 9 보건의료 한국의 메르스 사태는 어떻게 정치화되었는가? / 장경은 외 2016  168
    517 9 보건의료 임상간호사의 건강보험수가 적용에 대한 인지도와 실천에 관한 연구 / 김경희 2002  167
    516 9 보건의료 국민건강증진기금 활용 우선순위 설정에 관한 연구 2017  167
    515 9 보건의료 노인의료복지 분야에서 인공지능 이용에 관한 논의 / 조태현 외 2018  167
    514 9 보건의료 환자 돌봄 의사소통 측정 도구 개발 / 허명륜, 임숙빈 2019  167
    513 9 보건의료 데이터 기반 의학에서 의료 인공지능의 활용사례 / 박승균 2019  167
    512 9 보건의료 응급의료 수가체계 개선방안 /이윤태 2004  166
    511 9 보건의료 의료광고 규제가 소비자 병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정택준 2010  166
    510 9 보건의료 항생제 내성의 극복: 질환별 항생제의 올바른 선택 / 이미숙 2017  166